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즐겁게 노래하면서 쓰기



  머리로 꾸민 글이 있고, 마음으로 지은 글이 있습니다. 두 가지는 겉모습으로는 모두 글이지만, 속내를 살피면 하나는 글이되 다른 하나는 글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머리로 꾸밀 적에는 글이 아니고 그림이 아니며 사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겉모습으로 꾸민다고 해서 ‘알맹이’가 되지 않아요. 속내를 살피면서 가꿀 때에 비로소 ‘알맹이’가 됩니다. 알맹이가 없으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알맹이는 없이 껍데기만 있을 적에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아니, 껍데기만 있다면 껍데기요, 알맹이가 있을 적에 비로소 알맹이요 글이고 사진이고 그림입니다.


  볍씨를 심어서 벼를 거두어야 쌀밥입니다. 볍씨를 심었는데 쭉정이만 나온다면 쌀밥이 아닙니다. 한낱 쭉정이입니다. 동시 모양이 나도록 글을 썼기에 모두 동시라고 하지 않습니다. 동화 얼거리가 되도록 글을 썼으니 모두 동화라고 하지 않습니다. 신문 꼴이 되었으니 모두 신문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거짓을 다루어도 신문은 신문이라고 할는지 모르나, 참다운 모습이나 얼거리나 알맹이가 아니라면, 꼴만 신문일 적에는 신문이 아닙니다. 참답게 제대로 쓰지 않았으면, 모양이나 시늉으로만 동시나 동화라 하더라도 동시나 동화가 될 수 없습니다.


  종이를 묶는다고 하더라도 모두 책이 되지 않습니다. 책이라는 이름을 얻으려면, 종이를 펼쳐서 눈으로 읽고 마음으로 새길 만한 이야기가 깃들어야 합니다. 아무런 이야기가 없고, 참답게 제대로 줄거리가 없으면 책이 아닙니다. 그저 종이만 묶은 꾸러미라면 불쏘시개일 수 있어요.


  즐겁게 아이와 노래하면서 저절로 쓴 동시일 때에, 아이도 어른도 다 함께 좋아하면서 즐기는 동시입니다. 즐겁게 아이와 꿈꾸면서 사랑으로 쓴 동화일 때에, 아이도 어른도 다 함께 아끼면서 누리는 동화입니다. 즐겁게 노래하지 않는다면 동시가 태어나지 않습니다. 즐겁게 꿈꾸지 않는다면 동화가 태어나지 않습니다. 글솜씨로는 동시나 동화를 못 씁니다. 문학창작이나 문예창작으로는 동시나 동화를 못 씁니다. 사랑스레 부르는 노래요 아름답게 짓는 꿈일 때에 비로소 동시나 동화를 씁니다. 4348.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떤 말로 쓰는가



  어린이문학은 어린이부터 어른이 함께 읽는 문학입니다. 그래서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글일 텐데, ‘어린이가 함께 읽을 수 있다’는 대목을 눈여겨보아야 합니다. 어른도 함께 읽는 글이지만 ‘어린이가 함께 읽을 수 있’어야 하는 줄 살피면서 글을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어린이문학은 거의 모두 어른이 쓰는 글이기 때문이에요.


  어린이문학을 쓰려는 어른은 ‘어른으로서 아는 말’로 글을 써서는 안 됩니다. 스스로 어린이가 되어 어린이 눈높이로 글을 써야 합니다.


  어린이문학을 쓸 적에는 ‘낱말 숫자를 500에 맞추’거나 ‘낱말 숫자를 2000에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낱말 숫자를 100에 맞추’어서 쓰기도 해야 합니다. 두어 살 아이가 읽을 그림책이라면 낱말 숫자를 100에 맞춥니다. 서너 살 아이가 읽을 그림책이라면 낱말 숫자를 200∼300에 맞춥니다. 너덧 살 아이가 읽을 그림책이라면 낱말 숫자를 500에 맞춥니다. 여덟 살 아이가 읽을 그림책이라면 낱말 숫자를 800∼1000에 맞추고, 열 살 아이가 읽을 동시집이나 동화책이라면 낱말 숫자를 1500∼2000에 맞춥니다.


