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지방 : 마을이나 고을이나 시골에서 사는 사람은 ‘마을·고을·시골’이라는 이름을 쓴다. 마을도 고을도 시골도 아닌 데, 그러니까 서울에서 사는 사람은 ‘지방’이라는 이름을 쓴다. 서울내기한테는 서울이 아니면 모두 ‘지방’이다. 서울곁 인천도 부천도 수원도 고양도 죄다 ‘지방’으로 여긴다. 이제는 여러 서울내기가 ‘서울 아닌 곳’을 ‘지방’으로 여기지 않는 눈길을 틔우기도 하지만, 웬만한 서울내기는 ‘서울과 지방’이라는 두 갈래로 바라본다. 다들 아무렇지도 않게 “서울로 올라와”라든지 “부산으로 내려가”라든지 “강릉으로 내려가”라든지 “문산으로 내려가”처럼 쓴다. 서울 바깥으로 가면 죄다 ‘내려가다’이다. 그런데 부산내기는 양산이나 포항을 보며 “양산으로 내려가다”나 “포항으로 내려가다”라 한다. 전남 광주는 순천을 보며 “순천으로 내려가다”라 하고, 순천시는 고흥군을 보며 “고흥으로 내려가다”라 한다. 전남 고흥 시골에서 고흥읍은 “도화면으로 내려가다”처럼 쓰고, 시골 면소재지에서는 “○○마을로 내려가다”처럼 쓴다. 서울내기는 서울이 꼭두라 여기며 몽땅 내려다보는데, 서울 아닌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모두 다른 고을을 내려다본다. 광역시는 시를 내려다보고, 시는 군을 내려다본다. 군에서 읍은 면을 내려다보고, 면은 마을을 내려다본다. 마지막으로 시골 맨끝 마을에서는 “이장님 댁에 올라가다”라 한다. 꼴사납지. 볼썽사납지. 창피하지. 부끄럽지. 그런데 이 ‘올라가다·내려가다’ 같은 바보말이나 멍청말을 바로잡는 이는 아주 드물다. 서울내기만 탓할 일이 아니란 뜻이다. 서울은 서울대로, 우리나라 모든 마을과 고을과 시골은 그곳대로 스스로 이웃을 따돌리거나 내려다보거나 올려다보면서 바보짓이나 멍청짓을 잇는다. 언제쯤 ‘지방’이라는 구린말을 걷어낼까? 언제쯤 서울내기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 입에서 ‘올라가다·내려가다’ 같은 썩은말을 털어낼 수 있을까? 2015.11.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뻘짓을 하는 고흥군수 행정을 보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멍하게 : 쇳덩이를 몰면, 그러니까 ‘운전’을 하면 멍하게 못 지낸다. 걷거나 버스를 타거나 두바퀴(자전거)를 달리거나 기차를 탈 적에야 비로소 멍하게 쉴 수 있다. ‘멍때리기’는 바보짓이 아니다. 숨을 돌리려고 한동안 멍하게 쳐다본다. 겉모습이 아닌 속빛을 느끼고 읽으려고 가만히 멍하게 스스로 가다듬는다. 멍할 틈이 없이 바쁜 서울사람은 스스로 숨을 갉는다. 2023.10.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허물 : 허물이 있으니 허물을 본다. 허물이 있으니 허물을 벗는다. 허물을 벗으니 새롭게 깨어난다. 허물벗기를 하면서 새삼스레 배운다. 허물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은, 그저 살아가는 이 길에 거치는 작은 목이로구나. 허물을 감추거나 숨기려 하니 허울을 스스로 쓴다. 허물을 감추면서 허울을 뒤집어쓰니 겉을 꾸미고 치레한다. 이러다가 어느새 수렁에 잠겨 새카맣게 죽어간다. 2002.11.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이선균이 누구야? : 이선균이 누구야? 나는 이선균이란 이름을 처음 들을 뿐 아니라, 이이가 나왔다는 그림(영화)을 하나조차 본 적이 없다. 꽃님(배우) 이름은 아예 모르며 살아간다. 집에 보임틀(텔레비전)을 안 들여놓을 뿐 아니라,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볼 만하지 않고 봐서도 안 될 만한 그림(영화)은 쳐다보지도 않으니, 웬만한 꽃님 이름은 다 모른다. 