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부정선거

1999년 겨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배움터 총학생회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알아내고는 ‘선거 무효’로 마무리지었다는 얘기를 〈외대학보〉로 읽는다. 부정선거로 뽑힌 쪽에서는 선거율이 50%가 넘지 않는 바람에 선거율을 높이려고, 이미 투표를 한 학과 동무한테 더 투표를 해 주기를 바랐다고 한다. 대학교 총학생회 부정선거를 일으킨 선거운동원은 99학번이라고 한다. 올해에 새로 들어온 대학생이다. 이이는 아직 대통령 선거권이나 국회의원 선거권이 없을 테지. 태어나서 처음 맞이했을 대학교 총학생회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한 셈이네. 그렇다고 이 젊은이는 경찰서에 끌려가거나 옥살이를 하지는 않을 듯하다. 조용히 묻히듯 지나가리라 본다. 그 젊은이는 1999년 겨울에 충학생회장 선거에서 잘못을 저질렀다지만,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을 뽑는 자리였다면? 시장이나 군수를 뽑는 자리였으면? 대학생이 되기까지 고등학교를 다니며 민주나 선거 이야기를 배운 적이 없을까? 총학생회장 후보로 나선 이는 선거운동원한테 아무것도 못 가르치거나 못 보여주었을까? 선거율이 50%가 넘지 않으면 어떡해야 할까? 아무나 붙잡고 선거를 하라고 잡아당겨야 할까? 총학생회장이 누가 되든 달라질 일이 없거나, 대학이란 배움터를 새롭게 가꿀 빛줄기가 보이지 않는다면, 선거율은 앞으로 더 떨어지지 않을까? 총학생회장은 무슨 일을 할 사람일까? 지난 1998년 한 해 동안 외대에서는 검은짓을 일삼던 총장이나 이사들을 쫓아내려고 그렇게 힘겹게 싸웠다. 대학교를 사유재산으로 삼는 이들을 몰아내려고 쏟은 땀방울이란 고작 총학생회 부정선거일까. 어쩌면 총학생회장 후보로 나선 이도, 선거운동원도, 그 자리(우두머리)를 사유물로 여긴 마음이 아니었을까. 사유물 아닌 심부름자리로 여겼다면 확 달랐겠지. 1999.12.6.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느님 1

