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특수 特殊


 특수 기능 → 다른길 / 새길 / 돋움빛

 특수 문자 → 돋움글 / 돋글씨

 특수 체질 → 다른 몸바탕 / 다른 몸

 특수 훈련 → 갈고닦다 / 땀노래 / 닦달 / 뼈를 깎다

 특수 제작된 등산화 → 따로 만든 멧신

 특수하게 만들어진 창문 → 탄탄하게 짠 바람닫이

 특수한 상황에 처하다 → 유난한 자리에 놓이다


  ‘특수(特殊)’는 “1. 특별히 다름 2. 어떤 종류 전체에 걸치지 아니하고 부분에 한정됨. 또는 그런 것 3. 평균적인 것을 넘음. ‘뛰어남’으로 순화”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다르다·남다르다·또다르다·어느’나 ‘딴판·뜻밖·생각밖·따로·딱히’나 ‘꽃·곱다·고운꽃·고운빛·고운별’로 손봅니다. ‘숨·숨결·숨빛·숨꽃·숨통·숨붙이·숨소리’나 ‘유난하다·눈부시다·단단하다·밝히다·널리’로 손볼 만하고, ‘새·새롭다·새롬빛·멋·멋스럽다’나 ‘별·별빛·별쭝나다’로 손봅니다. ‘아름답다·아름꽃·아름별·아름빛·아름꽃빛·아름빛꽃’이나 ‘좋다·톡톡하다·튀다·빛깔있다·빛다르다’로 손볼 수 있고, ‘뜨다·뜨이다·띄다·보이다·되다’나 ‘나타나다·나타내다·드러나다·드러내다’로 손봅니다. ‘드물다·보기 드물다·덤·눈에 띄다·가멸다·가멸차다’나 ‘도드라지다·두드러지다·돋보이다’로 손볼 만하고, ‘톡·톡톡·확·훅·휙·휭·윙’이나 ‘잘하다·뛰어나다·빼어나다·훌륭하다·휘어잡다’나 ‘물결·물꽃·물결치다·바다·바람·너울·너울거리다’로 손보면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특수’를 둘 더 싣는데, 뛰어나면 ‘뛰어나다·빼어나다’라 하면 되고, 남달리 일어나면 ‘너울·물결·바람·덤’이라 하면 됩니다. ㅅㄴㄹ



