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게 파헤치듯이 읽는 책



  우물을 깊게 파야 겨울에 안 얼고 여름에 시원합니다. 우물을 파기 앞서 어느 곳이 우물 자리로 마땅하거나 알맞은지 살펴야 합니다. 아무 데나 우물을 판다면, 제아무리 깊게 판들 물줄기를 못 찾습니다. 그러니까, 한길을 오래도록 깊이 살피거나 파헤치는 이들이 외려 눈먼 사람처럼 되는 까닭은, 깊이 파고들 줄만 알지, 삶을 두루 헤아릴 줄 모르기 때문입니다.


  한우물을 파거나 한길을 걷자면, 먼저 삶을 두루 살피거나 넓게 헤아릴 수 있어야 합니다. 삶을 두루 살피지 않으면서 한우물만 판다면, 그야말로 한우물은 팔는지 모르나 삶에는 눈이 멉니다. 삶을 넓게 헤아리지 않으면서 한길만 걷는다면, 그야말로 한길은 걸을는지 모르나 삶은 하나도 모릅니다.


  예부터 스승은 아무렇게나 가르치지 않습니다. 스승은 누군가를 가르치려고 할 적에 밥짓기와 옷짓기와 집짓기부터 몸소 익히도록 이끕니다. 솜씨와 재주를 처음부터 가르치는 스승은 없습니다. 손놀림이나 손재주를 익히도록 이끄는 사람은 스승이 아닙니다. 그런데, 오늘날 사회를 돌아보면,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모두 솜씨와 재주만 가르칩니다. 아니, 솜씨와 재주를 키우는 지식만 가르칩니다. 아이들이 열여섯 해에 걸쳐 이녁 삶을 스스로 바라보고 느끼면서 깨닫도록 이끌거나 북돋우지 못합니다. 머릿속에 온갖 지식을 가득 채우도록 해서 ‘직업인’이나 ‘기술인’이나 ‘전문가’가 되도록 하는 교사와 교수일 뿐, 아이들이 삶을 두루 헤아리면서 즐겁게 맞아들이도록 이끌지 못해요.


  지식인은 많지만 살림꾼은 매우 드뭅니다. 전문가는 많지만 사랑둥이는 아주 드뭅니다. 교사와 교수는 많지만 일꾼은 무척 드뭅니다.


  삶이 이루어지는 얼거리를 몸과 마음으로 두루 헤아릴 수 있을 때에 비로소 배웁니다. 사랑이 태어나고 자라는 삶을 몸과 마음으로 고루 돌아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배웁니다. 삶과 사랑을 모르고서는 꿈을 짓지 못합니다. 꿈을 짓지 못하는 사람한테 재주와 솜씨가 있다 한들, 재주와 솜씨를 슬기롭거나 아름답게 다루지 못합니다.


  책을 많이 읽는 일은 대수롭지 않습니다. 학교를 오래 다니는 일은 대단하지 않습니다. 강의나 강좌를 알뜰히 챙기는 일은 훌륭하지 않습니다. 책과 학교와 강의나 강좌가 우리 삶에서 어떻게 얽히면서 밑바탕이 되는가 하는 대목을 먼저 바라보고 느껴서 깨달은 뒤에 배울 수 있습니다.


  밥과 옷과 집이 어디에서 비롯하는지 읽어야 하고, 밥과 옷과 집을 손수 일굴 줄 알아야 하며, 밥과 옷과 집을 언제 어디에서나 기쁘게 건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대목을 건너뛰면서 학교와 학원만 다닌다면, 우리는 그저 입시지옥에 허덕이는 쳇바퀴 삶을 되풀이할 테지요. 인문책을 많이 읽는다 하더라도 삶은 못 지을 테지요. 4348.1.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책 언저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5-01-11 13:04   좋아요 0 | URL
절로 끄덕여지는 고개..네..그럼요.
세상에서 가장 나쁜 부모는 자식이 원하지
않아도 알아서 해주는 부모˝라는 말과도
일맥이 아닐까...합니다.
세상이 변했다 해도 밥을 대신 먹고 배불러 줄 수 없는 것같이...
겨울이나 여름이나 우물의 상시 온도는 같다고 합니다. 신기하게도 사람은 필요에
의해 변온은 스스로 하고도 우물이 그리 한냥.. 힘을 실어 주는지도 모를 일 입니다.
어릴 때 지하수를 연결한 수도에 물을 틀면
어리던 엹은 수증기..연기 같던..그 물의 마술...오늘도 함께살기 님과 더불어 사는
하루..될 것 입니다. 많이 웃으시길~^^

숲노래 2015-01-11 17:32   좋아요 0 | URL
저희 식구가 사는 마을에는
마을 어귀에 샘터와 빨래터가 있어요.
이곳에 흐르는 물을 보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해요.

샘터 물이 겨울에 따뜻한 줄은
시골에서 살며 처음 알았지요.
그래서 예부터 시골에서 한겨울에도 맨손으로 기저귀를 빨 수 있기도 했겠네
하고 돌아보곤 해요.

그러고 보면, 겨울에 얼지 않는 물은
따뜻하기 때문일 테지요...

[그장소] 2015-01-11 17:43   좋아요 0 | URL
저도 체험상 겨울물이 특히 지하수를 쓴 경험자기에..알아요..^^
내 경험은 그런데..그랬단 말이지..하게되는 일반 상식..체험을 뚫지는 못하기에 저는 겨울이면 따듯하다는
그 샘터의 물을 믿어요.다른 이는 몰라도 장담하는 거죠.
경험이 과학을 이기는 것도 있고..증명이 안된다 해도 그기억마저 속일 수는 없다고요..
그런 마을은 보통 우물 정자 가 들어가는 이름을 갖던데..그곳 이름이..궁금해집니다.

얼지않느니..부지런하고 따뜻한 물일 거라고..믿습니다.부러운 곳에..사시는...ㅎㅎ

숲노래 2015-01-11 17:51   좋아요 0 | URL
저희 마을은
전남 고흥 도화면에 있는 동백마을입니다.
마을에 샘터와 빨래터가 두 군데씩 있어요.
이제는 빨래터를 아무도 안 써서
제가 두 아이하고 보름에 한 차례씩
물이끼 걷으려고 청소를 하는데,
한겨울에도 맨발로 들어가서 춥지 않게 물이끼를 걷습니다 ^^

마을 할매도 푸성귀를 다듬을 적에 빨래터로 가지고 와서 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