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서재를 탐하다’ 책방에서 <로쟈와 함께 읽는 가즈오 이시구로> 강연이 있었습니다. 7개월 만에 로쟈 님이 책방을 방문하셨습니다. 강연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일주일 전부터 이시구로가 쓴 두 편의 장편소설 《남아있는 나날》《나를 보내지 마》를 읽으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계획대로 되지 않았어요. 톨스토이《전쟁과 평화》를 지겹도록 수십 번 훑어봤고, 월요일에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페미니즘 독서 모임을 위한 책도 읽었습니다. 페미니즘 독서모임 책과 관련해서 수박 겉핥듯이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과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공부했습니다. 아무튼 여러 책을 꾸역꾸역 읽느라 이시구로의 작품을 다 못 읽을 뻔했어요. 다행히 《남아있는 나날》은 다 읽었어요.

 

 

 

 

 

 

 

 

 

 

 

 

 

 

 

 

 

 

 

* 가즈오 이시구로 《남아있는 나날》 (민음사, 2010)

* 가즈오 이시구로 《창백한 언덕 풍경》 (민음사, 2012)

 

 

 

로쟈 님은 이시구로를 ‘빈틈없는 작가’라고 평가했습니다. 지금까지 작가가 남긴 전 작품 모두 뛰어나다고 극찬했습니다. 의외의 평가였습니다. 저는 이시구로의 첫 작품 《창백한 언덕 풍경》을 읽었을 때 이야기 전개의 미숙함(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해석을 요구하는 듯한 모호한 묘사들)이 보여서 썩 훌륭하다고 느껴지지 않았거든요. 그렇지만, 《남아있는 나날》은 로쟈 님의 표현대로 ‘빈틈없는’ 작품이었습니다.

 

이시구로의 작품들을 관통하는 주제는 ‘기억’입니다. 로쟈 님은 《창백한 언덕 풍경》,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 《남아있는 나날》을 ‘기억 3부작’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억 3부작’은 이시구로의 초기 작품입니다. 이 작품 속 인물들은 기억을 통해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는 과정을 거칩니다. 작가는 이 과정을 독자에게 보여줍니다. 그렇지만 이시구로는 기존에 기억을 다룬 작가들(예를 들면, 프루스트)과 달리 ‘기억의 부정성’을 극대화합니다. ‘기억의 부정성’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왜곡된 기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남아있는 나날》의 주인공 스티븐스는 최선을 다해 주인을 섬기는 것이 인생의 목표일 정도로 모든 감정을 억누르며 살아가는 집사입니다. 그와 같이 일한 총무 켄턴은 스티븐스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의 마음을 열려고 노력하지만, 스티븐스는 집사 일에만 몰두합니다. 스티븐스는 ‘위대한 집사’가 되고 싶어 합니다. 그는 충성과 헌신으로 주인 달링턴 경을 섬겼습니다. 소설은 20년이 지난 뒤 스티븐스가 켄턴의 편지를 받고 그녀를 찾아 길을 나서며 과거를 회상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스티븐스는 집사로서 최선을 다했던 지난 시절을 회상합니다. 만약 프루스트가 《남아있는 나날》을 썼더라면 이야기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요? 과거를 회상하는 프루스트의 인물은 집요하게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과거의 진실을 찾으려고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시구로의 인물은 과거의 기억을 소환하지만, 끝내 진실을 찾아내지 못합니다. 독자는 알고 있습니다. 스티븐스가 과거를 회상하면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를.

 

달링턴 경은 독일 나치의 음모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들의 생각(반유대주의)에 동조합니다. 그러나 스티븐스는 주인의 올바르지 않은 행동이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사실, 스티븐스는 집사로서 직분에 충실했으나 인생을 잘못 살아왔습니다. 그는 주인의 결점을 지켜보기만 했으며 끝까지 이 ‘불편한 진실’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또, 켄턴과의 관계를 이어나가지 못하게 됩니다. 독자들은 작품을 읽으면서 스티븐스가 알아차리지 못한 ‘진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티븐스는 소설이 끝날 때까지 자신이 살면서 놓친 ‘진실’이 무엇인지 찾아내지 못합니다. 놀랍게도 그는 여행하는 내내 ‘위대한 집사’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본인이 살아온 인생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스티븐스는 여행하면서 과거를 회상하지만, 본인이 만든 ‘왜곡된 기억’ 속에 머무르기만 합니다. 이시구로는 스티븐스의 회상을 통해 기억이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부각합니다로쟈 님은 《남아있는 나날》의 결말을 보면서 한 편의 ‘섬뜩한 공포소설’을 보는 듯한 기분을 느꼈다고 했습니다.

 

이시구로의 다른 작품 《나를 보내지 마》, 《파묻힌 거인》에 대한 로쟈 님의 깊이 있는 설명이 있었지만, 제가 이 두 작품을 읽지 않은 관계로 강연 내용은 요약하지 않았습니다. 어제 강연에 맞춰 준비 독서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절반에 못 미치는 강연 내용을 전달하고 말았네요. 《남아있는 나날》마저 못 읽었으면 큰일 날 뻔했습니다. 아마도 강연 후기를 쓰지 못했을 것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8-07-15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의 기억이 많이 왜곡될 수 있음은 저도 잘 알고 있어요. 제 경험으로도 알게 됐어요.
예전에 쓴 일기장을 보니 제 기억이 틀렸더라고요. 그리고 더 브레인, 이라는 책을 보면
실험을 통해 인간의 기억이 얼마나 엉터리인지 증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기억만 엉터리가 아니고 심지어 인간은 누군가를 사랑하는지 안 하는지도 모르는 실험도 나옵니다. 사랑하지 않는데 사랑한다고 착각을 하기도 합니다.

<남아 있는 나날>, <나를 보내지 마>는 팟캐스트로 들어서 내용을 대충 압니다.
읽어 봐야겠단 생각을 했었죠. ㅋ

cyrus 2018-07-16 11:53   좋아요 0 | URL
예전에 쓴 리뷰를 다시 보면 책을 잘못 소개한 내용이 보여요. 기억에 의존하면서 책을 읽고 리뷰를 쓰면 엉터리 내용이 나올 수 있어요. ^^;;

레삭매냐 2018-07-16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시구로 작가의 책, 거진 다 읽었는데
두 권 짜리 하나 못 읽었나 싶네요.

말씀 해주신 대로 책 읽고 나서 바로 기록
한 내용을 보면서 리뷰를 쓰지 않으면 불
상사가 벌어지는 것 같더라구요.

우리는 귀차니즘과 싸우게 되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