굉장한 것들의 세계 - 가장 크고, 가장 빠르고, 가장 치명적인 생물의 진화
매슈 D. 러플랜트 지음, 하윤숙 옮김 / 북트리거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다 자란 골든 리트리버만한 고양이가 있다고 상상해보자. 전 세계 애묘인과 고양이 집사들이 새로운 종()의 등장에 열광할 것이다하지만 거대 고양이의 습성과 생태를 모른다면 그것이 미지의 생물(Cryptid)’ 또는 괴물로 보일 수 있다. 인간은 거대한 생물에 끌리는 경향이 있다. 여기까지는 괜찮다. 문제는 호기심과 막연한 두려움에 그친다는 점이다. 동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과학이 특이한 생명체의 정체를 밝혀 주리라 믿고 있다. 하지만 과학은 특이한 생물이 존재한다는 사실만 학계에 보고할 뿐이지 그들에 대해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다.


지구에 우리가 모르는 신비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 그들 중에 우리보다 몸집이 큰 생물이 있으며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 아주 작은 생물도 있다. 수명이 아주 긴 생물은 인간보다 더 오래 살 수 있다. 엄청 뜨겁고, 엄청 추운 곳에도 생물이 있다. 극단의 생명체들이 살아가는 방식은 대부분 사람에게 낯설다. 극단의 생명체에 대한 인간의 무지는 실례가 된다. 극단의 생명체들은 인간보다 먼저 지구에 나타난 존재이기 때문이다극단의 생명체의 입장에서 볼 때, 인간은 지구라는 좁은 행성 위에 옹기종기 모여 사는 연약한 존재다. 극단의 생명체는 온갖 열악한 환경을 개척하고 적응하는 프런티어(frontier)’ 정신을 가지고 있다. 굉장한 것들의 세계(Superlative: The Biology of Extremes)는 가혹한 환경에 적응해온 존재들의 생존기를 담고 있다.


아프리카코끼리는 몸집이 크다.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임신 기간이 길고, 새끼를 많이 낳지 못한다. 거대한 몸집은 아프리카코끼리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아프리카코끼리가 진화론적 약점을 극복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암 억제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암 억제 유전자는 변이 분열을 일으키는 세포(암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몸집이 큰 대형 동물은 인간보다 유전자 수가 많다. 아프리카코끼리의 암 억제 유전자는 인간보다 훨씬 많이 가지고 있다.


심해에 가장 오래 사는 생명체가 있다. 유리해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모노라피스 쿠니(Monorhaphis chuni)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온도계. 심해 연구가들은 유리해면을 관찰해서 심해의 기후를 관측한다. 영화 <짝패>강한 놈이 오래 가는 게 아니라, 오래 가는 놈이 강한 것이다라는 명대사가 나온다. ‘오래 가는 놈으로 가장 잘 어울리는 동물이 나무늘보. 사람들은 느림보의 대명사인 나무늘보가 생태계의 최약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무늘보는 느릿느릿한 습성 덕분에 다른 포유류에 비해 신체활동을 위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지 않는 체질이다. 나무늘보는 주변에 있는 풀이나 나뭇잎을 먹으면서 생활한다. 그들은 잘 먹고, 새끼를 잘 낳는방식으로 진화했다. 먹이를 구하러 이동하지 않는 나무늘보는 자손을 퍼뜨리는 일에 집중한다.


극단의 생명체가 살아가는 방식은 인간이 보기에 소소한 이야기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생존기는 소소하지만 굉장하다. 극단의 생명체는 우리가 적응하지 못한 곳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극단의 생명체는 인간보다 훨씬 앞서 있다. 인류가 지구를 벗어나 다른 행성에 살려고 한다면 극단의 생명체에게 한 수 배워야 한다. 먼저 배우기 전에 그들이 누군지 알아야 한다. 인류를 구원해줄 수 있는 극단의 존재에게 미지라는 수식어를 계속 붙여줄 수 없지 않은가.






교열 보이 cyrusMini 미주알고주알



* 14

 

 중국 고대 신화에서 우주 창조자로 등장하는 뿔 달린 거대한 신 반고(盤古)에서부터 현대 미국 영화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엄청나게 큰 고릴라 킹콩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사례가 있다.


