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말하는 글쓰기

― 이승철, 홍일선, 이재무 그대들은 잘 계신가?



  1998년이었지 싶다. 그해에 대학교를 그만두었는데, 동아리에서 늦도록 즐거운 이야기잔치를 누렸다. 그 자리에 모인 이들은 술병을 앞에 놓고서 ‘숨기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고 말하기’를 돌아가면서 했다. 숨기려 하거나 거짓말을 하면 술잔을 비우기로 하고서 한 사람씩 ‘털어놓기’를 돌아가면서 하는데, 아무도 ‘속마음 드러내기’를 못했다. 돌고 돌아 나한테 오기 앞서 다른 이들 모습을 볼 적에 ‘왜 이렇게 다들 속마음을 못 드러내지?’ 싶었으나, 정작 내 몫이 되니 나도 내 속마음을 못 드러냈다. 달이 가고 해가 흘러 2018년에 새삼스레 생각한다. 이제는 굳이 가슴에 묻어둘 일은 아니라고 여긴다. 이제는 말할 수 있어야지 싶다. 말하지 않으니 서로 모른다. 말하지 않기에 안 달라진다. 이름을 숨기니까 다들 모를 뿐 아니라, 그 이름인 사람도 스스로 달라질 낌새가 없다. 좋은 님한테 “난 네가 좋아” 하고 말할 수 있어야겠지. 궂은 이한테 “난 네가 무슨 짓을 했는지 알아” 하고 말할 수 있어야 할 테고. 나는 1999년에 출판사 영업부 일꾼으로 들어가면서 ‘책으로만 보던 숱한 작가나 문인’을 ‘얼굴로도 보고 목소리로도 듣고 술자리에서나 일터에서나 으레 마주했’다. 출판사 막내였기에 모든 술자리에 ‘술 따르는 젊은 사내’로 불려갔고, 문단뿐 아니라 책마을 ‘어른’이라 일컫는 이들은 ‘젊은 가시내’뿐 아니라 ‘젊은 사내’가 따라 주는 술이 아니고는 마실 생각을 안 했다. 더구나 막내인 내가 술자리가 힘들어 그만 집에 가야 한다고, 전철 끊어지니 돌아가야 한다고 하면, 문단 어른이나 책마을 어른은 으레 한 마디를 했다. “야 임마, 너희 출판사 사무실에서 자면 되잖아. 사무실 바닥에 신문지 깔고 자면 되지.” 이러면서 밤을 지나 새벽에 이르도록 붙잡으니 매우 고되었다. 그때에는 몰랐지. 참으로 몰랐지. 왜 나이든 ‘문단 어른·책마을 어른’이라는 이들이 젊은 가시내뿐 아니라 젊은 사내 손이나 허리나 볼이나 허리나 엉덩이나 허벅지를 쓰다듬거나 만지는 줄 까맣게 몰랐지. 그러나 속으로는 되게 더러웠다. 그래서 그때에는 짜증스럽고 싫어서 막술을 마시면서 그런 더러운 손길을 잊으려 했다. 그들은 몰랐으리라. 그들이 더러운 손길로 내 볼을 살살 쓰다듬는 짓이 싫어서 술잔을 한칼에 털어넣은 까닭을. 그들은 그저 내가 술을 잘 마시는 젊은 사내인 줄로만 여겼겠지. 이제 나는 그런 짜증스럽고 싫고 더럽던 이들 손길을 잊고자 막술을 마시지 않는다. 맛난 술을 가끔 알맞게 즐기려 한다. 이러면서 한 가지를 생각한다. 지난날 어떤 ‘어른들께서’ 어떤 짓을 했는지, 문득문득 떠오르면 ‘그분들 이름’을 하나하나 털어놓을 만하구나 싶다. 최영미 시인이 고은 시인 이야기를 들추는 시를 썼다는 얘기를 듣고 곧장 1999년 그해부터 2004년까지 보고 들은 이야기가 떠올랐다. 참 지저분한 고은 시인이라서 그이 시집은 안 쳐다본다고 하는 ‘책마을 여자 어른’이 많았다. 최영미 시인을 비아냥댄 이승철이라는 시인이 있는데, 이이는 2004년에 나를 해코지한 사람이다. 이승철이라는 시인이 나를 해코지할 적에 이녁 곁에 홍일선 시인이 나란히 앉아 이죽거리면서 “야, 왜 너 안 받아 줘? 네가 받아 줘야지? 이 xx가 말이야?” 하면서, 이승철하고 홍일선 이 두 사람은 성추행을 손사래치는 나한테 “문단이나 출판계에서 너 같은 놈 매장시키는 건 일도 아니야.” 따위를 읊었다. 이 둘 곁에 이재무 시인이 있었고, 이재무 시인은 “난 소주만 있으면 돼.” 하면서 이승철·홍일선 두 사람이 나를 해코지하는 짓을 흘려넘겼다. 이른바 방관자. 이들이 하는 짓이 참 터무니없기도 했지만, 2004년 이날 뒤로 문단 어른이나 책마을 어른이라는 분, 또는 작가나 평론가라는 이들을 굳이 만나지 않기로 했다. 이들이 있는 모임이나 자리에 누가 나를 데려가려고 해도 몽땅 손사래쳤다. 그들이 나를 문단이나 책마을에 못 들어오게 막든 말든, 나 스스로 문단에 발을 들이지 않기로 하고, 이들이 권력을 부리는 큰 출판사하고는 등돌리기로 했다. 이 때문에 앞으로 열 해쯤 먹고살 길이 막혀 굶을 수 있었으나, 이쯤 얼마든지 견디면서 헤쳐나가자고 여겼다. 황해문화 김명인 편집위원이 매체와 만나서 한 말을 기사로 읽어 보는데, ‘절대다수 남자 문인이나 평론가’는 ‘동조자나 방조자’라는 그럴싸한 말은 하되, 그런 짓을 한 사람들 이름은 하나도 안 밝힌다. 말만 그럴싸하게 하고서, 어떤 잘난 문단 어른이 잘난 짓을 하셨는지 하나도 안 밝히고 그대 가슴에만 묻어둔다면, ‘절대다수 남자 문인이나 평론가는 동조자이자 방조자’ 따위 말은 읊지도 말기를 바란다. 그런 마음이라면 평론질도 대학교수질도 그만두기를 바란다. 작품을 비평할 적에만 작가 이름을 들지 말 노릇이다. 막짓이나 막말을 일삼은 이들을 나무랄 적에도 그들 이름을 들기를 바란다. 이제는 말하는 글쓰기가 되기를 바란다. 청소 좀 하자. 먼지가 너무 오래 쌓여서 더께가 되었다. 더께를 벗기자니 아주 박박 문질러야 한다. 다들 소매를 걷어붙이자. 지저분한 집을 참말로 말끔히 치우는 글쓰기를 하자. 2018.2.12.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