돌이키면 나는 어릴 적부터 ‘예배당 하느님’을 믿지 않았다. 개신교회에는 고등학교 다닐 무렵 이태쯤 다닌 적이 있고, 천주교회에는 곁님과 함께 인천에서 이태쯤 드나든 적이 있지만, 내 마음에서 아무것도 울리지 않았다. 나는 언제나 ‘예배당에서 하느님을 찾아본들 찾을 수 없다’는 대목을 알았다. 그러나 하느님이 없다고는 느끼지 않았다. 널리 알려진 철학가나 작가가 밝히기 앞서, ‘내 마음에 하느님이 있다’고 느끼며 살았다. 그래서 누가 나한테 “너는 종교가 무어니?” 하고 물으면 “나는 종교가 없어. 굳이 따진다면 나는 내가 종교야.” 하고 말했다. “나는 내가 종교야”와 같은 말은 내키지 않았으나, 이다음 말을 하자면 아무래도 누구도 못 알아듣겠다고 느껴서 뒷말은 하지 않았다. 내가 늘 하고 싶던 뒷말은 “하느님은 바로 내 마음에 있는데, 왜 종교를 믿거나 예배당에 가니?”였다. 이 말을 풀어서 다시 읊자면, “나는 내가 하느님이고, 너는 네가 하느님이야. 우리는 모두 저마다 하느님이야. 하느님을 딴 데서 찾지 말자. 예부터 ‘업은 아기 세곳서 찾는다(동양)’ 같은 말을 왜 했는지, ‘파랑새는 우리 집 마당에 있다(서양)’ 같은 말을 왜 했는지 생각해야지.”가 된다고 할까. 국민학교를 다니며 처음 한국말사전을 보았을 적에 많이 답답했다. 낱말풀이를 읽고 또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며 한국말사전을 ㄱ부터 ㅎ까지 여러 벌 읽는 동안 새삼스레 깨달았다. 한국에서는 한국말사전이 엉터리인데 이런 엉터리를 꼬집는 사람이 없는 탓은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모를 뿐 아니라,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모르는 줄조차 알지 못하거나 느끼지 않기 때문이로구나 싶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에 들어가서 다섯 학기를 다니다가 그만두면서 문득 ‘앞으로 내가 스스로 한국말사전을 지어야겠네’ 하고 생각했고, 이 생각대로 오늘 나는 한국말사전을 새로 짓는 일을 한다. 이 일을 하면서 어렵거나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게다가 낱말풀이를 못 달 일이란 없다고 느낀다. 오늘날 한국에 있는 모든 한국말사전에서 드러나는 ‘겹말풀이(중복표현)’라든지 어설프거나 어렵거나 엉뚱한 낱말풀이를 달 까닭조차 없다고 느낀다. 낯선 낱말이든 비슷한 꾸러미가 많은 낱말이든, 오래도록 이 낱말을 지켜보면서 생각을 기울이면 실마리를 풀 수 있다. 낱말 하나를 오래도록 바라보면서 생각하면, 이 낱말을 어느 자리에 어떻게 쓰고, 이 낱말풀이를 어떻게 붙여서 열 살 어린이한테 알려줄 수 있는가 하는 대목을 모두 깨우칠 수 있다. 하면 된다. 안 하면 안 된다. 하니까 되고, 안 하니까 안 될 뿐이다. 나는 내가 쓰는 글을 곰곰이 생각한다. 내 글쓰기는 실마리를 푸는 글쓰기라고 느낀다. 왜 이 글 저 글 신나게 많이 쓸까? 스스로 글길을, 곧 글을 쓰는 길을 가다듬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왜 스스로 글을 쓰는 길을 가다듬으려 하는가? 이제껏 제대로 모르는 채 글쓰기만 신나게 했는데, 가만히 보니, 내가 어릴 적부터 스스로 바라던 ‘한국말사전 새로쓰기’를 하려면 그야말로 글을 엄청나게 쓰되, 같은 글감으로 날마다 숱하게 다른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아이와 살아가는 이야기이든, 책과 헌책집과 삶 이야기이든, 자전거 타는 이야기이든, 시골에서 사는 이야기이든, 참말 언제나 새로우면서 다른 이야기를 길어올리는 몸짓이 될 적에, 비로소 한국말사전을 새로쓰는 넋이 되는구나 하고 깨닫는다. 한국말사전에 담을 말풀이를 붙이거나 보기글을 달 적에는 ‘똑같은 풀이나 보기글’을 넣을 수 없다. 다만, 똑같은 풀이를 달더라도 여러 낱말이 어떻게 다르게 쓰는가를 밝혀야겠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고 느낀 적이 없다. ‘할 수 없는 일은 없다’고 느낀다. 곧, ‘할 수 있는 일만 있다’고 느낀다. 스스로 하느님인데 내가 할 수 없는 일이 무엇이겠는가. 이와 마찬가지로, 이웃과 동무는 그들 스스로 하느님이기에 그들 스스로 어떤 삶을 지어서 어떤 사랑을 나누고 싶은가 하는 대목을 생각한다면, 이웃과 동무도 그들 스스로 하루를 즐겁게 누릴 수 있다. 마음속에서 하느님을 찾아서 바라보고 아껴야지 싶다. 참다운 하느님을 찾는 실마리를 열어야지 싶다. 사랑스러우면서 즐거운 길을 걸어가도록 스스로 이야기꽃을 피워야지 싶다. 2014.10.15.


하느님 2

우리 집 작은아이 이름은 ‘산들보라’이다. 작은아이 산들보라 이름이 어떤 뜻인가를 알아차린 사람은 여태 한 사람뿐이다. 다른 이들은 ‘산들보라’라는 이름을 듣고서 “뭐, 무슨 뜻인지 바로 알겠네요.” 하고 말하지만 모조리 헛다리를 짚는다. 쉬워 보이는 이름이 외려 어려운 셈일까? 그렇지만 스스로 마음을 활짝 연 채 서로 어깨동무하는 이웃으로 여기는 기쁨으로 바라본다면, ‘산들보라’가 어떤 뜻을 담은 이름인가를 한눈에 알아차리면서 빙그레 웃음지을 만하다. ‘산들보라’는 ‘산들 + 보라’인데, ‘산들바람 같은 하느님이 네 마음에 있는 줄 보라’는 뜻이다. 2019.3.20.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위

가위를 쓸 일이 잦은데 정작 잘 드는 가위를 장만한 지 고작 한 해도 안 된다. 여태까지 잘 안 드는 가위를 그냥그냥 쓰며 살았다. 잘 드는 가위를 곁에 놓자니 무척 좋다. 진작에 가위를 제대로 장만할 노릇이었네 하고 느끼면서, 책상맡 네글벗뿐 아니라 모든 살림살이를 차근차근 살펴서 옳게 건사할 노릇이라고 깨닫는다. 날이 무딘 가위를 여럿 둔들 어느 것이든 쓸 만하지 않다. 부드러이 구르지 않는 연필을 여러 자루 둔들 어느 것이든 손에 붙지 않는다. 잘 드는 연장 하나가 있으면 된다. 잘 드는 연장 하나를 틈틈이 손질하면서 알뜰히 쓰면 된다.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쓸 셈인가? 자질구레한 이야기를 이래저래 꿰맞추어 늘어놓으려는가, 아니면 알뜰살뜰 고운 이야기 한 자락을 제대로 갈무리해서 빛내려는가? 2019.3.20.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더디