[] 반고의 몸에 커다란 뿔이 달려 있지 않다. 반고가 죽으면서 남겨진 육신과 체액은 산, , 바람, 해와 달 등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위앤커, 중국신화전설 1, 민음사, 1999)





* 244





티라노사우르스 티라노사우루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잘라 2021-03-17 14:4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교열보이 cyrus 님! ㅎㅎ 수수하지만 굉장해!는, 드라마군요! 검색해봤더니 줄여서 ‘수수굉‘이라고, 돈가스 음식점(부산)도 3개나 나오구요. ㅎㅎ

cyrus 2021-03-17 15:24   좋아요 2 | URL
주인공을 연기한 배우는 누군지 알겠는데, 드라마는 한 번도 보지 못했어요. 제목만 아는 드라마에요. 앞으로 ‘교열 보이’라는 닉네임을 자주 써야겠어요. ^^

얄라알라 2021-03-17 16:1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Superlative
요 단어를 ˝굉장한 것들˝로 옮겼네요^^
소개해주신 굉장한 생명들과 딱 어울리는 제목입니다.
코끼리 상아가, 밀렵꾼 피해 점점 사라지는 쪽으로 간다는 글을 (사실 여부 확인 안하고) 읽었지만 암 억제 유전자라니! 이거 또 새롭네요^^

cyrus 2021-03-18 08:23   좋아요 1 | URL
코끼리가 친숙한 동물인데도 그들에 대해 잘 모르는 사실이 꽤 많아요. 코끼리가 점잖은 동물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코끼리는 초음파로 대화를 하는 동물이래요. 인간의 귀에 들리지 않아서 그렇지, 코끼리는 말 많은 동물이에요. ^^

2021-03-18 0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프로타고라스(Protagoras)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화법인 변론술을 가르친 소피스트(Sophist)였다. 그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Man is the measure of all things)”라는 말을 남겼다.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 인간 개개인이 세상 모든 진리의 기준을 내릴 수 있다. 그런데 진화생물학자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sborne Wilson)은 자신의 책 창의성의 기원(The Origins of Creativity, 2017)에서 프로타고라스의 명언을 넘어선 새로운 선언을 제시한다. 만물이 인간 이해의 척도다(All things must be measured in order to understand man원문의 ‘man’인류를 뜻하는 단어지만 대부분 사람은 ‘남성’을 가장 많이 떠오른다. ‘human’이라고 썼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게 느껴지는 문장이다).”

















* 에드워드 O. 윌슨 창의성의 기원: 인간을 인간이게 한 것(사이언스북스, 2020)





윌슨은 창의성이 인간의 가장 독특한 형질이라고 본다. 창의성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다.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본능이 창의성을 발현시킨다. 하지만 윌슨은 창의성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고 우려한다. 그는 창의성을 좁게 만든 주범으로 만물이 나타나게끔 유도한 궁극 원인(ultimate cause)에 관심 없는 인문학을 지목한다. 윌슨의 견해에 따르면 인문학자들은 만물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그들의 관심사는 철학자들이 유독 좋아하는(?) 질문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무엇인가?” 인문학자는 궁극 원인에 해당하는 질문을 흘깃 보거나 관심을 주지 않았다이와 반대로 과학자는 만물의 정의와 기원을 모두 탐구하는 사람이다.

















* 에드워드 O. 윌슨 인간 본성에 대하여(사이언스북스, 2011)





만물의 기원을 모르는 인문학자가 자신을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하면서 진리의 기준을 뻔뻔하게 내세우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좁은 시야에 안주하는 인문학이 사람들로부터 존중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윌슨은 만물이 인간 이해의 척도라는 명제를 비판하고, 인간이 오랫동안 달고 다녔던 만물의 영장이라는 과장된 훈장을 떼어낸다. 만물의 기원을 알아야 인간의 기원도 알 수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게 만드는 학문이 바로 과학이다. 진화론으로 설명 가능한 인간의 기원을 이해하면 인간이 지구상에서 가장 우월한 존재라는 믿음의 단점이 눈에 보인다인간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윌슨의 관점은 이미 그의 대표작 사회생물학(Sociobiology: The New Synthesis, 1975)에서 비롯된 반()인간중심주의다사회생물학》 다음으로 나온 인간 본성에 대하여(On Human Nature, 1979)에서 윌슨은 고상한 체하는 자아도취적 인간중심주의보다 더 지능적인 악은 없다(42)고 말하면서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 에드워드 O.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사이언스북스, 2005)

