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의 몸을 열다 - 난학과 해부학을 통해 본 18세기 일본
타이먼 스크리치 지음, 박경희 옮김 / 그린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은 대국굴기의 꿈을 무척이나 효율적으로 달성한 국가이다. 일본과 서양의 만남은 이보다 훨씬 이전인 18세기 에도(江戶)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그랬듯이 서양은 총과 대포 등 새로운 무기와 과학기술, 그리고 기독교를 가지고 일본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동북아시아의 여타 정권들과 마찬가지로 일본 바쿠후(幕府) 역시 쇄국정책을 펼쳤다. 서구 문물을 받아들여야 했던 바쿠후는 기독교의 포교를 묵인했지만, 가치관의 충돌은 피할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학자들은 서양문화를 이해하며 자기 사상을 깊이 되돌아 볼 기회를 가졌다. 일본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난학(蘭學)이 이들을 통해 형성된다. 네덜란드는 16세기부터 일본과 가장 친한 서방국가였다. 일본인들은 네덜란드의 다른 이름인 홀랜드(Holland)를 한자어로 바꿔 ‘화란(和蘭)’이라고 불렀다. 난학은 네덜란드인들이 전파한 지식을 연구한 학문으로, 일본의 근대화에 대한 각성은 지식인들에 의해 싹트기 시작했다.

 

난학의 형성에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있다. 스기타 겐파쿠(杉田玄白). 1774년에 겐파쿠와 그의 동료 학자들은 《해체신서(解體新書)라는 의학 서적을 편찬했다. 《해체신서》는 일본에 번역된 최초의 서양 해부학 전문서적이다. 《해체신서》가 알려지면서 일본의 의학기술은 급속하게 발전했으며, 일본에서도 인간의 몸을 ‘열어 본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타이먼 스크리치(Timon Screech)《에도의 몸을 열다》(그린비, 2008)는 ‘인간의 몸을 여는’ 해부학 열풍이 에도 시대의 문화 변동에 끼친 영향력을 추적한 책이다.

 

사무라이의 검이 힘을 잃은 시대에 외부에서 들어온 서양식 날붙이에 일본인들은 열광한다. 그리하여 그림들에 거의 예외 없이 가위와 나이프가 등장한다. 일본인들은 서양식 날붙이를 의학 도구라고 상상했다. 인간의 몸을 절개하는 메스에 호기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일본인은 몸에 칼을 대는 것 자체에 공포를 느꼈고, 전통의학을 고수한 의사들은 서양 외과를 불신했다. 해부학이 본격 도입되기 전까지 일본 전통의학의 본류는 한방의학이었다. 일본의 한방의학자들은 약을 짓는 일에 관심을 가졌을 뿐 몸을 절개(해체)해서 들여다보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서양 외과술을 접한 일본 의사들도 서서히 서구의 영향 아래 몸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해부학은 신체를 하나의 소우주로 본다. 인간의 몸은 우주 질서의 상징이고, 해부는 그것을 하나하나씩 해체하여 이해하는 일이다. 몸 위에서 펼쳐지는 해부 기술은 결국 세상 그 자체에 대한 해부였다. 메스로 몸을 여는 행위는 책 제목처럼 ‘에도’라는 몸이자 소우주를 여는 행위였다. 일본 지식인들에게 해부는 몸과 세계에 대한 앎의 욕구였다.

 

해부도를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시선에는 몸의 내부를 보고 싶은(알고 싶은) 욕망과 절개에 대한 공포 사이의 긴장감이 서려 있다. 해부도는 몸에 관한 지식을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매혹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인이 해부도를 보면서 느꼈을 ‘매혹적인 당혹스러움’은 해부도가 지닌 그로테스크한 매력이다. 시각적인 것은 대부분 이미지로 소비되는 속성을 지닌다. 이미지의 소비는 달리 말하면 ‘정신적 사유의 회피’라고 할 수 있다. 시각적인 것은 본질적으로 포르노그래피의 성질을 지닌다. 타이먼 스크리치는 《해체신서》를 모방한 춘화 세 점‘색다른 재미’가 느껴진다고 했다. 시각적 매체가 수용자를 매혹하고 붙들어 가는 방법의 하나가 성(性)이다. 섹슈얼리티(구체적으로 말하면 성욕 또는 성적 호기심)는 시각적인 매체 내용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해체된 육체에 성적 자극을 느끼는 기이한 섹슈얼리티는 해부도에 의해 계발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이렇듯 해부도는 에로틱한 매력과 그로테스크한 매력을 동시에 가진 시각적 매체였다. 에도 시대의 해부도 열풍은 서구가 찍어 놓은 근대의 발자국을 좇는 단순 유행이 아니었다. 해부도 열풍의 근저에는 이미 근대적 자극, 즉 ‘에로 그로’가 자리 잡고 있었다. ‘에로 그로’는 1930년대로 접어들어서야 현실화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8-08-13 1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대 과학을 대하는 태도에서부터 우리와
일본은 달랐던 모양입니다.

유가 정신을 내세우며 신체발부 수지부모
라 하여 시신에 칼을 대는 건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것 같은데, 일본에서는 상대적
으로 자유로웠던 것 같네요.

에로 그로라... 아니메와 연관되어 생각해
보면 아주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아닌
듯 합니다.

cyrus 2018-08-13 21:37   좋아요 0 | URL
요즘 ‘에로 그로‘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그 문화의 기원이 궁금했어요. 그래서 에도 시대 역사서까지 찾아 보게 됐어요.

<감각의 제국>과 <기니어피그>, 두 영화는 공통으로 신체 부위가 절단되는 장면이 나옵니다. 절단된 신체를 보면서 쾌감을 느끼는 영화 속 인물의 심리상태는 병리적이라기 보다는 에도 시대 해부도 유행이 만든 ‘에로 그로‘ 문화의 일종이라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