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읽기 시작했을 때, 작가의 전작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아마도 두 작품 모두 기억을 더듬는 것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스토리는 전혀 다르지만 어쩐지 이야기의 색깔이 중첩되는 스펙트럼을 가진다고나 할까.

 

사랑을 더 하고 더 괴로워하겠는가, 아니면 사랑을 덜 하고 덜 괴로워하겠는가?

 

   '단 하나의 이야기'라는 원제와 '연애의 기억'이라는 번역제목을 합하면, '모든 사람에게는 자신만의 사랑 이야기'가 있으며 그것이 바로 '단 하나의 이야기'라는 수전의 이야기와 일맥 상통하게 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일흔 살 정도 되는 폴이 기억하는 열아홉살의 폴과 마흔여덟살의 수전이 시작했던 사랑에 관한 단 하나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만 작품은 단순히 정의내리기 어려운 복잡한 디테일을 담고 있다.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에서도 느낀 바이지만 그의 작품에는 명확하다거나 단순하다거나 하는 수식어를 사용하기 어렵다.

   이야기는 3개의 장으로 나뉘는데, 첫번째 장에서는, 열아홉살에 시작한 그의 사랑이 비교적 가볍고 어떻게 보면 어린 시절의 치기 같은 장난스러움과 유머도 느껴지는 경쾌한 어조를 유지하는데, 시점 역시 시종일관 나, 폴의 일인청 시점이다. 둘이 함께 살게 되는 두번째 장에서는 처음에는 폴의 일인칭 시점이 유지되다가 수전이 남편에게 폭행을 당한 사건 이후로 이인칭 시점으로 바뀐다. 수전의 알콜중독증이 심해지고 결국 폴의 인내심이 바닥이 드러나는 장면 이후 세번째 장이 시작되면서 시점은 삼인칭으로 바뀐다. 시점의 변화가 폴의 수전을 향한 사랑의 변화를 독자들로 하여금 구분할 수 있게 하는 어떤 장치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랑은 썩지 않는 것'이라고 호언장담하던 열아홉의 폴은 이렇게 생각한다.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나중에 오는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현실성에 근접한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이 식었을 때 오는 것이다. 무아지경에 빠진 애인은 사랑을 '이해하고' 싶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경험하고 싶어하고, 그 강렬함, 사물의 초점이 또렷이 잡히는 느낌, 삶이 가속화하는 느낌...(중략)...사랑의 진실을 느끼고 싶어한다. 사랑과 진실, 그것이 나의 신조였다. 나는 그녀를 사랑하고 나는 진실을 본다. 그렇게 간단해야 한다.

 

 그렇게 자신만만했던 폴의 사랑도 퇴색되고 사라지는 순간이 오게 된다. 폴은 그렇게 된 이유가 수전 때문이라고 기억하지만 이 연애의 기억에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와는 달리 다른 쪽, 즉 여기서는 수전의 기억이 없으니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기억이란 그런 것이라고 인정할 수 밖에.

 

기억은 기억하는 사람의 요구에 따라 정리되고 걸러진다. 우리가 기억이 우선순위를 정하는 알고리즘에 접근할 수 있을까? 아마 못 할 것이다. 하지만 내 짐작으로는, 기억은 무엇이 되었든 그 기억을 갖고 사는 사람이 계속 살아가도록 돕는데 가장 유용한 것을 우선시하는 듯하다.

 

   나는 이 이야기를 연애소설이 아닌 한 남자의 기억에 관한 것이라고 기억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