 




과학자윌슨은 궁지에 몰린 인문학에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그는 과학과 인문학이 통합, 즉 하나가 되면 새로운 계몽 운동이 일어나 인문학(철학)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과학은 사실적 지식을 중요하게 여기고, 인문학은 그런 지식이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과학과 인문학의 만남은 인간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과학과 인문학의 통합을 바라는 윌슨의 생각 역시 낯설지 않다윌슨은 통섭(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1998)에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포함해 인간의 지식은 본질적으로 통일성을 지향한다고 주장했다통섭또한 사회생물학못지않게 인문학 계열에 속한 학자와 사회학자들의 비판을 받은 책이지만, 글의 분량을 조절하기 위해 통섭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생략하겠다.


이 글에서 내가 가장 주목하고 싶은 책은 창의성의 기원이고, 이 글의 주요 내용은 창의성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독해이다윌슨이 주장한 내용 중에 의심해야 할 것이 있다.



* 81, 82~83

 


 우리는 시각과 청각에 의지해 길을 찾는 소수의 곤충을 비롯한 무척추동물 및 조류와 더불어서 지구에서는 드문, 주로 시청각에 의지하는 극소수의 동물에 속한다. 그러나 우리 시각은 오로지 광자에만 반응한다.

 그렇다면 청각은? 청각은 우리 의사소통에 필수적이지만, 동물 세계의 청각 능력에 비하면 우리는 귀가 먼 것에 가깝다.

 냄새는 어떨까? 다른 생물들에 비하면 인간은 후각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자연 환경이든 가꾼 환경이든 간에, 모든 환경에는 같은 종의 구성원들이 의사소통할 때 쓰는 화학 물질은 페로몬(pheromone)과 잠재적인 포식자나 먹이나 공생자를 검출할 때 쓰는 알로몬(allomone)이 난무한다. 모든 생태계는 상상할 수도 없이 복잡하고 정교한 후각 경관(odorscape)’이다. (후각과 미각 환경에는 상상할 수도 없는이라는 말을 쓴다. 인류는 화학 물질 감지에 해당하는 어휘를 거의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무척추동물과 미생물까지 포함하면, 생태계 하나에는 수천 종에서 수십만 종이 살고 있다. 우리는 냄새를 통해서 하나로 결합된 자연 세계에 산다.




내가 밑줄을 친 문장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What about smell? Human by comparison with the rest of life are virtually anosmic.  

 


‘anosmic’후각이 없는또는 후각 상실을 뜻하는 단어다. 과연 인간의 후각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권위 있는 노학자의 말만 믿고, 우리의 후각 감각을 무시하는 독자가 없길 바란다. 냄새는 측정하기 어렵다. 그래서 후각에 관한 과학적 연구 진행이 더딘 편이다


















* A. S. 바위치 《냄새: 코가 뇌에게 전하는 말》 (세로, 2020)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인 1991년에 후각 수용체가 발견되면서 과학자들은 후각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후각 수용체가 발견되기 전까지 후각은 과학자와 철학자들 모두에게 외면받은 감각이었다. 인간의 후각 수용체는 천여 개에 달하지만, 후각 수용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는 고작 3백여 개에 불과하다. 후각 수용체는 냄새를 감지하게 되면 뇌에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이 신호는 후각을 자극한다. 뇌는 여러 가지 냄새 패턴을 기억하고 있어서 각각의 냄새를 감별할 수 있다후각의 복잡한 경로와 기원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이다. A. S. 바위치(A. S. Barwich)의 냄새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냄새와 후각의 실체를 알려준다이 책을 보면 인간의 후각이 없다(인간의 후각이 오감 중에 가장 뒤떨어져 있다)는 오해를 풀 수 있다.


