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나는 눈



  ‘보다’라는 낱말에는 “맛을 보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간을 보다”라고도 써요. ‘보다’는 바탕이 두 눈으로 느끼는 삶인데, 맛을 마치 눈앞에서 그리듯이 느낀다면서 “맛을 보다·간을 보다”라 합니다. 어쩌면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다 알지 않았을까요? 우리 몸은 ‘먹어서 기운을 얻어 움직인다’기보다 ‘속으로 받아들여서 알거나 배운다’고 할 만하다는 대목을 말이지요. 한국에 살면서 보리술 한 모금을 입에 댈 적에 보리밭이 떠오른 일이 없습니다. 참으로 맛난 보리술 맛을 느낀 적이 없어서 보리밭이 떠오르는 보리술을 여태 못 먹었을 수 있어요. 엊그제 처음으로 보리밭이 떠오르는 보리술 맛을 보았습니다. 이때 뒤로 가끔 ‘먹을거리나 마실거리가 태어난 터’가 눈앞에 떠올릅니다. 딱히 맛없는 먹을거리라면 아무것도 안 떠오르지만, 꽤 싱싱하면서 좋구나 싶은 먹을거리일 적에는 머리가 번쩍하면서 그림이 촤르르 돌아갑니다. 문득 생각해 봅니다. 오직 글만 있는 책을 읽다가 머리에 촤르르 그림이 돌아가는 때가 있어요. 글이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우면 이 글이 깃든 책을 읽으면서 둘레 다른 소리를 모두 잊고서 글을 그림으로 받아들여 새깁니다. 깨어나는 마음이 된다면 깨어나는 몸이 되어 밥 한 술이든 물 한 모금이든 글 한 줄이든, 눈앞에서 마음으로 볼 수 있는 그림이 촤르르 돌아가는구나 싶어요. 밍밍한 수돗물을 마실 적에는 거의 아무 그림이 안 떠오릅니다. 때로는 ‘댐부터 긴 물관에서 고단하게 억눌리는 물방울’을 느낍니다. 맑으며 싱그러운 물 한 모금이라면 어느 골짜기에서 촤륵촤륵 흐르다가 나한테 왔는지 한눈에 알아보고요. 마음이 맞는 벗님을 마주할 적에도 머리에 불꽃이 일듯 알아차리면서 맞아들이는 기쁜 숨결이 있어요. 그래서 ‘보다’란 두 눈으로뿐 아니라 온몸으로 느끼고 깨어나면서 배우는 몸짓을 가리키지 싶습니다. 2018.7.22.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