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썼던 글에 요네하라 마리의 이솝 우화 재해석을 소개한 적이 있다. 나그네의 옷을 벗기는 내기에서 태양이 바람을 이겼다는 우화가 있다. 요네하라 마리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다. 나그네는 태양의 의지를 자기 자신의 의지로 착각하여 옷을 벗었다. 그녀는 정신의 자유가 유지되려면 외부의 속박을 자각하고 있는 상황이 더 낫다고 말한다. 요네하라 마리의 해석은 비판적인 독서에서 비롯된 사고능력이다. 어떤 책을 읽고 예전에는 당연하게만 받아들였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된다면, 분명히 그 책은 읽을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독서의 목적은 단지 지식욕을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신의 주체적 관점을 세우는 데 있다.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자신의 눈을 갖는 일이다. 중국 명대의 사상가 이탁오는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으면 따라 짖고, 왜 짖느냐고 물으면 꿀 먹은 벙어리가 되었다”며 자신을 비판한다. 고전은 서평으로 작성하기가 어려운 책이다. 왜냐하면 ‘모두’의 생각을 내 생각인 것처럼 쓰게 되기 때문이다. 생각이 비슷한 사람끼리 모여 독서회를 만들면 안 된다.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을 꼭 봐야 직성이 풀리는 동물이지만, 기존의 해석에 쉽게 지배받는다. 서평을 작성할 때도 마찬가지다. 내가 처음 고전 작품을 읽고 서평을 썼을 때, 정답에 가까운 해석을 찾으려고 했다. '정답'에 얽매이면 남이 했던 생각을 내 생각으로 착각하면서 쓴다. 이러한 독서와 글쓰기는 정형화된 답만 외워서 옮겨 적는 행위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그때는 정답을 요구하는 우리나라 교육 환경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고전을 읽는 방법을 몰랐다.

 

 

 

 

 

 

‘인문 고전 독서 붐’이 일어나면서 독서 전문가들은 고전 도서 목록을 만들어 독자들에게 읽으라고 권한다. 이지성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류 역사를 움직여온 위대한 개인, 조직, 국가 뒤에는 항상 탄탄한 인문고전 독서 전통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인문 고전 독서가 ‘천재의 두뇌에 직접 접속하는’ 행위, 즉 인류의 스승들과 지속해서 정신적 대화를 나누는 일에 비유한다. 과연 고전은 천재의 두뇌가 낳은 위대한 책일까? 책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전이 어떻게 우상화되어 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거의 읽히지 않은 책이었다. 그 당시 파리지앵들은 루소의 책 대신에 루이 세바스티앵 메르시에의 《파리의 풍경》을 읽었다. 메르시에의 책은 혁명 전의 파리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논픽션에 가깝다. 이 책이 불티나게 팔렸을 때, 루소와 볼테르는 평범한 작가에 불과했다. 수백 년이 지난 지금은 책의 위치가 크게 달라졌다. 아무도 메르시에를 기억하지 않는다. 그의 책을 읽어 본 사람도 없다. 생전에 메소니에보다 인기를 많이 얻지 못했던 루소와 볼테르의 책은 고전의 반열에 오른다.

 

《논어》는 공자가 남긴 말을 정리한 것인지, 공자가 직접 쓴 책이 아니다.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의 가르침을 보존하기 위해서 편집한 책이다. 그러면 공자의 제자들이 자신의 입맛대로 스승의 생각을 정리했을 가능성이 있다. 편집하는 과정에서 제자의 생각이 개입될 수 있다. 문장 하나만 가지고 제자들의 해석이 서로 충돌했을 것이다. 그래도 공자는 복 받은 사람이다. 생전에 공자는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지 못해 전국을 떠돌았던 실패한 사람이다. 제자들의 노력 덕분에 공자는 ‘성인’으로 추앙받는 동시에 《논어》는 불멸의 고전이 되었다.

 

고전을 삐딱하게 읽으려면 가장 먼저 고전을 대하는 자세부터 ‘리모델링’해야 한다. 일단 고전을 무조건 읽어야 할 ‘좋은 책’이라고 생각하는 통념에 의문을 가져야 한다. 인류 역사를 관통한 위대한 생각도 현실과 맞지 않은 점이 분명히 있다. 고전은 저자가 당대에 던진 발언이며, 완벽한 책이 아니다. 고전에도 약점이 있다. 독자는 그 약점을 공약하면 고전을 비판적으로 읽어나갈 수 있다. 맹목적 수용은 무지보다 위험하다. 고전 읽기에 정답은 없다. 하나의 현상이나 사물을 바라보는 생각이 다양하듯, 고전을 바라보는 눈 역시 제각각이다. 특정한 답은 없다. 고전 해석에 정답이 없으므로 우리는 고전에 대한 무수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이다. 서툴지만 진지하게 무언가를 찾아 끊임없이 자기 생각을 구축하는 것. 그게 바로 고전 읽기의 매력이다.