특수(特秀) : 특별히 뛰어남

특수(特需) : [경제] 특별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수요



한국이란 특수한 풍토에서 피어난 문학이다

→ 남다른 이 나라 터전에서 피어난 글이다

→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피어난 글꽃이다

《시정신과 유희정신》(이오덕, 창작과비평사, 1977) 136쪽


보다 더 확실한 것을 알기 위해 희생물의 특수한 부위에 자극을 가한다

→ 더욱 뚜렷이 알려고 먹잇감 어느 곳을 툭툭 건드린다

→ 더욱 잘 알겠다면서 밥 어느 곳을 자꾸 만져 본다

《군중과 권력》(엘리아스 카네티/반성완 옮김, 한길사, 1982) 332쪽


플랑크는 공진자들의 평균 에너지와 그것들의 엔트로피 사이의 관계에 대해 하나의 특수한 가정을 세움으로써

→ 플랑크는 떨림돌 나란힘과 힘값 사이에서 한 가지 틀을 새로 세워서

→ 플랑크는 맞울림 고루힘과 빛값이 얽힌 틀을 새롭게 세워서

《막스 플랑크》(존 L.하일브론/정명식·김영식 옮김, 민음사, 1992) 19쪽


한쪽은 특수훈련을 받은 여전사. 다른 한쪽은 목숨 아까운 줄 모르는 킬러잖아

→ 한쪽을 갈닦은 싸움순이. 다른 한쪽은 목숨 아까운 줄 모르는 목숨잡이잖아

《불새 16》(데즈카 오사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2쪽


특수한 기능은 없지만 통각은 있습니다

→ 다른 재주는 없지만 아픔은 느낍니다

→ 딱히 재주는 없지만 아픈 줄 느낍니다

→ 따로 재주는 없지만 괴로움을 압니다

《일상 2》(아라이 케이이치/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17쪽


특수학교 내에서도 장애가 심하다는 이유로

→ 별빛마루에서도 더 별님이라고 하면서

→ 별배움터에서도 더욱 별빛이라 여기며

《캠프힐에서 온 편지》(김은영, 知와사랑, 2008) 30쪽


뒤떨어졌다든지 특수하다든지 하는 구별은 하지 않아요

→ 뒤떨어졌다든지 뛰어나다든지 하고 가르지 않아요

→ 뒤떨어졌다든지 잘한다든지 하고 나누지 않아요

《핀란드 교실혁명》(후쿠타 세이지/박재원·윤지은 옮김, 비아북, 2009) 159쪽


또 어떤 친구는 특수교사의 꿈을 꾸고, 어떤 친구는 가게의 점원으로 일을 하며 성실히 자신의 장래를 설계한다

→ 또 어떤 아이는 별빛지기 꿈을 꾸고, 어떤 아이는 가게일꾼으로 일을 하며 꾸준히 제 앞길을 그린다

→ 또 어떤 아이는 별지기 꿈을 꾸고, 어떤 아이는 가게에서 일을 하며 바지런히 제 앞날을 그린다

《어떤 동네》(유동훈, 낮은산, 2010) 24쪽


가로로 긴 특수한 판형

→ 가로로 긴 유난한 판

→ 가로로 긴 튀는 얼개

→ 가로로 긴 별쭝난 틀

《블랙잭 창작 비화 3》(미야자키 마사루·요시모토 코지/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4) 163쪽


부리는 뼈로 이루어졌고, 그 위에 케라틴이라는 특수한 단백질이 덮여 있다

→ 부리는 뼈이고, 단단한 흰자로 덮는다

《사라진 숲의 왕을 찾아서》(필립 후즈/김명남 옮김, 돌베개, 2015) 22쪽


그 사람은 특수한 부류니까

→ 그 사람은 다른 갈래니까

→ 그 사람은 남다르니까

→ 그 사람은 유난하니까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 11》(토우메 케이/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2016) 33쪽


하지만 그건 특수한 능력 같은 게 아니라 사소한 것이 남들보다 조금 더 잘 들리는 정도라서 전혀 자랑할 건 아니다

→ 그러나 뛰어다기보다 작은소리를 남보다 조금 더 들을 뿐이라서 그리 자랑할 만하지 않다

→ 그러나 따로 솜씨가 아니라 작은소리를 남보다 조금 더 들을 뿐이라서 썩 자랑할 만하지 않다

《행복한 타카코 씨 1》(신큐 치에/조아라 옮김, AK comics, 2017) 3쪽


T공화국에는 비밀로 하고 T공화국 내부에서 특수한 화학무기를 만들고 있어

→ ㅌ나라에는 숨기고 ㅌ나라에서 죽음물을 만들어

→ ㅌ나라에는 몰래 ㅌ나라에서 죽음가루를 만들어

《블랙 벨벳》(온다 리쿠/박정임 옮김, 너머, 2018) 362쪽


특수한 살덩어리가 종의 한 구성원을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구별 짓는다

→ 남다른 살덩어리가 갈래에서 하나를 다른 하나하고 갈라 놓는다

《유물론》(테리 이글턴/전대호 옮김, 갈마바람, 2018)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탐스럽다 貪


