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유사 - 조선왕조실록에서 다루지 못한 진짜 조선이야기 박영수의 생생 우리 역사 시리즈 2
박영수 지음 / 살림Friends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금을 몰랐지만 백성들은 알고 있었던 이야기, 역사책 밖에서 만나는 ‘진짜’ 조선을 담고 있다는 책 소개가 인상적이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대명제 속에서도 드러난 그 역사 이면에 숨겨진, 승자들이 감추고 싶었던 역사를 파헤치는 것은 지난 역사를 뒤돌아보는 우리들의 몫일 것이다. 주어진 과제에 충실하려는 듯, 저자는 정사와 야사를 총망라하며,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는 시선으로 바라본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한 권의 책에 펼쳐놓고 있다.

 

“문화는 역사의 덩어리요, 역사는 문화의 근원이다. 다른 말로 바꾸면 문화는 역사의 열매요, 역사는 문화의 뿌리다"라는 사학자 ’김성식’ 선생의 말로 시작되는 머리말을 통해 이 책이 담고자 하는 바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역사라는 틀에 가둬진 조선이 아닌, 우리와 함께 살아 숨쉬는 ’문화‘라는 영역으로 확장되어,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렇게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눠진 조선은 다양한 인물들의 일화를 통해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끄집어내고 있었다. 각 이야기별로 ’문화 이야기‘라는 테마를 두어, 어원, 풍속 등의 다양한 유래를 들려주고 있었다.

 

다소 도발적인 문구(“황희 정승이 청렴결백했다고? 웃기지 마슈”)로 시선을 고정시켰던 <조선유사>는 역사의 얼개를 좀더 튼실히 짜맞출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단편 지식에 머물던 어떤 역사적 사실들이 다른 모습으로 다가왔다. 특히 인물들의 일화를 통해 역사와 문화를 꿰뚫는 명쾌함이 일품이라 할 수 있었다. 또한 고정된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인물의 다른 면모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선을 따듯하게 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있게 해주었다. 세조 때 ‘이징옥의 난’으로 교과서에서 만났던 인물 ‘이징옥’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또한 기존의 편견을 깨는 듯한 조금은 유치하다 싶을 정도의 삽화(이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림일 것이다)가 그려져 있는데, 왠지 모르게 친숙하게 다가오면서 좀더 쉽고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제목만으로도 충분히 호기심과 궁증증을 유발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이미지와 이야기는 책을 읽는 끝까지 흥미진진함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기록하지 않았지만 백성들의 기억을 통해 바라본 조선은 과연 어떤 모습일지, 예상 밖의 역사를 만날 수 있으리란 기대감으로 들뜨게 했던 <조선유사>는 좀더 살가운 조선으로 떠나는 타임머신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