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꽃

곁말 111 하루꽃



  둘레에서는 ‘인문학 특강’이라든지 ‘강의·강좌’ 같은 한자말을 쓰거나, ‘클래스’처럼 영어를 씁니다. 저는 이런 한자말도 저런 영어도 마뜩하지 않다고 여겨 ‘이야기꽃’이란 낱말을 지었습니다. 혼자 떠들면서 가르치는 자리가 아닌, 서로 말·생각·뜻·마음을 나누면서 함께 누리고 배우는 자리이기를 바라면서 ‘이야기 + 꽃’이란 이름이요, “이야기로 마음과 생각과 숨결에 우리 스스로 꽃을 피우는 자리”라고 뜻풀이를 합니다. 때로는 ‘수다꽃’이라고도 합니다. 이야기보다 가볍게 나누는 말인 ‘수다’로 한결 복작복작 떠들썩하게 마음과 생각과 숨결을 나누는 자리이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하루꽃’을 펴요. 여러 날이나 달에 걸쳐 꾸준히 이야기판이나 수다판을 펼 수 있되, 딱 하루만 이야기판이나 수다판이나 배움판을 펼 수 있어요. 하루여도 넉넉히 배우고 나누면서 함께 누리거나 즐길 만합니다. 슬쩍 살을 붙여 ‘하루배움꽃’이나 ‘하루수다꽃’이나 ‘하루얘기꽃’을 합니다. 싸목싸목 살을 더해 ‘오늘꽃’이나 ‘오늘배움꽃·오늘수다꽃·오늘얘기꽃’을 마련해요. 사부작이듯 살을 보태 ‘우리꽃’이나 ‘우리배움꽃·우리수다꽃·우리얘기꽃’을 일구어도 신명나게 얼크러집니다.


ㅅㄴㄹ


하루꽃 (하루 + 꽃) : 1. 하루 동안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어느 일·살림을 하루 동안 다녀오면서 모두 해내거나 끝내거나 다루거나 펼 수 있는 길·자리. (= 하루길. ← 일일생활권) 2. 하루 동안 듣거나 배우거나 익힐 수 있는 길·자리. 어느 일·살림을 하루 동안 듣거나 배우거나 익히면, 스스로 해내거나 다루거나 펼 수 있는 길·자리. (= 하루배움꽃·하루익힘·하루익힘꽃. ← 일일공부, 일일수업, 일일체험, 원데이 클래스one-day class, 소풍) 3. 하루 동안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하루에 모두 누리거나 즐기면서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 하루길·하루마실·하루나들이. ← 당일치기, 비박非泊, 비박 일정)


하루길 (하루 + 길) : 하루 동안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어느 일·살림을 하루 동안 다녀오면서 모두 해내거나 끝내거나 다루거나 펼 수 있는 길·자리. (= 하루꽃. ← 일일생활권)


하루마실 : 하루 동안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하루에 모두 누리거나 즐기면서 다녀올 수 있는 길·자리. (= 하루꽃·하루나들이. ← 일일체험, 소풍, 당일치기, 비박非泊, 비박 일정)


하루배움 (하루 + 배우다 + ㅁ) : 하루 동안 듣거나 배우거나 익힐 수 있는 길·자리. 어느 일·살림을 하루 동안 듣거나 배우거나 익히면, 스스로 해내거나 다루거나 펼 수 있는 길·자리. (= 하루꽃·하루배움꽃·하루익힘·하루익힘꽃. ← 일일공부, 일일수업, 일일체험, 원데이 클래스one-day class, 소풍)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꽃