  ‘낱말 숫자’란 무엇인가 하면, 이 낱말 테두리에서 모든 이야기를 풀어내는 틀입니다. 아이한테 ‘새로운 말을 가르치겠다’는 생각으로 아무 낱말이나 어린이문학에 써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받아들이거나 알아듣기 어려운 낱말을 넣어서 쓰는 글은 ‘배울 만한 글’이 되지 않습니다. 두 살 아이한테 부엌칼을 건네어 도마질을 시키는 꼴입니다. 네 살 아이도 낫질을 할 수 있지만, 아직 이릅니다. 낫질은 여덟아홉 살 즈음에 시켜도 됩니다.


  슬기롭게 글을 쓸 수 있다면, 낱말 숫자 500으로도 열여섯 살 푸름이가 읽을 소설을 쓸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낱말을 써야 하지 않습니다. 어린이문학이나 청소년문학을 쓰는 어른이라면, ‘더 많은 낱말’이 아닌 ‘삶을 밝히는 바탕이 되는 낱말’을 제대로 살펴서 써야 합니다.


  아이들은 새로운 말을 더 많이 더 빨리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낱말 하나마다 깊고 너른 사랑과 꿈을 헤아리면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자라는 나이와 머리와 넋에 맞추어 ‘낱말 숫자’를 천천히 늘립니다. 여덟 살을 지나 열 살 언저리부터 ‘낱말 숫자’를 제법 크게 늘릴 수 있고, 아이가 열두 살에 이르러 열세 살로 넘어갈 무렵에는 2500∼5000 낱말까지 쓸 수 있기도 합니다.


  너덧 살 아이가 읽을 그림책에 낱말 숫자를 500으로 맞춘다면, 이 낱말틀에 어떤 낱말이 들어갈까요? 슬기롭게 살피고 아름답게 돌아보며 사랑스레 헤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낱말틀 500에는 ‘필요·시작·통하다·감사·행복·미소·바이바이·상상’ 같은 낱말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이런 낱말은 왜 못 들어갈까요? 이런 낱말이 못 들어간다면, 우리 어른들은 어떤 낱말로 이야기를 풀고 실마리를 엮어야 할까요?


  어떤 낱말을 추슬러서 어린이문학을 하느냐에 따라, 아이와 어른이 함께 나눌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야기가 달라지는 결에 따라 삶이 달라집니다. 삶이 달라지는 흐름에 따라 꿈과 사랑이 달라집니다. 4347.10.2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꿈을 지어 즐겁게 살다



  아이린 하스 님이 빚은 이쁘장한 그림책 《꿈의 배 매기호》(비룡소,2004)가 있습니다. 이 그림책을 보면, 일고여덟 살 즈음 되는 듯한 아이가 저보다 서너 살 밑인 동생을 살뜰히 돌보면서 함께 노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그림책에서 주인공이 되는 가시내는 ‘내가 모는 내 나룻배’를 한 척 갖고 싶습니다. 그래서 내가 모는 배를 한 척 갖고 싶다는 꿈을 키우면서 날마다 즐겁게 노래합니다. 이러던 어느 날, 그림책 주인공인 가시내는 참말 ‘내 배’를 얻습니다. 아마 꿈속이었을 테지요. 그런데, 내 배를 얻은 가시내는 ‘내 배’를 쓱쓱싹싹 깨끗이 치웁니다. 청소부터 해요. 그러고는 도시락을 장만하고, 동생을 불러서 함께 바다를 가릅니다. 함께 도시락을 먹고, 씩씩하게 바다를 가르다가, 그만 거센 비바람을 만나요. 이때에도 일고여덟 살 즈음 큰아이는 꿋꿋하게 배를 몰아 비바람을 헤쳐 나갑니다. 마지막으로는 어린 동생을 잘 토닥이고 달래면서 잠을 재우는데 바이올린을 켜고 자장노래를 불러 주어요.


  그림책에 나오는 어린 동생은 하루 내내 누나 손길을 받습니다. 어린 동생은 한결같이 누나 손길을 포근하게 받습니다. 어린 누나는 저보다 어린 동생을 살뜰히 아끼면서 내내 빙그레 웃습니다.


  어린 누나는 이처럼 따사로운 웃음과 보드라운 손길을 어디에서 배웠을까요? 아마 집에서 배웠겠지요. 아이 어머니와 아버지가 여느 때에 따사로우면서 보드라운 몸짓으로 삶을 가꾸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보았겠지요.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즐겁게 물려받아, 이 사랑을 맨 먼저 제 동생한테 베풉니다.