창의성의 기원에서 윌슨은 인문학의 단점을 극단적인 인간중심주의라고 말한다(77~78). 인문학은 제한된 감각 경험이라는 공기 방울 안에(exist within a bubble of sensory experience)’ 갇혀 있어서 인간의 궁극 원인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 김초엽, 김원영 사이보그가 되다(사계절, 2021)



평점

4.5점  ★★★★☆  A





윌슨을 인문학을 비판하면서 과학이 인문학의 한계를 보완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책에 과학의 단점을 언급하지 않으며 그것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과학의 단점은 극단적인 비장애인중심주의


사이보그가 되다의 공동 저자로 만난 소설가 김초엽과 변호사 김원영장애를 치료하고 교정하려는 과학기술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과학을 신뢰하는 인간(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를 포함한다)은 장애를 쉽게 치료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그들이 바라보는 장애는 비장애인의 온전한 몸’, ‘건강한 몸에 미치지 못한 신체적 약점이다. 그래서 과학기술이 나날이 향상될수록 장애인은 과학기술을 사용하는 주체가 되지 못하고, 과학기술의 도움을 받으면서 살아야 하는 수혜자로 남게 된다. 그리고 장애는 정상성을 가지기 위해(비장애인이 되기 위해)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된다극단적 비장애인중심주의를 인지하지 못한 과학은 정상성이라는 좁은 공기 방울 안에 갇혀 있다이런 과학에 대한 믿음이 지나치면 과학만능주의로 빠질 우려가 있다.

















* 닐 디그래스 타이슨 나의 대답은 오직 과학입니다: 천체물리학자의 우주, 종교, 철학, 삶에 대한 101개의 대답들(반니, 2020)



평점

4점  ★★★★  A-

 

 



현재의 과학은 다른 학문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구원자 역할이 될만 한 수준이 아니다. 과학자들도 모두 인간이고, 인간으로서의 약점과 편견과 감정을 가지고 있다.”(나의 대답은 오직 과학입니다》 135쪽) 과학도는 천체물리학자 닐 디그래스 타이슨(Neil deGrasse Tyson)이 한 말을 꼭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간을 제대로 이해할 줄 아는 성숙한 과학도가 되려면 인문학뿐만 아니라 장애학도 공부해야 한다. 그러니 과학(자), 너나 잘하세요.






Mini 미주알고주알

 

 

* 창의성의 기원62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02)

 


[] 아일랜드 출신의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사망연도는 1992이다.






* 창의성의 기원184

 

 스페인 화가 프란시스코 데 주바란(Francisco de Zurbarán, 1598~1664)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스페인어 알파벳 ‘Z’의 발음은 ‘S’ 발음과 비슷하다.





* 사이보그가 되다241쪽 (2쇄)





과학학자 하대청

 


[] 과학자 하대청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3-16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 너나 잘하세요라는 제목이 너무 적당해서 웃었습니다. ^^
과학과 인문학의 결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맞지만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를 어느 한쪽의 책임으로 몰아가는 한 결코 학문간 결합이든 통섭이든 쉽지 않겠죠.

cyrus 2021-03-17 11:07   좋아요 0 | URL
과학과 인문학, 양자의 학문을 대표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평생 배운 학문의 문제점을 잘 알아야 하고, 그것을 서로 보완하는 방향으로 만나야 해요. 인문학에 대한 윌슨의 접근 방식을 인문학자들이 좋아할 리가 없어요. ^^;;

파이버 2021-03-16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이 장애인을 돕기도 하지만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화시키기도 하는군요.... <사이보그가 되다>가 궁금해졌어요

cyrus 2021-03-17 11:10   좋아요 1 | URL
김초엽 작가가 장애학 관련 문헌을 열심히 읽었고, 어려운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 썼어요. <사이보그가 되다>는 장애학 입문 도서로 제격입니다. ^^