곁말 110 달가림



  해가 질 무렵 큰아이하고 마을길을 걷다가 우람한 후박나무 가지 사이로 붉은빛을 봅니다. 뭘까 하고 바라보니 저 멀리 달이 붉게 뜨는 모습이더군요. 슬슬 저녁을 차리는데 마당에서 뛰놀던 작은아이가 우리를 부릅니다. “저기 봐! 달이 사라져! 얼른 나와 봐!” 해가 질 무렵 붉게 오르던 보름달이 어느새 꽤 사라집니다. 우리별(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군요. 처음에는 조금 가리고, 이내 뭉텅 가리더니, 어느새 온통 가립니다. 우리별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사이에 별빛은 한결 초롱초롱합니다. 보름달이 밤을 비출 적에 꽤 밝다고 하지만, 미리내를 이루는 별이 비출 적에도 퍽 밝습니다. 오늘날 큰고장은 별빛을 살필 곳이 사라진 곳입니다. 불을 끄더라도 별을 보기 어려운 서울이에요. 그러나 사람들이 큰고장이나 서울에 북적거리지 않고 손수 흙을 가꾸며 밥옷집을 건사하던 지난날에는 어디에서나 누구나 별밤을 누렸어요. 별빛으로도 넉넉히 밝아요. 달가림이 일어나더라도 밤길을 얼마든지 거닐 만하고, 밤모습을 헤아릴 만합니다. 해누리(태양계)에서는 해도 우리별도 달도 저마다 돌기에 이따금 서로 나란히 서면서 가리곤 해요. 달가림이나 해가림을 이룹니다. 하늘바라기를 잊지 말라면서 귀띔하듯 찾아오는 별놀이 같습니다.


달가림 (달 + 가리다 + ㅁ) : 우리별(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일. (← 월식月蝕)


온달가림 (온 + 달 + 가리다 + ㅁ) : 우리별(지구) 그림자가 달을 모두 가려서 하나도 안 보이는 일. (← 개기월식)


쪽달가림 (쪽 + 달 + 가리다 + ㅁ) : 우리별(지구) 그림자가 달을 살짝 가려서 어느 쪽이 안 보이는 일. (← 부분월식)


해가림 (해 + 가리다 + ㅁ) : 1. 해가 달을 가리는 일. 해하고 우리별(지구) 사이에 달이 들어서면, 해가 달에 가려 안 보이기도 한다. ← 일식(日蝕) 2. 해를 가리는 것·자리·지붕·처마. 해가 비추거나 비가 들이치지 않도록 가린다. (← 파라솔, 차양, 차양막, 차일遮日, 차광, 차광막, 선캡)


온해가림 (온 + 해 + 가리다 + ㅁ) : 해가 달에 모두 가려서 하나도 안 보이는 일. (← 개기일식)


쪽해가림 (쪽 + 해 + 가리다 + ㅁ) : 해가 달에 살짝 가려서 어느 쪽이 안 보이는 일. (← 부분일식)


고리해가림 (고리 + 해 + 가리다 + ㅁ) : 해 한복판에 달이 들어서면서 가리되, 해를 모두 가리지 못하면서, 해가 고리처럼 보이는 일. (← 금환식, 금환일식)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꽃

곁말 109 소리책



  우리가 펴는 책은 눈으로 읽습니다. ‘눈으로 볼’ 만한 여러 가지를 마주하면서 가만히 받아들이고 헤아리기에 ‘읽다’라는 낱말을 써요. ‘마음읽기’란, 얼핏 눈에 안 보인다고 여기는 마음이지만, 생각을 틔우고 눈빛을 밝혀 내 마음부터 열면, 서로 마음하고 마음이 만나기에 환하게 흐르면서 속빛을 알 수 있다는 뜻이라고 하겠습니다. 아무튼 여느 ‘책’은 “눈으로 읽을거리”입니다. 손으로 짚는 무늬로 읽는 글이 있으니 “무늬로 읽을거리”인 ‘무늬글책(점자책)’이 있어요. 여기에 소리로 들으며 헤아리는 글이 있어 “소리로 읽을거리”인 ‘소리책’이 있습니다. 글이 태어난 뒤로는 글씨로 읽고 물려주고 나누었는데, 글이 없던 무렵에는 말로 들려주고 나누는 살림이었어요. 따로 글이나 책이 없더라도 생각을 나누었고 물려받았으며, 오래오래 살림빛을 밝히면서 사랑길을 이었습니다. 이제 글이 널리 퍼진 온누리는 글하고 책을 새롭게 맞아들입니다. ‘글씨책’ 곁에 ‘무늬글책’하고 ‘소리책’이 있어요. 세 가지 책으로 둘레를 한결 넓고 깊게 헤아립니다. 세 가지 책으로 서로 새롭게 이웃으로 사귑니다. 세 가지 책으로 세 가지 숲빛을 품으면서 새삼스레 오늘을 가꾸면서 노래하는 마음으로 피어나요.


