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9.3.14.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 철수와영희, 2019.3.8.



이틀 뒤 일산마실을 한다. 곁님 동생이 새둥지를 틀었다고 해서, 새둥지에 아이들하고 찾아가기로 한다. 바깥마실을 앞두고, 또 봄맞이를 하면서 여러 일로 부산하다. 마을일도 빼놓을 수 없으니, 마을 빨래터하고 샘터에 낀 물이끼를 걷으러 간다. 이러며 두 아이 신빨래도 한다. 이제 두 아이는 저희 나름대로 신빨래를 제법 한다. 달이 가고 해가 갈수록 아이들 손놀림이 무르익는다. 훌륭해, 훌륭해. 빨래터 물이끼를 다 치우고서 돌담에 걸터앉아 발을 말린다. 작은아이도 큰아이도 아버지 곁 돌담에 걸터앉아 발을 말리며 논다. 《조선의 페미니스트》를 편다. 해가 고운 삼월은 온누리를 따스히 녹이면서 새삼스레 품는다. 곳곳에서 싹이 트고, 풀벌레가 깨어난다. 꽃눈도 잎눈도 기지개를 켜고 눈을 번쩍 뜬다. 1800년대가 저물며 1900년대 접어들어 일제강점기를 맞이하던 지난날, 참으로 많은 분들이 땀을 바치고 몸을 바치고 돈을 바치면서 밝은나라를 꿈꾸었다. 그런데 이분들 땀자국과 발자국 가운데 ‘가시내 땀자국·발자국’은 제대로 짚지 못한 채 오늘까지 이르렀지 싶다. 사내는 제 몸만 바치며 독립을 바랐다면, 가시내는 아이를 돌보고 집살림까지 건사하며 독립을 바랐으니, 얼마나 엄청난가. 엄청순이요 씩씩순이가 나라를 살린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