파이버 2021-03-17 11:11   좋아요 1 | URL
말씀들으니까 더 흥미가 가요 추천 감사합니다;-)
맛있는 점심 시간 되세요~~

cyrus 2021-03-17 11:14   좋아요 1 | URL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어제처럼 햇살이 좋군요. 파이버님,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022-05-28 0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2-06-01 09:25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사실 이 글을 쓸 당시에 ‘과학학’이 오자가 아니라 학문 이름이라고 생각했어요. QT님 말씀 듣고 보니 오자가 아닐 수 있겠어요. 과학학 옆에 영문명을 같이 써줬으면 오자로 오해하지 않았을 거예요. ^^
 
창의성의 기원 -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에드워드 오스본 윌슨 지음, 이한음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장문(長文)으로 된 창의성의 기원의 비판적 서평 티저(Teaser) 또는 축약문



[서평 전문]

https://blog.aladin.co.kr/haesung/12470171


 



평점


2.5점  ★★☆  B-





윌슨은 창의성이 인간의 가장 독특한 형질이라고 본다. 창의성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다.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본능이 창의성을 발현시킨다. 하지만 윌슨은 창의성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고 우려한다. 그는 창의성을 좁게 만든 주범으로 만물이 나타나게끔 유도한 궁극 원인(ultimate cause)에 관심 없는 인문학을 지목한다.

 

그는 과학과 인문학이 통합’, 즉 하나가 되면 새로운 계몽 운동이 일어나 인문학(철학)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학과 인문학의 만남은 인간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윌슨은 인문학의 단점을 극단적인 인간중심주의라고 말한다(창의성의 기원77~78). 인문학은 제한된 감각 경험이라는 공기 방울 안에(exist within a bubble of sensory experience)’ 갇혀 있어서 인간의 궁극 원인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윌슨을 인문학을 비판하면서 과학이 인문학의 한계를 보완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책에 과학의 단점을 언급하지 않으며 그것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과학의 단점은 극단적인 비장애인중심주의.

 

오늘날의 과학은 다른 학문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구원자 역할이 될만 한 수준이 아니다. 극단적 비장애인중심주의를 인지하지 못한 과학은 정상성이라는 좁은 공기 방울 안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과학에 대한 믿음이 지나치면 과학만능주의로 빠질 우려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이해하는 52가지 방정식 -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IQ, 지구의 나이를 구하는 공식까지 수학으로 세상을 정리한 방정식 이야기
존 M. 헨쇼 지음, 이재경 옮김 / 반니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5점   ★★★☆   B+






수학책인데, 수학책이 아닌 책이 있다. 세상을 이해하는 52가지 방정식(An Equation for Every Occasion)이 그런 책이다. 이 책을 쓴 저자는 자신의 책을 수학책이 아니라 이야기책이라고 단언한다수학 이야기책’, 그러니까 52가지 공식과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상식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은 뉴턴(Isaac Newton)의 만유인력 법칙을 설명해주는 공식으로 시작해서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질량-에너지 등가 이론 공식(E=mc2)으로 마무리된다52가지 공식에 얽힌 이야기는 수학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것들이다. 수학 공식 이야기를 알아두면 쓸모 없는이야기와 ‘알아두면 쓸모 있는이야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다이어트하는 사람들이 모를 수 없는 체질량지수(BMI)는 전자에 속하는 공식이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kg)를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대다수 사람은 체질량지수를 계산해서 자신이 비만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하지만 체질량지수에 단점이 있다. 체질량지수는 생활 방식과 연령 등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공식이다. 그러므로 부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숫자에 너무 연연하지 말자.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식 중에 가장 쉬운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개의 실질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반려견이 없는 사람도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아주 간단하다. 개의 나이에 7을 곱하면 된다. 계산한 값을 사람의 나이로 환산한 것이 개의 실질나이다.