소리책 (소리 + 책) : 소리로 들려주는 책. 눈으로 읽지 않아도 귀로 들으면서 헤아리는 책. 귀로 소리를 들으면서 이야기·줄거리를 살필 수 있는 책. (← 오디오북)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꽃

곁말 108 눈썹새



  한자 ‘미(眉)’는 ‘눈썹’을 가리킵니다. “눈썹의 미간을 찡그리다”처럼 말하는 분이 꽤 있는데, 틀린말이에요. 겹말이거든요. 이렇게 틀린말인 겹말이 왜 불거지나 하고 살펴보면, “왼눈썹하고 오른눈썹 사이”를 가리키는 우리말을 안 쓰고 안 지은 탓이더군요. 한자말 ‘미간(眉間) = 눈썹 + 사이’인 얼개입니다. 그러면 우리말로 ‘눈썹사이’나 ‘눈썹새’를 지을 노릇이에요. 우리말 ‘눈썹새’를 지어서 쓰면 “눈썹의 눈썹새를 찡그리다”처럼 잘못 말할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그저 “눈썹새를 찡그리다”처럼 말하겠지요. 한자말을 쓰기에 잘못일 까닭은 없되, 한자말을 그냥 쓰느라 우리 스스로 새말을 얼마든지 알맞게 지어서 즐겁게 쓰는 길을 가로막은 줄 헤아려야지 싶어요. 쉽게 우리말로 쓰면 틀린말도 겹말도 불거질 일이 없으나, 스스로 생각해서 스스로 말을 엮지 않는 마음이라 글치레가 넘실거리기도 해요. 살아가며 쓰는 말이고, 살아가며 짓는 말이에요. 살림하며 나누는 말이고, 살림하며 엮는 말입니다. 이맛살도 눈썹틈도 찡그리거나 찌푸리기보다는 부드러이 풀어요. 우리말을 보드라이 풀면서 생각날개를 펴요. 어깨를 풀고 마음을 풀고 이야기를 풀고 솔솔 꽃내음을 풀면서 서로서로 즐겁게 수다판을 펴요.


눈썹새 (눈썹 + 새) : 왼눈썹하고 오른눈썹 사이. 두 눈썹 사이에 있는 살. (= 눈썹사이·눈썹틈. ← 미간眉間)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곁말 2023.5.15.

곁말 107 나흘일



  이레를 놓고 볼 적에 이레를 일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가위나 설이라 해서 일을 안 쉽니다. 한 해 내내 일합니다. 누구일까요? 아기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요, 풀꽃나무 곁에서 밭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낱말책을 여미는 사람도 한 해 내내 쉼날이 없습니다. ‘이레일’을 해요. 지난날 일터는 ‘엿새일’을 곧잘 했고, 어느새 ‘닷새일’로 바뀌었어요. 앞으로는 ‘나흘일’로 바뀐다고 하는데, 어쩐지 썩 알맞아 보이지 않아요. 이레를 놓고서 ‘사흘일·나흘일’로 갈라서 이레를 움직여야 하지 않을까요? 둘레를 봐요. 버스도 기차도 배도 늘 움직여야 해요. 전기를 돌리는 곳도, 전화를 걸고 받도록 잇는 곳도, 숱한 곳도 이레뿐 아니라 설이나 한가위여도 늘 움직여야 합니다. 우리 몸도 늘 움직이지요. 그래서 어느 곳이나 늘 흘러가도록 돌보되, 일꾼 한 사람이 이레를 맡는 얼개가 아닌, 일꾼 둘이 사흘이며 나흘을 나누는, 때로는 일꾼 셋이 이틀일·이틀일·사흘일처럼 나누는 얼거리로 나아갈 노릇이지 싶습니다. 돈터(은행)나 날개터(우체국)나 마을터(동사무소) 같은 곳은 이레 내내 움직이도록 하되, 일꾼을 넉넉히 느긋이 돌릴 적에 비로소 일나눔이 될 만하다고 봅니다.


나흘일 (나흘 + 일) : 이레 가운데 나흘을 하루 8시간씩 일하는 길·틀·얼개·자리. ← 주4일근무(주4일근무제·주4일제·주4일노동), 사일제근무(사일제노동)


닷새일 (닷새 + 일) : 이레 가운데 닷새를 하루 8시간씩 일하는 길·틀·얼개·자리. (← 주5일근무(주5일근무제·주5일제·주5일노동), 오일제근무(오일제노동)


이레일(이레살림) : 이레 내내 하루 8시간씩 일하는 길·틀·얼개·자리. ← 주7일근무(주7일근무제·주7일제·주7일노동), 칠일제근무(칠일제노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