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외국말은 처음에 : 모름지기 다른 나라 말을 처음 배울 적에는 그 나라 어린이책이나 그림책부터 펼칠 노릇이다. 왜 그럴까?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은 바로 ‘그 나라에서 살아가면서 쓰는 밑바탕이 되는 말’로 엮기 마련이니까. 아직 한국은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에 ‘한국에서 살아가면서 쓸 밑바탕이 되는 말’보다는 엉뚱한 번역 말씨나 얄궂거나 어려운 일본 한자말이 가득하지만, 한국을 뺀 다른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에 밑살림말을 그 나라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으로 배울 수 있다. 한국말이 왜 어지럽거나 엉터리냐 하고 묻는다면, 대꾸할 말은 참 쉽다. “한국에서 나오는 그림책이나 어린이책에 적힌 말이 얼마나 한국말답습니까? 그런 말을 읽고 듣고 말하며 자랄 아이들이 참말로 한국말다운 한국말을 듣거나 읽거나 배운다고 할 만한가요?” 하고 되물으면 된다. 할머니가 되게 어린 아이들한테 들려주는 말씨로 그림책이나 어린이책을 엮을 노릇이다. 300이 채 안 되는 매우 적은 낱말만으로 그림책이나 어린이책을 쓸 일이다. 여덟아홉 살 즈음이라면 500 낱말 즈음으로 엮어도 될 테고, 열 살부터 700을 넘어설 만하고, 열두 살이라면 1000 낱말도 좋다. 다시 말해서, 그 나라 어린이책은 그 나라 바탕말을 배우는 잣대요 눈금이라 할 수 있다. 사전보다도 그 나라 어린이책을 곁에 두면서 말을 배우면 된다. 2002.3.4.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아무 잘못도 : 아무 잘못도 없는 줄 느껴서 알고 새로 꿈길로 가는 오늘로 살아가도록 그 일이 찾아온다. 온몸뿐 아니라 온마음으로 느껴서 스스로 새로 일어서도록 그 일은 끝없이 찾아온다. 그 일을 그만할 수 있을 때에 그 일은 더 찾아오지 않는다. 이러면서 오로지 우리가 꿈으로 지을 길만 마음에 새겨서 한 걸음씩 나아간다. 2007.12.25.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바지 입은 가시내 : 이제는 ‘바지 입은 가시내’를 두고 뭐라 하는 사람은 드물다. 아예 없지는 않다만, 거의 사라졌다 할 만하다. 학교옷을 입히는 곳에서도 ‘바지만 입으려는 학생’이 스스로 고르도록 맡기는 흐름이 된다. 이 나라에서도 1900년대 첫머리에 ‘치마를 벗어던지고 바지를 꿰는 물결’이 있었다. 이 물결은 예순∼일흔 해 만에 빛을 보았구나 싶은데, 문득 다르게 생각하고 싶더라. ‘가시내가 치마를 벗어던질 일’이 아니라 ‘사내한테 치마를 입힐 일’은 아니었을까? 가시내이든 사내이든 ‘치마나 바지를 마음대로 골라서 입도록’ 갈 적에 비로소 길이 확 트이지 않을까? 치마만 두르다가 바지를 꿴 사람은 두 옷이 어떻게 다른가를 안다. 치마가 나쁘기만 하지 않다. 이른바 ‘파자마’ 같은 옷도 치마하고 비슷하다. 긴 마고자나 저고리, 그리고 ‘잠바’나 ‘패딩 코트’도 치마하고 비슷하다. 잘 생각해 보자. 아직 뭇사내가 그리 달라지지 않는 탓이라면 ‘치마 두르는 사내’가 되어 보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아기를 낳지 못하는 몸인 사내’라 하더라도 ‘갓난쟁이한테 가루젖을 먹이고 재우고 자장노래 부르고 같이 놀고 돌보는 살림’을 해본다면, 사내라 하더라도 머리가 확 깨일 만하다. ‘밥하고 설거지하고 부엌일 도맡으며 집살림을 구석구석 챙기는 살림’을 해본다면, 사내인 몸이어도 얼마든지 머리를 확 틔울 수 있다. 