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숲에서 짓는 글살림

39. 햇사랑



  한국말로 옮긴 어느 일본만화를 읽는데 “순애보인가?”라는 짤막한 한 마디를 보았습니다. 어른끼리 이야기하는 둘레에서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 낱말인 ‘순애보’이지만 말뜻을 제대로 짚자는 마음으로 사전을 뒤적입니다. 그런데 이 낱말은 사전에 없습니다. 더 살피니 이 낱말은 1938년에 어느 분이 쓴 글에 붙은 이름이에요. 글이름이라서 사전에 없나 하고 헤아리면서 한문 ‘殉愛譜’를 뜯으니 “바치다(殉) + 사랑(愛) + 적다(譜)”로군요. “바치는 사랑을 적다”라든지 “사랑을 바친 이야기”로 풀이할 만합니다.


  일제강점기에 나온 글인 터라 아무래도 글이름을 한문으로 적기 쉬웠을 테고, 중국 말씨이거나 일본 말씨일 테지요. 그렇다면 요즘은 어떻게 쓰거나 읽거나 말하거나 나눌 적에 어울리거나 즐겁거나 아름다울까요?


 절절한 순애보 같았다 → 애틋한 사랑 같았다 / 애틋이 사랑에 바친 듯했다

 스타들의 순애보를 보면 → 샛별들 사랑을 보면 / 별님들 사랑타령을 보면

 그녀를 향한 순애보 → 그이를 보는 애틋사랑 / 그님을 보는 사랑

 각별한 순애보를 짐작하게 했다 → 남다른 사랑을 어림해 본다


  한국사람이 쓴 글에 붙인 이름은 ‘순애보’이니 일본만화를 한국말로 옮기는 자리에 섣불리 쓰기에는 안 어울릴 수 있습니다. 수수하게 ‘사랑’이라 하면 되고, “애틋한 사랑”이라든지 ‘사랑타령’이라 할 만해요. “사랑을 바치다”를 간추려 ‘사랑바침’이라 하거나 ‘애틋사랑’이라 해도 어울리겠지요.


  그리고 아예 느낌을 새롭게 담아낼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해님 같은 사랑을, 햇살 같은 사랑을, 햇볕 같은 사랑이라 할 만하지요. ‘해 + 사랑’ 얼개로 ‘햇사랑’이라 하면 어떨까요?


햇사랑·햇살사랑·햇빛사랑 ← 순애보(殉愛譜), 연가(戀歌), 열애, 순정(純情), 자애, 자비, 가호, 대자대비, 무한한 애정, 애지중지, 정성, 지극정성, 극진, 성심, 성의, 성심성의


  ‘햇사랑·햇살사랑·햇빛사랑’, 이렇게 세 마디를 새로 지어서 써 보니, 여러 가지 한자말이 머리에 줄줄이 떠오릅니다. 저 말고도 ‘햇사랑·햇살사랑·햇빛사랑’ 같은 말을 쓰는 분이 있겠지요. 그저 바라보기만 해도 해님처럼 맑고 밝으며 포근하기에, 같이 있기만 해도 햇살처럼 눈부시기에, 말 몇 마디만 섞어도 햇빛처럼 환하게 퍼지는 기운이 곱기에 이러한 사랑을 그릴 만하지 싶습니다.


 첫사랑. 풋사랑. 참사랑.

 온사랑. 두사랑. 새모사랑.


  사전을 살피면 ‘첫사랑·풋사랑·참사랑’ 같은 낱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랑을 여러모로 펴거나 받거나 누리거나 나누면서 살아갑니다. 여기에 모든(온) 숨결을 담은 ‘온사랑’이라든지, 둘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두사랑’이라든지, 세 사람이 얽힌 ‘세모사랑’도 있어요.


  우리가 누리거나 조마조마하거나 설레거나 반가이 여기는 사랑을 놓고서 새삼스레 말 한 마디를 엮을 만하지 싶습니다. ‘하늘사랑’이라든지 ‘바다사랑’이라든지 ‘푸른사랑’이라든지 ‘하얀사랑’ 같은 말도 넉넉히 쓸 만할 테고요.


  때로는 바보스럽게 굴어 ‘바보사랑’이 됩니다. 어버이나 어른이 아이를 아끼면서 ‘아이사랑’입니다. 아이가 어버이를 사랑하면 ‘어버이사랑’이에요. 이런 사랑을 두고 ‘내리사랑·치사랑’ 같은 말이 따로 있습니다만, 수수하게 ‘아이사랑·어버이사랑’을 써도 쉽고 어울립니다.


 밥사랑. 옷사랑. 집사랑.