  모든 사람이 똑같은 책을 좋아할 수는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똑같은 책을 읽어야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림책 《꿈의 배 매기호》에는 무척 깊고 너른 삶이 깃들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습니다.


  그림책 얼거리를 다시 돌아보면, 이 그림책 주인공인 가시내는 ‘별님’한테 ‘이루고 싶은 꿈’을 말합니다. 입으로 말하고 마음속으로 빕니다. 아주 오랫동안 말하고 빌었으리라 느껴요. 더욱이, 아주 오랫동안 말하고 비는 동안 즐겁게 기다렸구나 싶어요. 이러다가 비로소 어느 아침을 ‘새롭게 맞이’하면서 ‘내 배’를 만날 수 있어요.


  아이는 스스로 지은 꿈에 따라서 하루를 아주 즐겁고 신나게 놉니다. 아이는 스스로 지은 사랑에 따라서 하루를 아주 따사로우면서 포근하게 누립니다. 아이는 스스로 즐거우면서 신나는 마음이 되었기에, 어린 동생을 아주 아끼고 깊이 사랑하면서 신나게 함께 놉니다. 즐거움과 신나는 숨결이 함께 있으니 저절로 노래가 흐르고 악기를 켤 수 있습니다. 밥 한 그릇을 이웃이나 동무하고 나누듯이 동생하고 기꺼이 나눕니다. 동생을 먼저 재우고 뒤따라 함께 잠듭니다.


  그러니까, 그림책 《꿈의 배 매기호》는 ‘꿈을 짓는 삶은 언제나 사랑스러우며 아름답다’는 줄거리를 아주 멋지게 그린 작품이로구나 싶습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넋이라 저마다 다른 책을 즐길 텐데, 이러한 그림책을 한번 들여다볼 수 있다면, 아이와 어른이 함께 지을 꿈과 하루와 삶을 새롭게 바라보는 기운을 얻을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책을 덮고 우리 집 아이를 바라봅니다. 책을 꽂고 내 모습을 들여다봅니다. 이 그림책에 나오듯이 우리 집 아이도 사랑스러운 숨결로 하루를 짓곤 합니다. 나 또한 내 하루를 사랑스러운 숨결로 지을 때가 있습니다.


  꿈을 짓기에 삶을 짓고, 삶을 짓기에 하루를 짓습니다. 꿈으로 삶과 하루를 지으니 사랑을 지을 수 있고, 사랑을 짓는 사람은 노래와 춤을 지으면서, 웃음과 이야기를 지어요.


  예부터 어느 나라 어느 겨레에서든 옛이야기가 무척 많이 흐르는 까닭은 어느 곳에서든 사람들이 스스로 삶을 짓고 꿈과 사랑을 지었기 때문이라고 느낍니다. 아이와 나누는 이야기는 언제나 꿈과 사랑으로 짓습니다. 이웃하고 도란도란 나누는 이야기는 삶을 지을 때처럼 늘 즐겁게 짓습니다.


  그런데, 그림책에 나오는 아이는 그저 그림책에 나오는 아이뿐일까요? 큰아이는 작은아이를 안 아낄까요? 일고여덟 살짜리 아이는 동생을 사랑하거나 보살필 줄 모를까요?


  예부터 모든 아이들은 동생을 아꼈습니다. 우리 집 동생도 아끼고, 이웃집 동생도 아낍니다. 그런데 오늘날 사회에서는 ‘아낄 동생’을 만나기 어려워요. 집에서는 아이가 혼자이기 일쑤입니다. 학교는 일찍부터 입시지옥으로 흐릅니다. 학교 바깥은 학원이기 일쑤입니다. 마을 놀이터가 사라졌습니다. 골목은 자가용으로 꽉 차서 놀 빈틈이 없습니다. 오늘날 아이들은 기껏해야 피시방에서 인터넷게임을 하거나 손전화로 온갖 게임을 하는데, 아이들이 하는 게임은 ‘동무나 이웃을 아끼는 삶’을 보여주지 않아요. 아이들이 하는 게임은 ‘적을 죽이거나 때려잡는 짓’만 되풀이하도록 이끕니다.