버스나 지하철 쩍벌사내란 무엇인가? 치마를 안 둘러 본 탓이지. 오두방정짓을 일삼는 사내란, ‘사랑으로 아이를 돌보는 집살림’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배운 적도 겪은 적도 느낀 적도 없는 모습이리라. 이들 사내한테 치마를 입히는 물결이 일기를 빈다. 대통령·국회의원·법관·군수·시장·교장 교감을 비롯한 뭔가 한자리 맡았다는 모든 사내한테 먼저 깡동치마를 입히고 일하도록 해야지 싶다. ‘치마 입는 사내’로 적어도 열∼스무 해를 살거나 일하도록 한 뒤에, 그 뒤로 어느 옷이든 스스로 골라서 입도록 한다면 참으로 아름나라가 될 만하리라 본다. 2017.12.27.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에코백 : 어느 분이 그러더라, ‘에코백을 장만해서 제대로 쓰려면 삼백 판 넘게 들고 다니면서 써야 한다’고. 그런데 마땅한 일 아닌가? 삼백 판이 아니라 스무 해나 서른 해쯤 쓰려고, 또 이렇게 쓰면서 틈틈이 기우고 손질해서 아이한테 물려주려고 곁에 두는 천바구니 아닐까? 나는 책이며 옷이며 일감이며 물병이며 사진기이며 갖은 살림을 등짐이나 끌짐에 채워서 마실을 다닌다. 혼자 다닐 적에도 천바구니는 열 자루쯤 있어야 하는데, 아이들 이끌고 다닐라치면 스무 자루쯤 있어야 넉넉하다. 비닐자루를 하나도 안 쓰자면, 두 아이랑 곁님까지 넷이 마실을 다닐 적에 천바구니가 서른쯤 있어야 안 아쉽겠더라. 누구는 뭘 그리 많이 갖추려 하느냐고 묻지만, 말 그대로 비닐자루를 하나도 안 쓰자면 그리 갖추어야 한다. 크고 펑퍼짐한 천바구니, 옷만 담는 천바구니, 살짝 작거나 제법 작은 주머니 같은 천바구니, 이렇게 여러 가지로 두루 갖추어 그때그때 다르게 쓴다. 그리고 보름이나 한 달에 한 벌쯤 빨래를 해서 햇볕이랑 바람에 말린다. 2019.12.24.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영양 버스나루 : 경북 영양군 영양읍에 있는 버스나루가 확 바뀌었다. 너무 낡아서 안 좋다는 말은 꽤 오래 있었다는데, 영양 부군수는 이런 얘기를 아마 처음 들은 듯하고, 처음 듣고서 바로 고치라고 일을 시켜서 한달음에 달라졌다고 한다. 이렇게 달라진 영양 버스나루를 보니 커다란 텔레비전이 붙었다. 버스나루 한복판에 붙은 큰 텔레비전은 사건·사고 이야기가 쩌렁쩌렁 울리는 소리로 퍼진다. 이 버스나루를 드나들 할머니 할아버지뿐 아니라,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뭘 보고 느끼고 배우라는 뜻이 될까? 즐겁거나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 이야기나 영화나 그림이 흐르는 텔레비전이 아니라, 온통 죽이고 죽고 다치고 싸우는 사건·사고 이야기만 쩌렁쩌렁 흐르는데, 왜 이런 텔레비전을 놓을까? 모름지기 어느 고장 버스나루이든 텔레비전은 몽땅 치우고서, 그 고장 글꾼이 지은 알찬 시집이며 소설책이며 동화책을 놓을 노릇이리라. 그리고 아름다운 동화책하고 그림책하고 청소년책을 놓아서, 그 고장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버스나루를 오갈 적에 마음을 쉬고 생각을 북돋아 제 고장을 사랑하는 숨결을 키우도록 하는 징검다리 같은 자리가 되기를 빈다. 2019.12.23.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