 책사랑. 노래사랑. 이웃사랑.


  먹기를 좋아한다면 ‘밥사랑’이요, 옷을 좋아하기에 ‘옷사랑’입니다. 바깥에서 돌아다니기보다 집에 있기를 좋아하기에 ‘집사랑’이 됩니다. 책이나 만화나 사진이나 그림이나 영화를 즐기면 이러한 즐길거리에 ‘-사랑’을 달아 볼 만합니다. ‘노래사랑’도 하고, ‘자전거사랑’도 하며, ‘나들이사랑’도 할 만해요. 이웃을 돕는다는 ‘이웃돕기’도 좋으나, 이보다는 ‘이웃사랑’이란 말을 쓰면 한결 어울리지 싶습니다.


  나라하고 나라가 서로 사이좋게 지내려 하는, 이른바 평화협정을 놓고도 ‘이웃사랑’ 같은 말을 쓸 수 있습니다. ‘마을사랑’도 하고 ‘고장사랑’이며 ‘고을사랑’도 할 만하고, 밤하늘 별빛을 지켜보며 ‘별빛사랑’을 할 수 있어요.


 어른사랑 ← 경로우대, 경로석


  버스에 보면 ‘경로석’이란 이름을 붙여놓곤 합니다. 뜻은 좋습니다만 ‘경로석’ 같은 이름은 낡았다고 느껴요. 이제는 어린이도 쉽게 알아보고 느낄 수 있도록 ‘어른사랑’이라든지 ‘어른자리’란 이름을 붙이면 나으리라 생각합니다. 또는 ‘어른아이자리’처럼, 어른하고 아이가 같이 누리는 자리로 삼을 수 있어요.


  오늘날 더없이 흔히 쓰지만, 가없이 좁은 틀에 가두기 일쑤인 ‘사랑’이란 낱말이지 싶습니다. 삶이 노래가 되도록 따뜻하면서 맑고 고이 마음을 쓰면서 나누려고 하는 숨결이 사랑이라고 한다면, 이 낱말을 이제는 슬기롭게 제대로 쓰면 좋겠습니다.


  벼슬아치 아닌 ‘벼슬지기’ 같은 일꾼이 마을사람을 아끼는 마음이 되어 마을사랑을 펴는 길을 간다면 좋겠어요. 배움터에서는 길잡이가 되는 어른이 배움동무인 어린이하고 푸름이 곁에서 오롯이 사랑이란 마음으로 함께 가르치고 배운다면 좋겠어요. 교육열이나 입시교육이나 교과서 진도가 아닌 ‘배움사랑’이란 마음으로 이야기를 편다면 확 달라질 만하겠지요.


 배움사랑. 글사랑. 사랑손.


  글을 쓰는 일을 하는 분이라면, 멋을 부리거나 그럴듯하게 꾸미거나 잘난척하는 글이 아니라, 옹글게 따사로운 숨을 함께하는 마음이 되어 ‘글사랑’을 편다면 좋겠습니다. 나아 보이려 할 까닭이 없어요. 높아 보여야 할 일이 없어요. 고스란히 사랑이라는 눈빛으로 이야기를 여미면 됩니다. 고요히 사랑이라는 손빛으로 이야기를 갈무리하면 됩니다.


  논밭에 씨앗을 심는 손길은 투박하거나 거친 손이 아닌, 사랑이 어린 손입니다. 바로 ‘사랑손’이에요. 아픈 아이나 이웃을 달래거나 다독이기에 사랑손입니다. 이 땅을 넉넉히 돌보거나 가꾸기에 사랑손입니다. 서로 손을 맞잡거나 이바지를 할 줄 알기에 사랑손입니다.


  일을 하거나 글을 쓰는 자리에서는 사랑손이라면, 사람이 사람으로 마주하는 터라든지 사람이 숲을 바라보는 곳에서는 ‘사랑눈’이 되면 좋겠습니다. 개발 이익이란 이름이 아닌 푸른 마을이며 숲이 되도록 사랑눈으로 지켜볼 줄 알면 좋겠어요. 그리고 이웃이며 동무가 들려주는 말을 어질고 참되게 맞아들이는 귀가 되는, 이른바 ‘사랑귀’라면 한결 좋겠지요.


  사랑손, 사랑눈, 사랑귀, 이다음에는 사랑발, 사랑몸, 사랑숨이 될 테고, 차츰차츰 사랑빛에 사랑넋에 사랑길로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겠지요. 말 한 마디에 사랑을 심는 ‘사랑씨앗’이 퍼져서 자라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한국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리는 숲노래(최종규).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2019년까지 쓴 책으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