  아이들이 동생을 아낄 줄 모른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오늘날 사회가 바로 아이들을 바보로 만든다고 느낍니다. 더욱이, 오늘날 사회는 남이 아닌 우리 스스로 만들었습니다. 오늘날 사회가 이루어져 아이들이 입시지옥과 게임폭력에 길든 지 고작 서른 해 즈음입니다. 백 해도 안 된 뒤틀린 사회 얼거리 때문에 수많은 아이들이 괴롭고, 아이들뿐 아니라 어버이도 고달픕니다.


  아이와 함께 아름답게 문학을 누리고 싶은 어른이라면, 아름다운 문학을 짓는 일과 함께 아름다운 사회를 이루도록 힘을 쏟아야지 싶습니다. 우리 동네와 마을을 아름답게 가꾸어야지 싶습니다. 내 보금자리를 사랑스레 보듬어야지 싶습니다. 나무를 심어서 돌보고, 숲이 푸르게 우거지도록 보살피며, 골목이나 고샅에 빈터가 생기도록 해야지 싶습니다. 입시지옥과 시험문제와 학교성적에 매이지 않는 어버이와 아이가 되어야지 싶습니다. 더 많은 책을 읽히지 말고, 아름다운 책을 아이와 함께 읽어야지 싶습니다.


  아이들이 꿈을 지어 즐겁게 놀 수 있는 곳에서 어른들은 사랑을 지어 서로 어깨동무를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꿈을 지어 즐겁게 놀도록 이끄는 그림책이란, 바로 어른들도 스스로 삶을 지어 사랑을 꽃피우도록 돕는 어여쁜 이야기꾸러미입니다. 4347.10.1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


아이가 읽는 그림책은 <나무의 아기들>입니다 ^^

이 그림책도 아주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주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을 그릴 적에



  그림책을 빚으려고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적에는 언제나 한 가지를 생각하기 마련이라고 봅니다. 무엇인가 하면, 이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책을 읽을 모든 사람들 가슴속에 따사로운 사랑이 깃들 수 있기를 바라지 싶습니다. 그런데, 지식을 더 얻거나 정보를 새로 주려 할 수 있겠지요. 다만, 이보다는 가슴속에 피어날 사랑을 헤아리지 싶어요.


  어떤 빛깔을 넣는다고 해서 그림이 따스해진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어떤 무늬나 모습을 그린다고 해서 그림이 따스해진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어떤 빛깔을 넣더라도, 그린이 마음이 따스하다면 언제나 따스합니다. 어떤 무늬나 모습을 그리더라도, 참말 그린이 마음이 따스할 적에는 언제나 따스해요.


  말투나 말씨가 이쁘장할 때에 따스하지 않습니다. 투박하거나 수수한 말투나 말씨라 하더라도, 말로 나타내어 들려줄 이야기가 따스하다면 참으로 따스한 글이 된다고 느껴요.


  그림을 꼭 잘 그려야 하지 않습니다. 글을 꼭 잘 써야 하지 않습니다. 무럭무럭 자라는 아이들과 즐겁게 나눌 사랑을 생각하면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면 됩니다. 그림솜씨는 그림을 그리다 보면 천천히 늘기 마련입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이웃 어른들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누릴 사랑을 생각하면서 글을 쓸 수 있으면 됩니다. 그림솜씨뿐 아니라 글솜씨도 글을 쓰면 어느새 찬찬히 늘기 마련이에요.


  나중에 솜씨가 늘었다 하더라도 굳이 솜씨를 뽐내려 하지 않으면 됩니다. 우리가 그림책을 읽는 까닭은 그림솜씨나 글솜씨를 보려는 뜻이 아니니까요. 빼어난 그림이나 놀라운 글을 구경하자는 뜻으로 그림책을 읽지 않아요. 동화책이나 동시집도 이와 같습니다. 소설이나 수필도 이와 같습니다. 우리는 빼어난 작품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책을 손에 쥐지 않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아름다운 생각을 품고, 스스로 아름다운 삶을 가꾸며, 스스로 아름다운 사랑을 씨앗 한 톨로 마음밭에 심고 싶기에 책을 손에 쥡니다. 4347.9.29.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우는 삶



  아이들이 배워야 할 것이라면, 어른도 함께 배워야 하는 이야기라고 느낍니다. 시골에서 두 아이를 돌보며 사는 동안 늘 느낍니다. 아이한테만 가르칠 수 없습니다. 아이한테 가르치면서 어버이인 나도 아이와 함께 배웁니다. 그러니까, 어른인 나 스스로 즐겁게 배워서 사랑스럽게 삶을 가꿀 이야기를 아이한테 가르치는 셈입니다. 아니, 아이한테 가르친다기보다 ‘물려준다’고 해야 옳습니다. 물려준다기보다도 ‘보여주’거나 ‘함께 나누’거나 ‘나란히 즐긴다’고 할 만합니다.


