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60


 눈먼벗


  사전에서 ‘맹인(盲人)’이란 낱말을 찾아보면 “‘시각 장애인’을 달리 이르는 말 ≒ 고인(?人)·고자(?者)·맹안(盲眼)·맹자(盲者)·몽고(??)·실명자”처럼 다룹니다. 갖은 한자말을 비슷한말로 붙입니다. 이들 갖은 한자말은 굳이 있어야 할까요?


  ‘장님’을 사전에서 보면 “‘시각 장애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풀이해요. 한국말은 낮잡는 말로 깎아내립니다. 그런데 사전풀이뿐 아니라 참말로 사람들은 한국말 ‘장님’은 낮잡는 말로 여기면서 한자말로 붙이는 ‘시각 장애인’이라고 해야 점잖거나 알맞다고 여깁니다.


  이때에 한 가지를 생각하고 싶습니다. 왜 우리는 한국말은 낮게 여기면서 한자말은 높게 여길까요? ‘장님’이라는 낱말을 낮춤말로 느껴서 새 낱말을 지어야 한다면, 한국말로 새롭게 낱말을 짓는 길을 살필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테면 ‘멀다’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삼아서 ‘눈 + 멀다 + 이’ 얼거리로 ‘눈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낱말인 ‘눈먼이’는 아주 수수합니다. 눈이 멀기에 ‘눈먼이’라면, 귀가 멀 적에는 ‘귀먼이’가 되겠지요.


  그런데 한국말은 말끝을 살짝 바꾸면서 결을 새롭게 꾸밀 수 있어요. ‘눈먼 + 이’가 아닌 ‘눈먼 + 벗’이라든지 ‘눈먼 + 님’처럼 ‘눈먼벗·눈먼님’이라 할 만합니다. 눈으로 보는 힘을 잃은 이웃을 조금 더 헤아리려는 마음으로 새말을 한결 상냥히 쓸 수 있는데, ‘눈-’을 떼어 ‘먼벗·먼님’처럼 짧게 끊어 보아도 어울립니다.


  ‘장애자’라 하면 ‘-자’라는 말끝이 한자로 ‘놈 者’라서 낮춤말 같이 들리기에 ‘장애인’으로 고쳐서 쓰곤 합니다. ‘-人’이라는 한자를 ‘-友’라는 한자로 바꾸어 ‘장애우’처럼 쓰기도 하고요. 이런 얼거리도 살펴본다면, 한국말 ‘-벗’이나 ‘-님’을 붙여서 이웃을 한결 고이 여기는 마음을 담을 만해요.


  이러면서 사전풀이도 ‘장님’을 “눈이 먼 사람”이라고만 다루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