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 여성시인과 여성이론 - 21세기 포스트 휴먼을 위한
이규명 지음 / 동인(이성모)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 문학 비평은 여성의 시각으로 남성 중심의 문학사를 다시 바라보는 것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페미니즘 비평은 서구에서는 이미 보편적인 분석 방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페미니즘 비평은 문학작품 속에 여성을 왜곡하는 이미지를 바로잡는 여성 이미지 비평, 남성 작가들이 주도한 문학사에서 소외된 여성 작가와 작품을 복원하는 일을 포함해 다양한 영역이 있다. 초기 페미니즘 비평은 피억압자로서의 여성이 겪는 ‘차별’을 강조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남성에게는 죄의식을, 여성에게는 분노를 강요하는 초기 페미니즘 비평의 한계가 노출되면서 이를 극복하는 포스트 페미니즘 비평이 등장한다. 포스트 페미니즘 비평은 새로운 피를 수혈 받으면서 변화해왔다. 그것은 탈식민주의, 생태주의 같은 시대사조를 끊임없이 받아들이면서 이론을 구성하고 있다. 페미니즘 비평의 유형이 다양해지는 까닭은 여성 문제의 이슈가 시대에 따라 변하고, 하나의 이론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21세기 포스트 휴먼을 위한 영미 여성시인과 여성이론》은 20명의 영미 여성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고, 초기 페미니즘 사상에서부터 포스트 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페미니즘 사상 및 비평의 모든 것을 간략하게 소개한 책이다. 책의 제목만 보면 영미 시작품과 영미 페미니즘 이론을 다룬 책으로 보일 수 있겠으나 저자는 영미 여성 시인이 쓴 작품과 우리나라 여성 시인의 작품을 같이 읽으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이 책에 나오는 ‘포스트 휴먼’은 남성과 여성이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는 ‘양성평등(남성과 여성으로 나뉘는 젠더 이분법을 비판하는 페미니스트들은 이런 표현을 쓰지 않는다)을 지향하는 인간이다. 저자는 페미니즘 비평이 남성중심주의를 반성하게 만드는 도구로 보고 있으면서도 여성 고유의 경험에만 주목하는 여성 중심 비평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을 내비친다. 그는 또 여성 작가의 작품을 여성 비평가가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페미니즘 비평의 일방적인 주장에 대해선 여성이 남성을 탄압하는 역전 현상으로 본다. 페미니즘 비평을 바라보는 저자의 반응은 상당히 온건하다. 한편으로는 저자가 페미니즘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이해한 상태에서 페미니즘 사상과 문학 이론들을 아는 대로 쭉 나열한 듯한 느낌이 든다.

 

이 책의 서문에 저자가 페미니즘에 무지한 사람이라는 걸 보여주는 문장이 있다.

 

 

 페미니즘은 여성편향의 여성상위의 이념 아니라 남성중심의 환경 개선을 위한 혹은 남성에 대한 여성의 면역력 증강을 위한 아울러 남성중심주의를 반성케 하는 일시적인 증상으로 나타내는 것이 좋겠다.

 

 

과연 저자는 페미니즘을 잘 몰라서 생각 없이 ‘증상’이라는 표현을 쓴 것일까, 아니면 이 책을 쓰면서 무의식적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을 드러낸 것일까. 페미니즘을 ‘일시적 증상’으로 보는 저자의 시선은 과거 여성의 권리를 주장한 페미니스트들을 ‘제정신이 아닌 사람’, ‘히스테리 부리는 여자’라고 조롱하던 반페미니스트들의 태도와 유사하다.

 

그리고 저자는 동양사상이 ‘남녀 조화’를 당연하게 여기는 학문이라고 말하면서, 동양적인 관점에서 페미니즘은 ‘일종의 열등의식이자 피해 의식’이라고 정의 내린다. 음양오행설에 비추어 남성과 여성이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는 방식을 모색하는 건 좋으나 페미니즘을 동양사상과 비교하면서 깎아내리는 입장은 눈에 거슬린다.

 

이 책은 서구에서 수입된 어려운 이론에 치우친 채 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있어서 독자와의 소통을 차단하고 있다. 저자는 현란한 언어로 무장한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에 경도돼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편으로 프로이트(Freud), 라캉(Lacan), 들뢰즈(Deleuze), 데리다(Derrida)등의 이론을 끌어들인다. 심지어 저자는 라캉을 ‘페미니스트의 대부(代父)’라고 소개한다[주]. 라캉이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건 사실이나 그가 페미니스트들을 보호해주는 후견인 역할을 한 것은 아니다. ‘페미니스트의 대부’라는 표현에는 학문 세계 안에 서 있는 페미니스트들의 주체적인 위치를 한 단계 낮춰 보는 시선이 반영되어 있다.

 

책의 편집 방식이 엉망이다. 영문 텍스트의 문장 일부를 번역하지 않은 채 그대로 가져와 주석으로 달아놓은 저자의 태도는 불친절하다. 그래서 이 책은 영문학을 전공한 대학원생이 아닌 이상 일반 독자가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니다. 89쪽에 미국의 소설가 노먼 메일러(Norman Mailer)를 여성 작가로 잘못 소개한 내용이 있으며, 176쪽에 “토머스 하디(Thomas Hardy)의 명작과 동일한 이름의 잡지사 「허영의 시장(Vanity Fair)」”이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이 또한 잘못된 내용이다. 《허영의 시장》은 영국의 소설가 윌리엄 새커리(William Thackeray)가 쓴 작품이다. 저자가 하디의 소설 《캐스터브리지의 시장》(문학과지성사)과 새커리의 작품을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두 작품에 공통으로 들어간 ‘시장’은 서로 다른 의미다.

 

페미니즘 비평은 남성 작가가 쓴 작품의 가치를 깎아내리거나 부정하기 위한 작업이 아니다. 그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은 물론 이야기에 가려진 여성들의 진짜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만든다. 남성 작가와 비평가들은 이제 높은 권좌에서 내려와야 한다. 턱없이 부풀려진 자만심도 걸러져야 한다. 현란한 수사로 여성을 타자로 묘사하지 말라. 비평하는 감시자가 없으면 아무리 아름다운 문장들로 채워져 있어도 그 문학은 썩어빠진 것이다. 페미니즘 비평이 없는 문단에 어찌 창작의 긴장감이 흐르겠는가? 페미니즘 비평이 없으면 문학이 썩어 죽는다.

 

 

 

 

[주] 『울스톤크레프트 & 핀치』, 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