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날고 싶다
김종일 지음 / 어문학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날고 싶다!" 누구나 가슴 속에 품고 있는 갈망이 아닐까? 그런데 그 어느때보다 '날고 싶다'는 마음 속 울림이 크게 다가왔다. 그것은 바로 이 소설의 배경 때문일 것이다. 1980년대의 청량리?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지 나는 알지 못한다. 그러나 가히 짐작하게 되는 정경들 속 구두닦이들과 집창촌 여성의 삶을 어떻게 그려내고 '희망'을 어떻게 풀어내고 있을지 절로 호기심을 끌었다.

청명한 푸른 하늘을 붕 떠가는 한 소년의 모습이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가운데 책을 중반 쯤 읽다보니, 그 소년의 모습에 담긴 흑백사진의 정경을 뒤늦게 포착하며 사라진 청량리의 풍경을 상상해본다. 

 

아버지의 죽음과 엄마의 재혼으로 홀로 남겨진 열여섯 살의 '종수'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고모집을 가출한 후 구두닦이패의 일원이 된 종수는 거리에서 우연히 혜련이 누나를 알게되고, 또한 구타와 욕설을 일삼는 구두닦이형들(성길이 형, 문수 형, 개남이 형)의 틈바구니에서 고달픈 찍쇠 생활을 하지만, 어느새 그들은 점점 한 가족처럼 서로를 의지하며 삶의 기반을 다져나가는 희망을 꿈꾸게 된다. 차례를 보면, 마지막이 '이별, 그 영원한 그리움'이다. 누군가의 죽음을 암시하고 있고, 그 누군가가 혜련이 누나임을 첫장을 들추면서 바로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처한 고된 현실 속에서 그 어느때보다 사람의 끈끈한 정을 느낄 수 있었다.

 

집창촌에서 일하면서도 기존의 이미지와 모든 편견을 불식시키는 혜련이 누나의 존재는 마치 진흙탕 속 새하얀 연꽃으로 쉽게 이미지화되었다. 청량리를 주름잡는 왕초 '독사 형'은 드라마 추노의 '대길'과 하나가 되었다. 주먹 하나로 살아온 인생이 한 여인으로 인해 내일을 꿈꾸는 삶을 살게 되고, 거친 세상으로 내몰린 상처투성이 '종수' 역시 따듯한 시선 하나로도 삶의 의지와 희망을 간직하고 마음 속 상처를 치유하게 되는 등, 그렇게 '혜련'의 존재와 6명의 거친 남자들의 이야기가 밝고 유쾌하게 그려진다.  여리고 순수한 소년 '종수'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는 1980년대 청량리는 암울한 현실과 대조를 이루며 따뜻하게 그려졌다.  '희망이 없는 시대'라는 오늘날 '인간성 상실'이라는 화두를 정말 희망이 없어 보이는, 가진 것 하나 없는 7명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통해 사람내가 진동하며 훈훈한 이야기로 그려내고 있었다. 가족보다 더 끈끈했던 그들, 그리고 그들의 변모가 읽는 이로 하여금 한 가슴을 뜨겁게 만들며 눈시울을 붉히게 한다. 

 

<나는 날고 싶다>라는 책을 처음 보았을 때 <대통령이 죽었다>(박영희, 실천문학사, 2009)라는 책이 떠올랐다. 솔직히 시대적 배경이 거의 동일하면서 기억에도 없는 7,80년대의 모습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신문배달과 구두닦이라는 생소한 일과 한솥밥을 먹으면서 열악한 환경 속에서 내일을 꿈꾸는 그들의 모습은 닮아 있었다. 그러면서 지금의 우리를 뒤돌아보게 한다. 지금보다 더 열악하고 암울해 보이는 그 옛날(솔직히 조선 시대의 풍경보다 오히려 낯설게 생경하게 느껴진다)의 이야기가 많은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었다.

과연 희망은 '없는' 것일까? 끊임없이 자문해본다. 그러나 희망은 여전히 너무도 가까운 곳에 있었다. 애정어린 시선 하나, 다사로운 말 한 마디가 얼마나 큰 희망이고, 삶의 의지가 되는지, 때 묻고 거친 스스로를 반성하게 된다. 저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종수'의 밝은 내일이 한 눈에 그려지니, 그 기운이 책을 통해 한 가득 온 몸으로 번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