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의 종말 -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
토드 로즈 지음, 정미나 옮김, 이우일 감수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매일 아침 일곱 시 삼십분까지 우릴 조그만 교실로 몰아넣고 전국 구백만의 아이들의 머릿속에 모두 똑같은 것만 집어넣고 있어.”

 

고등학교 중퇴가 최종 학력인 서태지는 노래 『교실 이데아』에서 대입 중심의 교육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 그 후 이십여 년이 흘러간 오늘의 교실은 어떤가. 등교 시간은 달라졌어도 고등학교의 교실 이데아는 그때 그 시절과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수능은 전국의 학생을 단일한 시험으로 줄 세우는 획일적인 입시제도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고민한다. 하지만 진로에 대한 고민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전부 똑같은 EBS 문제집을 풀고, 똑같은 내용을 같은 기간에 이수하고 있다. 학생들의 꿈을 판가름하는 것은 수능 점수다. 어른들은 진로 고민을 제쳐두고 ‘일단 대학부터 가서 고민하라’고 강요한다.

 

우리 삶에서 ‘자유로운 선택’은 굉장히 중요하다. 어느 대학에 진학할 것인지, 어느 회사의 물건을 구매할 것인지, 어떤 사람과 결혼할 것인지 등 작은 일상에서부터 인간의 삶 전체는 선택의 연속이다. 우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가 원하는 것을 누리기 위해, 우리의 운명을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우리는 가장 행복해질 수 있는 선택지를 고른다. 즉 자유롭고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개인의 선택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받고, 그러한 자유로운 선택 자체가 우리를 행복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평균의 종말》(21세기북스, 2018)을 쓴 교육신경과학 분야의 권위자 토드 로즈는 이러한 개인의 선택에 대해 진정 자유로운 선택이었는가를 묻고 있다.

 

 

 평균주의는 우리에게 대가를 치르게 했다. 사회는 우리 모두에게 학교와 직장생활과 삶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편협한 기대치를 따라야 한다고 강요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 모두는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되려고 기를 쓴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해서 우리 모두는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되되 더 뛰어나려고 기를 쓴다. (93쪽)

 

 

직업을 선택할 때 우리는 나의 행복을 위해, 자아실현을 위해 직업을 선택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평균의 시대’ 속에 살고 있다. 평균 점수, 평균 몸무게, 평균 연봉 등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평균이란 단어를 자주 접한다. 국어사전에서는 평균을 ‘여러 사물의 질이나 양 따위를 통일적으로 고르게 한 것’이라고 나와 있다. 말 그대로 평균이란 각 개체의 특성이 획일화 또는 표준화된 형태로 수렴되는 상태이다. ‘평균의 시대’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오래 됐다.

 

19세기 과학자 아돌프 케틀레는 스코틀랜드 군인들의 가슴둘레를 측정한 뒤 평균 가슴둘레 치수를 계산했다. 그는 평균 가슴둘레 치수에 가장 근접한 군인이 완벽한 신체를 갖춘 ‘참된 군인’이라고 주장했다. 모든 인간의 특성이 정확히 평균을 따른다고 주장할 논거가 부족했으나 케틀레가 제시한 ‘평균적 인간’은 완벽한 사람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기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케틀러의 ‘평균적 인간’ 이론은 큰 반향을 일으켰고 수많은 연구가 뒤를 이었다.

 

영국의 유전학자 프랜시스 골턴은 케틀레의 ‘평균’ 개념을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았으나 일부 그의 이론을 수용하여 평균으로 계층을 구분하려고 했다. 이렇게 되자 ‘평균적 인간’은 객관적이고 표준적인 기준이 되었고, ‘정상’을 판단하기 위해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논리가 나올 수 있었다. 골턴이 창시한 우생학은 ‘인종 청소’의 이론적 틀로 발전되었다.

 

1940년대 미국 클리블랜드에서는 이상적 신체 치수를 가진 여성을 뽑는 대회가 개최되었다. 여성의 이상적 신체 치수는 1만 5,000명의 젊은 성인 여성들로부터 수집한 신체 치수를 계산해서 나온 ‘평균값’이었다. 대회 주최 측 관계자는 완벽한 신체를 가진 여성에게 ‘노르마(Norma: ‘정상’을 뜻하는 ‘normal’에서 따온 이름)라는 별칭을 붙였으며 클리블랜드 박물관에 ‘노르마’ 조각상이 전시되었다.

