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2.4.8.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3 깔개



  종이쓰레기터(폐지처리장)로 가는 책은 이미 책이 아닌 ‘종이쓰레기’인 터라 삽차가 퍽퍽 찍고 물을 잔뜩 뿌려 부풀려 놓습니다. 헌책집지기는 이 종이쓰레기터에서 ‘되살릴 책’을 하나하나 쥐고 헤아리면서 먼지를 뒤집어썼습니다. 걸레로 닦고 해바람에 말려 묵은 냄새를 빼내고서야 비로소 책시렁에 꽂아요. 새책을 새책집으로 보내는 ‘물류창고’에서는 책을 책으로 안 여기는 분이 많았습니다. 밟거나 던져요. 이런 모습을 보며 “밟지도 깔고앉지도 던지지도 마십시오. 다쳐서 폐기해야 하면 책임 집니까?” 하고 따졌더니 제가 일하던 펴냄터(출판사) 사장·부장한테 전화해서 “뭐 저런 새끼가 다 있냐? 잘라라!” 하더군요. ‘표절작가·역사인식이 천박한 작가’가 내놓은 책을 두어 판쯤 냄비 깔개로 쓴 적 있으나 영 찝찝해서 어떤 책도 깔개로 안 삼습니다. 철없는 펴냄터나 글바치가 내놓은 책이어도 “모든 책은 책”이니, “깔개로 삼아서 잘못했습니다” 하고 책한테 빌었어요. 2002년 무렵이었는지, 어느 헌책집 아재가 바닥에 털썩 앉으며 얘기했습니다. “난 아무리 다리가 아파도 책에 못 앉아요. 헌책이어도 책이잖아요. 살짝이라도 책에 앉으면 책이 다치고 아파요. 나중에 안 팔려서 다시 버려야 해도 아끼고 싶어요.”


ㅅㄴㄹ


다리가 아프면 흙바닥에 앉으면 된다.

흙바닥에 앉으면서

이 별을 이룬 흙을 헤아리면

우리 스스로 아름답게 피어날 만하다.


문화재이든 아니든

아무 데나 함부로 앉으면

안 될 일이라고 생각하기가 어렵다면

이런 마음이라면

우리나라가 이렇게까지

책을 뒷전으로 밀치고

도서정가제도 개악으로 뒤틀려고 하는

모든 못난 짓이

어디부터 비롯했는지

더없이 손쉽게 읽어낼 만하다.


잘못했으면

고개숙이고 빌면 된다.

잘못을 받아들이지 않고

고개숙이거나 빌 줄 모르면

바보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1 그림책



  그림으로 엮어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림책입니다. 이 그림책은 어린이부터 쉽게 알아보거나 느끼도록 엮어요. ‘어른만 누리려고 엮는다’면 어쩐지 그림책하고 동떨어지는구나 싶습니다. 처음부터 어린이를 오롯이 헤아리고 바라보고 사랑하면서 짓는 그림책인 터라, “아이어른을 가리지 않고서 삶빛(살아가는 빛)을 그려서 마음에 생각을 심는 길을 이야기로 들려주는 책”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저는 어릴 적에 그림책을 아예 못 읽었습니다. 싸움판(군대)에 끌려가기 앞서인 스무 살에 열린배움터 책집(대학교 구내서점)에서 곁일(알바)을 하던 어느 날 처음으로 그림책을 만났어요. 곁일삯으로 첫 그림책을 장만했고, 다른 곁일로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를 했는데, 새뜸나름터(신문사지국) 조그마한 잠자리에서 눈물로 볼을 적시면서 읽었습니다. 큰아이를 서른 몇 살에 낳았는데, 아이 없이 사는 동안에도 그림책을 가까이했고, 큰아이가 열다섯 살을 넘어섰어도(2022년) 함께 그림책을 누려요. 아이들하고 그림책을 즐기며 살아오면서, “모든 아이는 모든 어른(어버이)한테 사랑을 가르치려고 별빛을 타고서 찾아왔네” 하고도 배웁니다. 넌지시 속삭이는 그림책입니다. 사랑으로 노래하는 그림책입니다. 오늘을 기쁘게 놀자는 그림책이에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0 손글