“빨리 나아”나 “얼른 나으셔요” 같은 말이 그리 달갑지 않더라. 다치거나 아플 적에는 그만 한 뜻이나 까닭이 있을 테니, 왜 다치거나 아픈가를 찬찬히 헤아려서 삭이지 않고서 뚝딱 나으면 다음에 또다시 다치거나 아픈 일이 찾아들지 않을까? 다치거나 아플 적마다 몸을 고요히 돌아본다. 느긋이 쉴 수 있다면 느긋이 쉬면서 몸을 바라보고, 다치거나 아파도 바삐 움직여야 할 일이 있다면 이렇게 움직이면서 몸을 기운내어 들여다본다. 다쳤기에 다친 데가 아문다. 아프기에 아픈 데가 사라진다. 어떻게 아무는가를 지켜보고, 어떻게 낫는가를 헤아린다. 약을 쓴다면 더 빠르게 덜 아프면서 낫기도 할 테지만, 우리 몸은 스스로 아물거나 낫기 마련이다. 오래 걸리더라도 다치거나 아픈 곳을 틀림없이 몸 스스로 바꾸어 낸다. 구태여 더디 아물거나 나아야 하지는 않듯이, 굳이 빨리 아물거나 나아야 하지 않는다고 느낀다. 눈부시게 튼튼할 수 있는 빠르기를 알아야겠구나 싶고, 기운차게 일어설 수 있는 결을 익혀야겠구나 싶다. 2019.3.20.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터 2
일본사람은 일본이라는 터전에 없는 말을 배우며 받아들일 적에 새로운 말을 숱하게 지었다. 오늘 우리가 흔히 쓴다는 ‘일본 한자말’이란 ‘새물결이 일어나서 퍼질 적에 일본사람 스스로 온슬기를 모아서 새로 지은 낱말’이다. ‘중국 한자말’이란 무엇인가? 중국사람 스스로 오랫동안 삶을 짓고 삶터를 가꾸면서 스스로 온사랑으로 빚은 낱말이다. 그렇다면 ‘한국 한자말’은? 한국 한자말이란, 한국에서 중국을 섬기고 일본에 빌붙으면서 쇠밥그릇을 단단히 지키려고 하던 한줌밖에 안 되는 끄나풀이 숱한 사람들을 짓밟거나 괴롭히면서 으르렁거리던 말이다. 일본은 슬기를 모아서 저희 말을 지었고, 중국은 살림을 가꾸어 저희 말을 지었는데, 한국은 오직 독재부역 권력자들 노닥거리 때문에 태어난 한자말이다. 나는 한자말이 나쁘다고 여기지 않는다. 일본하고 중국은 두 나라가 저희 나름대로 땀을 바쳐서 알뜰히 지은 한자말을 쓰는데, 한국은 이도 저도 아닌 바보짓으로 그냥 끌어들여서 쓰는 한자말이니, 얼마나 멍청하거나 어리석은가. 일본사람이 온슬기롤 모아서 지었다는 ‘사회’라는 낱말을 여태까지 그냥 썼으나, 늘 한 가지를 생각했다. 일본사람이 온슬기를 모아 ‘사회’라는 낱말을 짓기까지 얼추 100해가 걸렸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둘레에서는 ‘사회’ 같은 낱말을 어떻게 한국말로 담아낼 만한가를 아예 생각하지 않거나, 그럴 수 없다고 여기거나, 뭐하러 그런 짓을 하느냐고 혀를 찼다만, 나는 열아홉 살 적부터 새로운 말을 짓는 길을 생각했고, 이제 실마리를 살며시 얻어 ‘삶터’나 ‘터전’이나 ‘터’ 세 가지로 고쳐서 쓰기로 한다. 때로는 ‘삶터’가 어울리고, 때로는 ‘터전’이 어울리며, 때로는 ‘터’가 어울리더라. 때로는 ‘삶’이라고 할 수 있고. ‘삶터’ 같은 낱말은 내가 아니어도 쓰는 사람이 꽤 많지만, 이 낱말이 바로 ‘사회’를 가리키는 줄 제대로 느끼거나 헤아리는 분은 거의 없지 싶다. 우리는 우리한테 있는 엄청난 말조차 제대로 못 보고 못 가꾸고 못 쓰면서 그냥그냥 하루를 흘려보내기 일쑤이다. 2018.5.16.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