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글게 쓰는 우리 말

 빛깔말 - 다갈색


머리카락은 다갈색이고 콧잔등에는 주근깨 열네 개가 흩어져 있는데

《로리스 로우리/최덕식 옮김-있잖아, 꼭 말을 해야 돼?》(산하,1992) 15쪽


다갈색(茶褐色) : 조금 검은빛을 띤 갈색(褐色)

갈색(褐色) : 검은빛을 띤 주홍색

주홍색(朱紅色) : 붉은빛을 띤 주황색

주황색(朱黃色) : 빨강과 노랑의 중간색

다색(茶色) = 갈색(褐色)



  ‘다갈색’은 어떤 빛깔일까요? 먼저 한국말사전을 찬찬히 살펴봅니다. ‘빨강’과 ‘노랑’ 사이인 빛깔이면서 ‘붉음’과 ‘검정’을 띠는데, ‘조금 검다’ 싶은 빛깔을 가리켜 ‘다갈색’이라고 한답니다. 낱말풀이를 곰곰이 따지면, ‘빨강’과 ‘붉음’이 겹치고, ‘검은빛’과 ‘조금 검은빛’이 겹칩니다. 이래서야 ‘다갈색’이 어떤 빛깔인지 알 길이 없습니다.


  ‘다갈색’을 살피기 앞서 ‘갈색’을 살펴야 합니다. 어린이가 두루 쓰는 크레파스에도 ‘갈색’이라는 빛깔이 있습니다. 한자 ‘褐’은 ‘갈색’이나 ‘굵은 베’나 ‘털옷’이나 ‘다색(茶色)’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다색 = 갈색’으로 나올 뿐입니다. 아무런 실마리가 없습니다. 학교에서나 사회에서는 ‘갈색’이라는 빛이름을 흔히 쓰지만, 정작 이 빛이름이 어떠한 결인가를 제대로 밝히거나 알려주지 못한다고 할 만합니다.


  크레파스에서 쓰는 빛깔을 헤아립니다. ‘갈색’으로 흰종이에 그림을 그리면, 이 빛깔은 ‘흙빛’이라고 할 만합니다. 밭을 그림으로 그린다면, 남새나 풀잎이나 나뭇잎은 ‘풀빛(초록)’으로 그릴 테고, 땅바닥(흙으로 된 곳)은 ‘갈색’으로 그릴 테지요.


 흙빛

 밤빛 . 도토리빛 . 상수리빛 . 호두빛

 가을잎빛 . 가랑잎빛


  한국말사전에서 ‘흙빛’이라는 낱말을 찾아봅니다. ‘흙빛 2’을 “푸른빛을 살짝 띤 검은빛”으로 풀이합니다.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낯빛을 가리키는 자리에서 ‘파리하다’와 비슷하게 쓴다고 하는 셈인데, 흙빛을 ‘푸른빛 + 검은빛’이라 할 수 있을까 아리송합니다. ‘흙빛’은 ‘붉은빛 + 노란빛 + 검은빛’이라고 해야 옳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학교와 사회에서 흔히 쓰는 ‘갈색’은 바로 ‘흙빛’으로 고치거나 바로잡아서 써야 할 빛이름이리라 생각합니다.


  흙빛을 닮은 열매 빛깔이 있습니다. 밤알과 도토리와 상수리와 호두가 있습니다. 그래서 ‘밤빛·도토리빛·상수리빛·호두빛’ 같은 빛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을이 되어 잎이 말라서 떨어질 적에 이 잎빛도 흙빛이 됩니다. 바싹 마른 나뭇잎 빛깔도 흙빛이에요. 이리하여, ‘가을잎빛·가랑잎빛’ 같은 빛이름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옅은흙빛 . 짙은흙빛


  한자를 빌어서 가리키는 ‘다갈색’이라면 ‘짙은흙빛’입니다. 한 글자를 줄여서 ‘짙흙빛’처럼 쓸 수도 있습니다. ‘옅은흙빛·옅흙빛’처럼 빛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들도 빛이름을 훨씬 쉽게 헤아릴 수 있습니다. 시골이 아닌 도시에서 사는 아이들도 ‘흙빛’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차릴 테고, 흙과 나뭇줄기와 나뭇가지를 모두 엇비슷한 빛깔로 그리는 만큼, 흙과 나무가 거의 한몸과 같은 빛깔인 줄 헤아리기도 하리라 봅니다. 참말 시골에서 늘 나무를 바라보면, 나뭇줄기와 흙바닥 빛깔은 거의 같습니다. 거무튀튀한 흙이 기름지면서 고운 흙이듯이, 거머튀튀한 나뭇줄기 빛깔은 싱그럽고 튼튼한 나무 빛깔입니다. 4348.5.6.물.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빛깔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