김혜수나 이영애 같은 이름은 떠오르지만, 이이가 나온 그림을 우리 아이들한테는 하나도 안 보여주었다. 뭘 보여줄 수 있는가? 엊그제 우리 집 네 사람이 둘러앉아 〈호그 파더〉를 보았다. 이레쯤 앞서는 〈디스크 월드 : 마법의 색〉을 보았다. 좀더 앞서는 〈엘리멘털〉을 함께 보았고, 〈빌리 엘리어트〉를 새삼스레 다시 보았고, 〈부에나비스타쇼설클럽〉은 노래만 다시 들었다. 〈바다노래 Song of the Sea〉도 새롭게 다시 보았지. 꽃님으로 일하면서 돈을 벌기에 나쁘지 않다. 알림그림(광고)을 잔뜩 찍는대서 나쁠 일도 없다. 그러나 어린이 곁에서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만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림(영화·광고)이 아니라면, 그런 짓을 왜 하지? 푸른별을 사랑으로 북돋우고 돌보는 일에 이바지하는 그림(영화·광고)을 찍지 않는다면, 그런 이는 쳐다볼 까닭도, 이름을 알 일도 없다. 말밥에 오르면서 구렁텅이로 치닫는 이들을 보라. 이런 치는 하나같이 서울 한복판에서 번쩍번쩍하는 자랑을 한다. 말밥에 오르지 않고 한결같이 푸르게 빛나는 이들을 보라. 이런 사람은 다들 시골이나 멧골이나 바닷가나 숲에서 고즈넉이 풀꽃나무를 품으면서 하늘빛을 머금는다. 서울 한복판에 10억이든 100억이든 값비싼 집을 거느린들 삶이 아름다울 턱이 없다. 시골에서 한 채에 100만 원이든 1000만 원이든 조그맣고 조촐한 보금자리를 푸르게 일구는 사람은 아무런 말썽을 안 일으킨다. 돈을 벌었거나 이름을 날렸다면, 부디 서울을 떠나서 시골에서 호미랑 낫이랑 삽이랑 쟁기를 쥐고서, 다른 쇳덩이(자동차)는 부리지 않으면서, 나무를 품고 들꽃을 사랑할 수 있기를 빈다. 나무를 등지고 들꽃을 멀리하니까 엉뚱한 곳에서 바보짓을 일삼을 수밖에 없다. 2023.10.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정복 : ‘내 것’이 아직 아니니, 나로서는 어느 것도 쓸 수 없다. ‘네 것’이라면 네가 쓰겠지. 너한테서 빼앗는대서 내가 쓸 수는 없다. 내가 너한테서 빼앗으면 ‘내 소유’라는 이름으로 둘 수 있더라도, 껍데기(허울·겉)를 곁에 둘 뿐이니, 이 껍데기로는 제값·속값을 못한다. 제값도 속값도 못하는 껍데기는 내 것이 되지 않는다. 거꾸로 ‘내 소유’가 아닌 ‘네 소유’가 되도록 내 것을 너한테 빼앗겼다고 하더라도, 이 또한 ‘정복’이 아닌 ‘강탈·강압’일 뿐이니, 너는 나한테서 빼앗은 그 껍데기(허울·겉)만 붙잡고서 나대는 셈이다. 우리가 저마다 ‘내 것’으로 삼는다고 할 적에는, 우리 손아귀에 거머쥐도록 한다는 뜻이 아니다. 우리 스스로 온마음을 다해서 지켜보고 가꾸어서 늘 새롭게 빛나도록 돌보는 길을 간다는 뜻이다. 거머쥐거나 빼앗으면서 무릎을 꿇려 보았자 껍데기일 뿐이다.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하고, 살림을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사랑을 돌볼 줄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할 적에는 ‘우리 것(내 것)’을 오롯이 누리고 편다. 1997.8.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1997년 한여름.

군대에서 이런 쪽글을 남겼구나.

삶죽음 사이를 날마다 오가면서

안 미치고 제넋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고 생각하던

어느 날

중대장과 행보관 꼬락서니를 보고서

남긴 글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