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명쯤 안보고 살아도 괜찮습니다 - 티 내지 않고 현명하게 멀어지는 법
젠 예거 지음, 이영래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아~아~아~ 사는 날까지

같이 가세 보약 같은 친구야

같이 가세 보약 같은 친구야~♬

 

 

 

 

5년 전까지만 해도 페이스북을 많이 이용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SNS 중독에 빠져서 책을 가까이하지 않는 나 자신을 확인한 이후부터 로그인하지 않게 되었다. SNS 활동이 의미 없다는 생각도 들었다. 지금도 여전히 페이스북 계정은 가지고 있지만, 휴면 계정으로 방치된 상태이다. 로그인을 자주 안 하게 되니까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는다. 내 페이스북 계정에 있는 ‘친구’ 중에 서너 명을 제외하면 요즘에는 연락을 주고받지 않는다. 한 번도 만나본 적이 없거나 연락을 주고받지 않은 페이스북 친구가 많다. 쓸데없이 인맥만 늘렸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친구’라는 이름으로 인맥을 늘리는 일에 집착하는 것 또한 중독이다. ‘친구 중독’이 있는 사람은 특별한 이유 없이 친구 수를 늘린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심정으로 ‘친구를 만드는 것’이다. 친구 중독자에게는 친구 관계에 균열이 생기면 안 된다는 두려움이 있다. 친구 중독자는 친구들 앞에서 말 한마디 해놓고 실수한 게 있나 눈치를 본다. 친구들에게 늘 좋은 평가를 받으려 애쓰다 보니 자신의 감정을 관찰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일이 서툴러진다. 친구 중독으로 가장 많이 혹사를 당하는 것은 친구 중독자 본인이다. 이들에게 친구는 ‘보약 같은 친구’가 아니라 ‘독약 같은 친구’이다.

 

인간관계 전문가 젠 예거(Jan Yager)는 친구와 우정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미덕을 ‘신화’로 본다. 친구 중독자는 ‘한 번 친구는 영원한 친구’라는 신화를 믿는다. 그리고 친구관계가 깨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이렇다 보니 ‘친구’라고 보기 힘든 사람들(친밀감이라고 눈곱만큼 느껴지지 않는 사람, 자신에게 늘 못된 짓을 하는 성질 고약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쉽게 끊지 못한다. 진 예거의 책 《몇 명쯤 안보고 살아도 괜찮습니다》친구 중독 때문에 혼자 끙끙 앓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을 인간관계를 현명하게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알려준다. 일단 기본적으로 친하게 지낼 필요 없는 친구, 관계를 망가뜨리는 친구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 그들은 친구관계를 부정적으로 만드는 원인이다.

 

저자는 우리가 멀리해야 할 친구를 21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1. 약속을 지키지 않는 사람

 

2. 다 가지려는 사람

 

3. 배신자

 

4. 위험한 사람: 불법적이거나 위태로운 행동으로 나를 위험에 빠지게 한다.

 

5. 자아도취가 심한 사람: 내게 귀를 기울일 시간이 없다.

 

6. 속임수를 쓰는 사람

 

7. 폭로자: 내 신뢰를 배반한다.

 

8. 경쟁자: 나를 상대로 지나친 경쟁심을 느끼고 당신이 가진 것(인간관계, 일, 소유물)을 원한다.

 

9. 군림하는 사람

 

10. 라이벌: 내가 가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탐내고 당신에게서 앗아가려고 한다.

 

11. 흠 잡는 사람: 지나치게 비판적이다.

 

12. 축 처진 사람: 언제나 부정적이고, 비판적이고, 우울하며 나까지도 그렇게 느끼게 만든다.

 

13. 거부하는 사람: 나를 싫어하는 사실을 내게 알린다.

 

14. 학대자

 

15. 외톨이

 

16. 착취자: 지나치게 의존적이다.

 

17. 치료자: 모든 일을 분석하고 충고한다.

 

18. 침입자: 내 삶에 지나치게 간섭한다.

 

19. 모방자: 당신을 모방한다.

 

20. 통제자: 나를 포함한 인간관계를 지배한다.

 

21. 보호자: 친구와 동등한 입장이라기보다는 친구의 보호자, 부모, 보모가 된다. 

