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없는 사진말

21. 어느 날 사진을 못 찍는 손



  어느 날 사진을 못 찍는다. 적어도 한 장쯤 찍어서 이야기를 남기려고 마음을 품기는 했으나, 막상 사진을 찍어야 할 적에 못 찍고 지나간다. 게다가 사진을 한 장쯤 찍어서 남겨야겠다고 품은 생각조차 잊었다.


  사진을 찍기로 했는데 못 찍었구나 하는 생각은 이튿날 아침이 되어서야 떠올랐다. 어떤 사진이었느냐 하면, 알타리무김치를 담그고 나서 통에 옮기기 앞서 한 장을 찍으려 했다. 김치를 담는 흐름을 손수 찍기는 어렵지만, 잘 버무려 놓은 뒤에 한 장을 찍으면 재미있겠거니 여겼다.


  왜 사진을 못 찍었느냐 하면 힘이 많이 들고 바빴기 때문이다. 내가 ‘사진만 찍는’ 사람이라면 이른바 ‘사진 블로거’처럼 이렇게도 찍고 저렇게도 찍을 테지만, 살림을 하면서 틈틈이 사진을 찍기도 하는 어버이인 터라, 사진을 뒤로 젖힐 때가 잦다.


  사진을 더 많이 찍기에 더 훌륭하지 않다고 느낀다. 이와 똑같다. 사진을 몇 장 못 찍거나 때로는 한 장조차 못 찍기에 안 훌륭하지 않다고 느낀다. 사진만 전문으로 찍든, 그저 즐거이 사진을 찍든, 언제나 삶·살림·사랑·사람을 마음에 곱게 아로새긴 뒤에 사진기를 손에 쥘 수 있으면 누구나 훌륭하리라 느낀다.


  수많은 장비가 있기에 한결 멋스러이 ‘연출’을 해낼 수 있을 텐데, 아무런 장비가 없더라도 ‘마음으로 그리는’ 사진이 될 수 있으면 더없이 아름다우면서 훌륭하리라 느낀다. 멋스러이 연출을 해내는 사진은 수많은 사람들이 얼마든지 따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음으로 그리는 사진은 아무도 따라하지 못한다. 왜 그러한가 하면, 마음으로 그리는 삶과 살림과 사랑과 사람은 모든 사람이 다 다르면서 아름답기 때문이다. 스스로 마음으로 그리는 삶과 살림과 사랑과 사람을 사진으로 찍으려 한다면 ‘남한테서 배울’ 일이 없고 ‘남을 따라할’ 일이 없으며 ‘남을 베끼거나 흉내낼’ 일마저 없다. 사진문화란 먼 데에 있지 않고 늘 우리 마음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내 마음을 나 스스로 내 손으로 그리면 모두 된다. 2016.7.17.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넋/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