 

평균의 시대 속에서 ‘평균’은 ‘정상’ 또는 ‘우수함’의 의미로 혼동된 채 사용되었고, ‘평균’은 인간을 평가하는 하나의 준거가 되었다. 평균주의는 표준화된 교육 과정 안에서 똑같은 교재로 학습하는 공교육이 형성되는 데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교육이 획일적으로 이뤄지면 학생 개인마다 취향을 살릴 기회가 부족해진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 따라가지 못한 학생은 학습 의욕이 떨어진 ‘열등한 학생’으로 평가받는다. 저자는 평균 점수로 학생의 성적 성취도를 평가하는 방식이 학생 개인의 소질 및 적성을 제대로 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사실 저자는 ‘평균주의 교육’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 중학생 시절 그는 ADHD 장애 판정을 받아 평균 점수를 받지 못한 ‘학습지진아’였고 성적 미달로 고등학교를 중퇴했다. 중퇴 이후 그는 대학입학자격 검정시험을 통과해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평균의 종말》은 저자의 경험과 ‘평균의 허상’을 증명해주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서 개인 고유의 재능과 취향을 외면하는 평균주의 교육을 비판한다.

 

저자는 평균주의 교육 또는 시스템을 탈피하고 주체적인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 ‘개개인학(science of the individual)이라는 학문을 만들었다. 그는 평균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세 가지 개개인성의 원칙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들쭉날쭉의 원칙, 두 번째는 ‘맥락의 원칙’, 그리고 마지막은 ‘경로의 원칙’이다. 각 개인의 특성은 같을 수 없다.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인간의 특성을 ‘평균’에 근접한 기대치에 맞출 수 없다. 인간의 성격은 하나로 똑 부러지게 규정하기 어렵다. 인간은 상황에 따라 외향적인 행동을 할 수 있고, 또 내향적인 행동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적절한 상황과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본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걸어갔던 삶의 경로를 똑같이 따를 필요가 없다.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각자에게 적합한 삶의 경로가 있다.

 

저자는 학생 개인의 능력을 부각하는 새로운 대안 교육 방식들을 제시하는데, 그중 하나가 자격증을 수여하는 교육제도이다. 저자는 학생의 실력이 검증된다면 학위 대신에 자격증을 수여하자고 주장한다. 이게 과연 우리나라 교육 실정을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자격증은 취업을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스펙 중 하나다. 자격증은 일정한 실력을 인정하여 주는 증서인데, 우리나라의 자격증은 취업을 위해 반드시 따야하는 가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격증을 많이 딴다고 해서 그 사람의 모든 재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기업들은 직원을 채용할 때 (기업이 요구한) 자격증을 소유한 지원자를 우대한다. 결국, 자격증도 획일화된 평균주의 교육의 수단으로 변질할 수 있다. 저자의 말대로 평균주의가 망친 교육을 개선하려면 먼저 기업부터 바꿔야 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6-11 13: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6-12 11:47   좋아요 0 | URL
문제 많은 낡은 사회제도를 고수할수록 그 제도에 유리한 소수 특권층만 유리해져요. 그들은 변화를 두려워해요. 오랫동안 누려온 특권들을 포기해야 되니까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낡은 사회제도에 손해를 보는 다수 사람들도 변화를 두려워해요. 왜냐하면, 변화하는 과정에 겪게 될 크고 작은 시행착오를 피하고 싶어 해요.

레삭매냐 2018-06-11 13: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어느 신문 칼럼인가 기사를 보니,
지금 21세기 한국의 노동상황이 기원전 로마의
노예들이 처해 있던 상황과 다를 바가 없다는
글을 읽고 깜짝 놀랐습니다.

교육제도와 시스템으로 노동을 기업/재벌에
예속된 현재가 서글퍼지네요.

cyrus 2018-06-12 11:51   좋아요 1 | URL
네, 슬프지만 현대판 노예가 많습니다.. ^^;;

책읽기는즐거움 2019-10-13 11: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이시지만 이제 수능으로 대학가는 친구들은 전체의 반의 반도 안됩니다. 시대가 변했는데 교육은 그대로 라는 말씀을 하시려면 변화된 부분은 반영하시는게 더 완벽한 글이 될 거 같아요. 물론 전체적인 논지는 공감합니다. 제가 평가할 수준은 아니지만요^^;

cyrus 2019-10-14 07:42   좋아요 0 | URL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미혼이라서 최근 입시 현황을 잘 몰랐습니다.. ㅎㅎㅎ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13년이나 지났는데 그 사이에 많이 변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