 탐스럽게 핀 장미 → 소담스레 핀 꽃찔레

 감들이 탐스럽게 열렸다 → 감이 주렁주렁 열렸다

 뭉게구름이 탐스럽게 피어오르고 있었다 → 뭉게구름이 가득 피어오른다

 머리카락이 탐스럽다 → 머리카락이 칠칠하다 / 머리카락이 봉긋하

 탐스럽게 잘 익다 → 잘익다


  ‘탐스럽다(貪-)’를 “마음이 몹시 끌리도록 보기에 소담스러운 데가 있다”로 풀이합니다. ‘탐스럽다 = 소담스럽다’라고 밝히는 셈입니다. 우리말 ‘소담스럽다’를 찾아보면 “1. 생김새가 탐스러운 데가 있다 2. 음식이 풍족하여 먹음직한 데가 있다”로 풀이합니다. ‘소담스럽다 = 탐스럽다’라고 밝히는 셈입니다. 어설픈 돌림풀이입니다. 다만, ‘소담스럽다’로 고쳐쓰면 된다는 뜻일 테지요. 이밖에 ‘먹음직하다·맛있다’나 ‘흐드러지다·흐무러지다·흐벅지다’로 고쳐씁니다. ‘푼더분하다·함함하다·칠칠하다·다복하다·다북지다’나 ‘넉넉하다·넘치다·푸지다·푸짐하다’로 고쳐쓸 만하고, ‘봉긋하다·터질 듯하다·익다·잘익다’나 ‘무럭무럭·주렁주렁·통통’으로 고쳐써요. ‘가득·그득·한가득·잔뜩·듬뿍’이나 ‘알차다·알뜰하다·알알이’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탐스럽게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소담스레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알알이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봉긋봉긋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그득그득 피는 오월

《산책》(김천영·임덕연, 삶이보이는창, 2007) 46쪽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탐스럽게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소담스러워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알차게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알뜰히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주렁주렁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한가득 나왔어

《빵을 훔친 꼬마 악마》(우치다 리사코/고향옥 옮김, 비룡소, 2014) 17쪽


탐스러운 복숭아를 먹는다

→ 소담스런 복숭아를 먹는다

→ 맛있는 복숭아를 먹는다

→ 잘익은 복숭아를 먹는다

→ 통통한 복숭아를 먹는다

《가족의 시골》(김선영, 마루비, 2015) 151쪽


탐스러운 열매만큼이나 그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소담스런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알찬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넉넉한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푸짐한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섬마을 산책》(노인향, 자연과생태, 2017) 22쪽


탐스럽게 매달고 있었습니다

→ 먹음직스럽게 매달았습니다

→ 소담스럽게 매달았습니다

→ 알차게 매달았습니다

→ 알알이 매달았습니다

《적당히 쓸쓸하게 바람 부는》(심재휘, 최측의농간, 2017) 13쪽


내가 죽으면 청상과부 될 아내의 탐스런 자태를 떠올리니

→ 내가 죽으면 홀로일 곁님 흐벅진 모습을 떠올리니

→ 내가 죽으면 홀어미일 짝꿍 봉긋한 몸을 떠올리니

《원시별》(손석춘, 철수와영희, 2023) 29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취중진담



 취중진담을 주고받았다 → 곤드레속말을 주고받았다

 술자리에서 가진 취중진담이었다 → 술자리에서 나온 속말이다

 눈물의 취중진담을 토로했다 → 눈물로 술김속빛을 털어놓았다


취중진담 : x

취중(醉中) : 술에 취한 동안 ≒ 취리

진담(眞談) : 진심에서 우러나온, 거짓이 없는 참된 말



  술 한 모금에 속내를 털어놓는 일이 있다고 합니다. 또는 곤드레만드레하면서 비로소 속말을 들려주기도 한답니다. 이런 얼거리를 살펴서 ‘곤드레속말·곤드레속빛’이나 ‘고주속말·고주속빛’이라 할 만합니다. ‘술김속말·술김속빛·술결속말·술결속빛’이나 ‘술기운속말·술기운속빛’이라 할 수 있어요. ‘술자리속말·술자리속빛’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보통 취중진담이라는 말이 있잖습니까

→ 으레 술김속말이라고 있잖습니까

→ 흔히 술자리속빛이라고 있잖습니까

→ 다들 곤드레속말이라고 있잖습니까

《원시별》(손석춘, 철수와영희, 2023) 27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5.

오늘말. 국물


먼저 피는 꽃이 있더라도 덩달아 피는 꽃은 아닙니다. 모든 꽃은 때를 기다리면서 스스로 바람을 타고서 눈을 뜹니다. 차곡차곡 이루든 차근차근 일어나는 들꽃입니다. 어느새 토끼풀밭이나 괭이밥밭을 드리우는 듯해도, 천천히 오르는 풀싹이 햇볕을 나누어 받으면서 땅바닥을 부드러이 덮어요. 세잎토끼풀이 겹겹이 있는데, 틀림없이 네잎토끼풀이 있으리라 여겨 살짝살짝 뒤적입니다. 댓바람에 찾아내려고 하면 헛물이기 일쑤입니다. 냉큼 뽑아 본들 잘못 집어요. 한달음에 찾으려 하지 말고, 풀내음에 봄내음을 느긋이 맡으면서 슬쩍슬쩍 돌아볼 적에 머잖아 눈앞에서 네잎을 만나게 마련입니다. 실컷 풀꽃놀이를 하고서 밥을 차립니다. 솥에 쌀을 올립니다. 국도 합니다. 국물이 부글부글 끓으면 간을 맞춥니다. 풀밭에서 놀다가 훑은 쑥을 슥 넣습니다. 새봄에만 누리는 봄내음이 국에 고루 번집니다. 집에서는 살림살이요, 밖에서는 소꿉놀이입니다. 두 가지로 누리는 하루입니다. 나란하면서 두모습으로 하루를 맞이합니다. 자, 밥도 국도 다 했으면, 이제는 함께 즐겨요. 밥 한 술을 가볍게 뜹니다. 국 한 그릇을 같이 받습니다. 이내 구수히 입맛을 돋웁니다.