세상을 이해하는 52가지 방정식은 2015년에 나온 세상의 모든 공식과 같은 책이다두 책 모두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고역자도 같다그런데 역자는 세상을 이해하는 52가지 방정식》의 서지사항에 이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알라딘에 저자 이름(존 M. 헨쇼)를 검색하면 세상을 이해하는 52가지 방정식과 세상의 모든 공식이 함께 나오는데두 권의 책이 동일한 가격(정가가 1만 4,000원이다. 알라딘에서 주문하면 10% 할인되는 가격도 똑같다)으로 판매되고 있다두 권 모두 사지(읽지) 말고, 한 권만 사자(읽자)

 






Mini 미주알고주알

 

 

1

 

 

* 14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1781년에 천왕성을 발견했다. []

 

 

[] 윌리엄 허셜은 누이동생 캐롤라인 허셜(Caroline Herschel)과 함께 천왕성을 발견했다허셜은 누이동생의 공로를 언급했지만, 여성을 천대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천왕성 발견에 대한 모든 공로는 허셜에게 돌아갔다.






2

 

 

* 106

 

 스위스가 낳은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누가 꼽아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자 5인방에 꼭 들어간다. (5인방에 항상 끼는 다른 이름들은 뉴턴, 가우스, 아르키메데스다.) []

 

 

[] 오일러, 뉴턴, 가우스, 아르키메데스나머지 한 사람은 누구일까?






3

 

 

* 126





[] 야곱 베르누이가 태어난 연도는 1655인데, 영국의 옛 달력(Old Style, O.S.)을 기준으로 보면 1654년이다






4



* 139


 그동안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수학자들의 마음속에 에베레스트 산처럼 버티고 서서 앤드우 와일스의 모습을 한 에드먼드 힐러리 경을 기다리고 있었다. (뉴질랜드의 산악인으로 1953529일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를 처음으로 등정했다. 옮긴이)[]

 

 

[] 힐러리(Edmund Percival Hillary)와 동행한 네팔의 셰르파(히말라야 산맥을 오르는 산악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티베트계 네팔인) 텐징 노르가이(Tenzing Norgay)도 에베레스트 등정에 처음으로 성공한 인물이다.






5



* 145






캐놀라 카놀라(canola)






6



* 164쪽


 러시아 물리학자[주] 하인리히 렌츠(Heinrich Lenz, 1804~1865)는 유도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렌츠의 법칙을 세웠다.



[] 하인리히 렌츠는 발트 독일계(Baltic German, 발트 해 연안에 거주하는 독일인) 러시아 물리학자. 그를 독일의 물리학자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3-10 1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1-03-14 23:31   좋아요 0 | URL
국내 역자뿐만 아니라 외국 저자들도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에 관한 진짜 이야기를 간과하는 경우가 있어요. 실제로 힐러리는 텐징 노르가이도 에베레스트를 최초로 등정했다면서 몇 차례 밝혔는데도 말이죠. ^^;;
 
도시를 움직이는 모든 것들의 과학 - 거대한 도시의 숨은 원리와 공학 기술
로리 윙클리스 지음, 이재경 옮김 / 반니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5점   ★★★☆   B+




도시는 끊임없이 변하는 거대한 유기체다. 사람의 온기가 없는 건물 한 채가 사라지면, 그 자리에 새로운 건물이 땅에서 태어난다. 인간이 도시를 만들었지만, 도시는 그곳에 거주하는 인간의 삶을 변화시킨다아일랜드 출신의 물리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인 로리 윙클리스(Laurie Winkless)는 도시에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다그는 2년 동안 모험가처럼 도시 구석구석을 누볐고공학자들을 만났다. 로리 윙클리스의 도시를 움직이는 모든 것들의 과학(Science and the City, 2016)은 도시의 생명력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을 위한 도시 본격 해부서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도시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공학 기술과 과학 원리들을 알려준다이 책은 2017년에 번역된 사이언스 앤 더 시티의 개정판이다.


초고층 빌딩은 도시를 지탱하는 골격이다. 빌딩 없는 도시는 속 빈 강정과 같다. 이 책의 첫 장에 빌딩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상세하게 나온다. 도시공학 전문가들이 알 법한 전문 용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공학 비전공 독자는 첫 장부터 진도를 나가지 못해 난감할 수 있다그렇다면 1장을 과감히 포기해도 된다저자는 본인이 직접 확인한 시시콜콜한 정보들을 설명하는 데 열을 올린다저자도 정확한 사실을 알려고 하는 자신의 열정이 인간적으로 정나미 떨어지게 한다고 인정했다. 소화하기 힘든 내용이 있으면 넘어가도 좋다.