 

 

21가지 유형은 친구관계를 탐색하는 데 도움 되는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좋은 친구’로 남고 싶은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는 ‘거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좋은 친구를 만나려고 하는 것보다 내가 좋은 친구가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이다. 내가 정말 좋은 친구로 살아가고 있는지 아닌지 점검해봐야 한다.

 

친구를 대하는 내 성격은 ‘치료자’ 유형에 가깝다. ‘좋은 친구’는 상대방이 표출하는 감정을 묵묵히 지켜보면서 이해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치료자’는 상대방을 힘들게 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면서,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치료자’ 입장에서는 상대방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상대방에게 정신적인 부담감을 짊어준다. 상대방의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는 치료자는 언젠가는 ‘침입자’로 변할 수 있다. ‘치료자’와 ‘침입자’ 유형의 사람을 요즘 말로 하면 ‘오지라퍼’ 또는 ‘꼰대’다.

 

 

 

 

 

 

 

 

그렇다면 ‘독약 같은 친구’를 피하거나 헤어지는 방법은 무엇일까? 어려운 일은 아니다. 상대방과 더 이상 친구관계를 이어나가고 싶지 않으면 깔끔하게 포기하면 된다. 상대방 얼굴 앞에서 다시는 만나지 말자고 ‘절교 선언’을 하라는 건 아니다. 아무리 상대방이 미워도 묵혀 두었던 감정을 화산 폭발하듯이 분출하거나 악담을 퍼붓는 방식은 본인의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이다. 친구와의 갈등 없이 헤어지는 방법 중 하나는 ‘침묵’이다. 어차피 싫어하는 친구와 연락을 주고받지 않거나 만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그 관계는 사라진다. 온라인 공간의 친구관계도 마찬가지다. SMS 계정의 ‘친구 목록’을 정리하거나 익명의 상대방에게 아는 척하지 않으면 친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침묵으로 일관하면 상대방으로서는 기분이 언짢을 수 있다. 그러나 ‘모르는 게 약’이라는 말이 있다. 상대방이 왜 나를 싫어하는지 생각해볼 수는 있어도 굳이 그 원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알아봤자 상대방에 대한 악감정만 깊어질 뿐이다.

 

‘보약 같은 친구’는 금전적으로 도움을 주는 친구만을 뜻하지 않는다. 내 말에 귀 기울여주고 진심으로 공감해주는 친구야말로 나와 잘 맞는 ‘보약 같은 친구’다. 이런 친구들을 만나면 기분이 저절로 좋아진다. 우리는 친구관계가 주는 정신적 만족감과 행복을 찾기 위해서 잘못 비틀어진 관계를 다시 풀기보다는 과감하게 끊어버릴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친구 중독’을 해독할 수 있다. 나를 스쳐 지나가는 모든 관계를 내 곁에 꽁꽁 묶어두어야 한다는 강박, 누군가에게 잘 보여야만 한다는 완벽주의에서 벗어난다면, 나 자신에게도 집중할 수 있는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3-18 17: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3-19 12:06   좋아요 0 | URL
네, 저는 온라인상에 만난 분들을 ‘이웃’이라는 말을 쓰는데요, ‘친구’라는 개념과 다른 의미로 쓰고 있어요. 제가 쓰는 ‘이웃’은 친해지다가 갑자기 사이가 나빠질 수 있는 사람, 친한 건지 아닌지 애매모호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의미해요. ‘한 번 친구는 영원한 친구’와 ‘이웃’을 같은 의미로 보지 않는 거죠.

요즘 페이스북에 들어가면 타인에 대한 무시, 혐오를 대놓고 표출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요... 그런 사람들이 내뱉는 글을 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생겨요... ^^;;

2019-03-18 2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3-19 12:08   좋아요 0 | URL
책을 더 많이 읽고 싶어서 SNS를 멀리한 것도 있지만, SNS을 피하게 된 이유는 많아요. 별로 관심이 없는, 알고 싶지 않는 타인의 글을 계속 보는 게 고역이었어요. ^^;;

yesgh0409 2021-02-01 2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궁금한이야기y 에서도 나왔지요. 본인이 괴롭히던 친구가
본인 페이스북 즉 SNS계정을 찻아서 연락처를 알아낸후
괴롭힘을 당하던 친구가 결혼해서 잘사는것이 못마땅해서
전화로 그 친구주소로 배달 수건 많게는 수십건에 달하는
배달시켜서 그 본인을 괴롭게 했던사건
절때로 페이스북 같은 SNS계정 하시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