  아이는 무엇을 배울 때에 즐거울까요? 삶을 배울 때에 즐겁겠지요. 아이는 옆에서 어른들이 어떻게 가르칠 적에 즐거울까요? 활짝 웃고 노래하는 따사로운 마음으로 가르칠 때에 즐겁겠지요. 졸업장을 거머쥐려는 입시 시험이 아닌 삶을 스스로 가꿀 수 있는 슬기로운 길을 아이와 함께 가르치고 배우면서, 내 보금자리와 우리 마을을 함께 북돋우는 삶이 될 때에, 참다운 배움을 이루리라 느껴요.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모두 ‘배우는 책’입니다. ‘가르치는(교훈) 책’이 아닙니다. 삶을 배우고 사랑을 배우며 꿈을 배우도록 이끄는 책이 바로 그림책이나 동화책이라고 봅니다.


  아이들이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보면서 즐거운 까닭은, 삶과 사랑과 꿈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른들도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함께 들여다보면서 즐겁게 느낀다면, 삶과 사랑과 꿈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새롭게 배울 수 있기 때문이에요.


  어린이문학을 놓고 ‘교훈’이 있어야 하느냐 없어도 되느냐 하고 다투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어린이문학은 누가 누구를 가르치는 문학이 아니지 싶습니다. 어린이문학은 누구나 즐겁게 배우는 문학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도 배우고 나도 배우는 문학이에요. 어린이도 배우고 어른도 배우는 문학입니다.


  어린이문학을 읽으면서 ‘삶을 즐겁게 배우는 어린이’는 스스로 삶을 짓는 길을 차근차근 헤아립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바라보며 스스로 제 길을 찾아서 걷습니다. 지식을 배우거나 정보를 얻도록 하는 어린이책이 아니라, 삶과 사랑과 꿈을 배우도록 하면서, 스스로 씩씩하게 일어서거나 걷도록 돕는 어린이책입니다.


  어린이책을 쓰는 어른은, 함께 배우는 즐거움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라고 느낍니다. 어린이책을 아이한테 선물하면서 함께 읽는 어른은, 언제 어디에서나 함께 배우면서 함께 자라려는 마음이라고 느낍니다.


  아이도 자라고, 어른도 자랍니다. 아이는 몸과 마음이 자라고, 어른은 몸과 마음이 한결 튼튼하게 거듭납니다.


  그러고 보면, 아이들은 어린이문학을 읽으면서 말을 새롭게 배웁니다. 어른들도 어린이문학을 읽으면서 ‘어떤 말로 생각을 지어서 아이와 함께 나눌 때에 즐거운가’ 하고 살피면서 말을 새롭게 배웁니다. 삶과 사랑과 꿈도 언제나 새롭게 배우고, 말과 글도 언제나 새롭게 배웁니다. 배움은 고이지 않습니다. 배움은 흐릅니다. 어릴 적부터 어떤 낱말이나 말투가 익숙하다고 해서, 이런 낱말이나 말투를 언제까지나 써도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나한테는 익숙하지만 알맞지 않거나 올바르지 않은 낱말이나 말투가 있기도 해요. 이때에는 ‘아이가 말을 새롭게 배우’듯이 ‘어른도 말을 새롭게 배워’야 옳습니다. 이제껏 잘못 쓰거나 얄궂게 쓴 낱말과 말투를 내려놓고, 앞으로는 옳고 바르면서 알맞게 쓸 수 있도록 마음을 기울여야 합니다.


  새로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자랍니다. 그러니 아이들은 날마다 즐겁게 자랍니다. 어른들도 날마다 즐겁게 자라려 한다면 언제나 새롭게 배우면 됩니다. 이웃이 지내는 삶을 배우고, 내가 나아갈 꿈을 배웁니다. 오순도순 어깨동무하는 사랑을 배우고, 내 꿈을 이루도록 씩씩하게 걸어갈 길을 배웁니다. 아름답게 노래할 말을 배우고, 사랑스레 써서 주고받을 글을 배웁니다. 4347.9.28.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