ㅅㄴㄹ


겹·겹겹·겹치다·겹길·덮다·뒤덮다·드리우다·두겹·두칸·두켜·두모습·두얼굴·두이름·두 가지·켜·켜켜이·포개다·차곡차곡 ← 복층, 복층적


짧다·반짝·갑자기·한때·한동안·문득·불쑥·살짝·슬쩍·슥·쓱·가볍다·넌지시·곧·곧장·곧바로·바로·오래지 않아·머잖아·대뜸·댓바람·이내·같이·나란히·더불어·거품·물거품·부질없다·덧없다·덩달아·냉큼·-면서·-이자·-자마자·얼마 못 가다·오래 못 가다·하루·한꺼번에·한몫에·한숨에·한눈·한달음·한두·함께 ← 일시(一時), 일시적(一時的)


고깃물·국물 ← 육수(肉水), 부용(bouillon)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5.

오늘말. 키잡이


어린이는 앞장서서 걷기를 즐깁니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 모르더라도 둘레 여러 사람을 끌면서 조잘조잘 노래하면서 웃습니다. 아이 뒤에서 차근차근 따라가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오늘은 어른인 몸이라서 뒤서며 가는데, 지난날 아이인 몸으로서 앞서갈 적에 얼마나 신나게 콩콩 뛰었는가 하고 되새깁니다. 첫단추란 첫길이면서 첫물이기도 하지만, 이제부터 곧게 뻗으려는 첫마음이기도 합니다. 첫밗이란 처음이자 새길이기도 하며, 오늘부터 고루 품으려는 첫꿈이기도 합니다. 맨앞에 있어야만 키잡이 노릇이지 않습니다. 꼭두가 아닌 꼬리여도, 옆이나 가운데여도, 키를 쥐면서 길잡이로 북돋웁니다. 앞뒤를 보며 걸어갑니다. 여러모로 둘러보면서 거닙니다. 움트는 잎을 바라보고, 싹트는 앉은꽃을 살핍니다. 어른한테서 배우는 아이일 때가 있고, 아이가 가르치는 어른일 때가 있어요. 먼저 알기에 가르치지 않습니다. 미리 익혔기에 횃불잡이로 서지는 않아요. 찬찬히 피어나는 꽃처럼 사랑으로 해돋이를 그리는 꿈이기에 우등불처럼 따뜻하게 안습니다. 아이가 손을 잡고서 우리를 데려가는 곳을 내다봐요. 어떤 첫씨앗이 깨어나는 새바람인지 지켜봐요.


ㅅㄴㄹ


세로·죽·두루·고루·곧게·곰곰이·길게·차곡차곡·차근차근·찬찬히·앞뒤·흐름·여러모로·이래저래·이럭저럭 ← 통시적(通時的)


끌다·이끌다·앞·앞장서다·앞서다·앞서가다·앞잡이·앞꽃·앞길·앞님·앞사람·앞지기·앞내기·앞어른·길잡이·가르치다·이슬떨이·해돋이·해뜸·먼저가다·먼저하다·미리가다·일찍·일찌감치·새물·새물결·새바람·새빛·새길·처음·첫물·첫사람·첫지기·첫길·첫단추·첫밗·맨앞·꼭두·키잡이·키·다스리다·데려가다·횃불·화톳불·우등불·장작불·큰불·싹트다·움트다·첫싹·첫씨앗 ← 선구(先驅), 선구자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