 

 

 

※ 서평 이벤트에 응모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4-30 18: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30 18: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찔레꽃 2016-04-30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맹목적 수용은 무지보다 위험하다 --- 참, 공감가는 말입니다.

cyrus 2016-05-01 15:00   좋아요 0 | URL
긍정적인 면만 계속 보면, 잘못된 상황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경우가 있어요. 지식인들 중에 이런 사람들이 많아요.

나비종 2016-04-30 2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결국 책표지의 그림처럼 책을 관통하는 것은 꽂혀있는 열쇠를 쥐고 돌리는 자신의 몫이로군요.
저 역시 고전이 무조건 훌륭하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오랜 시간을 거쳐온 만큼 그것을 해석하는 다양한 관점들을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보구요.
독서모임에 대한 cyrus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얼마 전에 「공부할 권리」 를 가지고 하는 독서모임에 참여했는데요, 독후감을 낭독하니 한 분이 그러시더군요. 우리 같은 책 읽은 거 맞냐고요^^; 사실 그 책의 대주제는 ˝공부˝인데, 저는 지극히 주관적인 입장에서 글을 썼거든요. 다양한 관점은 뇌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어줍니다. 제가 님의 글을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구요ㅎㅎ

cyrus 2016-05-01 15:06   좋아요 1 | URL
맞아요. 고전을 받아들이는 나비종님의 입장이 제가 생각한 것과 비슷합니다. 가끔 독서 모임을 하면 기존에 알려진 해석을 자신의 생각인 것처럼 설명하는 사람이 있어요. 본인은 그렇게 말하면 남들한테 유식하게 보인다고 생각하지만, 그건 착각에 불과해요. 책을 깊이 읽은 사람은 저 사람의 생각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단번에 알아차립니다. 그리고 얄팍한 속임수로 책을 대하는 자세를 좋아하지 않죠. 사실은 제가 독서 모임을 처음 나갔을 때, 남의 생각을 내 생각처럼 말한 적이 있어요. 그땐 독서 모임 분위기가 낯설었고, 철없는 마음에 남들 앞에 똑똑하게 보이고 싶었어요. 계속 그런 자세로 독서 모임에 나간다면, 시간 낭비입니다. ^^

yamoo 2016-05-01 21: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격하게 공감합니다!

근데, 비판적으로 읽기가 힘듭니다. 2-3번은 정독하여 내용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기에..^^;;

그나저나 정말 꾸준하게 이벤트에 응모하시는군요!ㅎ

cyrus 2016-05-03 13:12   좋아요 0 | URL
네. 맞습니다. 책 한 번 완독한다고 해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그런 착각에 잘 빠져듭니다. ^^

transient-guest 2016-05-05 0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지성의 책은 결과적으로 이지성을 `가진 자`로 만들어 주었지요... 애초에 작가로 들어선 계시가 돈도 벌로 잘 되려고 한 것이니까, 성공했지요... 제가 한때 이지성의 책을 꽤 열심히 읽었더랬습니다. 초기의 리뷰엔 평가도 좋게 했구요..그런데 책을 읽고 생각할 수록 이건 그냥 인문학을 가장한 성공학이란 생각을 하게 되더라구요..

cyrus 2016-05-26 16:20   좋아요 0 | URL
죄송합니다. T-guest님. 댓글을 지금 확인했습니다.

제가 군 전역을 하고 난 후에 이지성을 처음 알았습니다. 군인이었을 때 출판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혀 몰랐어요. 군 생활 절반 정도 하고나니까 독서에 대한 욕망이 높았습니다. 전역하자마자 책을 많이 읽었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지성의 책에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냥 제가 읽고 싶었던 책을 골라 읽었어요. 지금까지 책을 많이 읽어놓고선 제대로 읽고 있는지 지금도 제 자신을 의심합니다. 알라딘에 독서 감상을 올리면 허접한 내용이 있고, 그 이유로 지적을 많이 받았습니다. 방식은 서툴러도 독서를 즐겁게 하면서 좋은 내용은 많이 배우려고 스스로 노력하는 중입니다. 이대로 유지한다면 이지성의 책을 보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