 우리한테 가장 마음을 달래 주면서 빛이 되는 책이란, “우리가 우리 이야기를 우리 손으로 쓴 글로 묶은 책”이라고 느껴요. 스스로 살아낸 발걸음을 차근차근 꾹꾹 눌러담아서 적어 보면 어느덧 모든 수수께끼하고 실마리를 가만히 풀 만하구나 싶어요. 훌륭한 분이 쓴 책을 읽으면서도 마음을 달래고 수수께끼랑 실마리를 풀기도 하지만, 모든 책은 책쓴이 스스로 마음을 달래면서 그분 수수께끼랑 실마리를 풀어낸 자취입니다. 책쓴이는 바로 스스로 사랑하는 눈빛으로 삶을 새롭게 읽었기에 그분 발자취를 책으로 여미어 스스로 다독일 뿐 아니라, 그분한테 이웃일 우리한테도 사랑스레 빛살을 나누어 준 셈입니다. 우리는 우리 삶자취를 우리 손길로 풀어내고 담아내고 여미면서 이 하루를 손수 가다듬어 누리는 길을 열어요. 이때에 바로 우리가 스스로 마음을 돌아보고 토닥일 뿐 아니라, 우리한테서 샘솟는 사랑이라는 빛줄기가 우리 이웃한테도 가만히 퍼지지요. 손글 한 줄을 적으면서 스스로 피어납니다. 손글 두 줄을 쓰면서 새삼스레 눈을 뜹니다. 손글 석 줄 넉 줄을 차근차근 갈무리하면서 스스로 활짝 웃고 촉촉히 눈물을 적시다가, 눈부시게 날개를 펴고서 하늘빛으로 물든 바람을 마시고 바다를 누비는 길을 열어젖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99 책숲



  오늘 우리는 ‘도서관(圖書館)’ 같은 이름을 그냥 쓰지만, 일본이 지은 이름이요, 이 나라 첫 도서관조차 일본이 조선총독부를 앞세워 지었습니다. 조선에 ‘규장각’이 있었되 임금·임금붙이·벼슬아치만 드나들고 흙님이 못 읽을 글만 가득했으니 ‘도서관’이란 이름이 어울리지는 않습니다. “규장각 = 임금님 책터”이지요. 이런 책자취를 아는 이웃님은 제가 2007년에 〈사진책 도서관〉을 열고서 〈사전 짓는 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꾸는 2017년 무렵까지 못마땅히 여겼어요. 왜 ‘도서관’이라는 이름을 그냥 쓰느냐고 따지셔요. 혼잣힘으로 ‘도서관’을 꾸리며 늘 생각했어도 뾰족히 새이름을 못 찾다가, 2017년에 ‘책숲집’이란 낱말을 엮었습니다. “책 = 숲”이긴 하지만, “도서관 = 책을 숲처럼 건사하며 사람들이 느긋이 드나들어 쉬는 집”이라고 느꼈어요. 그래서 ‘책 + 숲 + 집’입니다. 책을 사고파는 곳은 ‘책가게·책집’이요, 책숲집하고 책집은 “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나가 될” 적에 수수하게 ‘책숲’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집에 책을 건사하는 자리는 ‘책마루(← 서재)’요, 혼잣힘으로 책숲집을 연다면 ‘책마루숲(← 서재도서관)’이에요. 나라책숲(← 국립도서관)이고, 마을책숲(← 지역도서관)이고요.


ㅅㄴㄹ

#책숲 #책숲집 #도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98 책집지기



  ‘배운’ 사람은 읽지 않습니다. ‘배운’ 사람이 아닌, ‘배우려는’ 사람이 읽습니다. ‘배우려는’ 사람이 쓰고, ‘배우려는’ 사람이 책집지기라는 살림을 펴며, ‘배우려는’ 사람이 책수다를 나누면서 도란도란 생각날개를 폅니다. ‘배운’ 사람은 가르치려 합니다. ‘배우려는’ 사람은 하나씩 바라보면서 마음에 심을 생각을 즐겁게 맞아들입니다. ‘배운’ 사람은 이미 몸이며 마음에 틀을 굳게 올린 터라, 새길(생각)을 좀처럼 안 맞아들일 뿐 아니라, 내치거나 손사래치기까지 합니다. 배웠고 알았다지만 새삼스레 배우려는 마음을 일으키기에 책읽기에 책쓰기를 하고, 책집이나 책숲을 열겠노라 꿈을 지핍니다. 배웠고 알았으니 ‘끝났다’고 여기기에 책을 겉치레로 보고 글을 겉꾸밈으로 쓰려고 합니다. “배운 사람은 나쁘다”고 할 수 없어요. “배운 사람은 쉽게 고이네” 싶습니다. “배우려는 사람은 흐르는 물줄기 같다”고 할 만하며, 즐겁게 노래하듯 흐르는 냇물·빗물 같으니, 스스로 생각이 샘솟아 어깨를 활짝 펴며 걷거나 달려요. 마을에 조촐히 책집을 여는 이웃·동무란 눈·생각·마음을 틔워서 사랑을 짓는 길을 가려는 뜻이라고 느낍니다. 저는 책집지기 곁으로 마실을 하며 눈망울을 별빛처럼 틔우고 싶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