2장부터 읽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흥미가 느껴지기 시작할 것이다. 환경 문제에 관심이 있는 독자는 2장(전기), 3장(상하수도), 5장(자동차)을 주목하라. 전기가 없으면 도시 전체는 마비된다. 하지만 전 세계의 모든 도시가 화석연료를 태워서 전력을 얻는 방식에만 의존하면 하나뿐인 지구는 마비된다. 저자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꿈꾼다. 그래서 과학자와 도시공학자들이 생각하는 도시의 미래상과 도시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들을 소개한다. 하지만 그는 도시 발전에 기여한 과학적 성과들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회의적인 시각을 유지하면서 전문가들이 제시한 아이디어를 분석한다.


저자는 친환경 대안 기술로 주목받는 재생에너지(풍력에너지, 태양에너지, 바이오 연료)와 친환경 전기 자동차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재생에너지와 전기 자동차가 도시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풍력 터빈에 나오는 소음과 건강 문제의 상관성을 알아보려면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여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전기 자동차 한 대가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부품의 재료는 희토류 원소이다. 희토류 원소는 주로 아프리카 국가의 토양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을 얻으려면 땅을 파헤쳐야 한다. 전기 자동차가 움직일 때 필요한 전력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알고 보면 전기 자동차는 친환경적이지 않다.


저자는 자신의 책에서 시시콜콜하게 정확한 것을 사랑한다고 밝혔다(178쪽). 하지만 좀 더 보충해야 할 내용들이 있다. 독자도 그가 제시한 내용을 회의적인 시선으로 살펴봐야 한다. 그는 이산화티타늄(이산화타이타늄)이 오염 물질 분해에 유용한 물질이라고 주장한다(44~45, 56). 이산화티타늄이 햇빛과 산소에 노출되면 공기를 정화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저자는 이산화티타늄을 묻힌 거대한 공기 정화 시설이 설치되면 도시의 하늘이 맑아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그건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저자는 이산화티타늄의 단점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산화티타늄을 장기간 흡입하면 기침, 호흡 곤란, 폐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 분진이 폐에 축적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염색공정에서 이산화티타늄을 매염제로 사용한 핀란드 노동자들의 폐에 부작용이 나타났다(이산화티타늄의 유해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제공하는 독성 정보를 참고하길 바란다).


상하수도의 오존 소독법에 대한 저자의 설명 역시 장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132~133). 오존 소독 방식에도 단점이 있다. 오존 소독은 염소 소독보다 설치비용과 유지비가 많이 나온다. 수온이 높아지면 오존 소비량도 많아지는데, 대기로 방출된 오존은 호흡기에 유해한 독성이 있다. 저자는 또 물에 남은 오존은 제거된다라고 간단하게 언급했다. 물에 남은 오존은 빠른 속도로 분해되지 않는다. 서서히 분해된다.


저자는 4장에서 도시의 교통 취약 계층’, 즉 엔진 없이 다니는 사람들을 도울 교통 기술을 소개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도시의 교통 취약 계층보행자, 고령자,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비장애인이 간과하기 쉬운 도시의 교통 취약 계층은 이동권을 보장받지 못한 장애인이다. 혹자는 보행자와 고령자에 장애인도 포함되어 있다고 반문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보행자와 고령자는 비장애인이다.


원서는 2016년에 나왔다그는 한국도 자기부상 열차를 운행한 아시아 국가라는 사실을 확인하지 못했던 것 같다. 저자는 중국과 일본이 자기부상 열차를 상용화해서 운행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라고 언급했다(297). 내가 번역자였으면 여기에 한국의 자기부상 열차를 언급한 주석을 달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상용 자기부상열차는 201623일 인천에 개통했다. 기점은 인천공항1터미널역이고, 종점은 용유역이다.






Mini 미주알고주알

 

 

내가 읽은 책은 2020년 11월 18일에 발행된 3쇄다. 



* 262쪽: 니산 닛산(Nissan)

 

* 286, 308쪽: 토튼햄 토트넘(Tottenh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