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독송의 이론과 실제 (책 + 독송용 포켓 금강경) - 읽고 싶은 경전 시리즈 01, 개정판
정천구 지음 / 작가서재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금강경 독송의 바른 법을 아직 정착시키지 못한 나는 다시 백성욱 선생님에게로 돌아가기로 하였다. 선생님 아래서 공부한 방법으로 평생 금강경 독송을 해오신 정교수님의 금강경 해설은 말 그대로 도인이신 백성욱 선생님의 금강경 공부법을 일반인이 알기 쉽게 잘 정리해놓으셔서 이 책을 통해 금강경 독송의 가이드로 삼기에 좋다. 마음이 열린 분들의 글은 그 깊이를 체험하기까지 오래오래 스스로의 마음으로 묵혀야만 비로소 그 뜻을 조금이라도 알게 되기 마련이다.

 

  백성욱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탐심은 끊을 것이 아니라 깨쳐야 하며 진심은 참을 것이 아니라 바쳐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치심은 자기 자신이 잘 알 수 없으므로 평소에 자꾸 닦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리석은 마음이란 곧 제 잘난 마음이며, 탐심과 진심은 그래도 스스로 느끼고 닦아나갈 수 있지만 제 잘난 마음은 스스로 깨닫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끊임없이 수행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은 발원에 대한 선생님의 말씀이시다. "제도하시는 용화교주 미륵존여래불 시봉 잘 하겠습니다. 이 사람들이 다 각각 무시겁으로 지은 업보 업장을 해탈 탈겁하여 모든 재앙은 소멸하고 소원을 성취해서 부처님 시봉 밝은 날과 같이 복 많이 짓기 발원"하고 원을 세우셨다. "제도하시는 용화교주 미륵존여래불 시봉 잘 하겠습니다. 이 물건 주는 사람, 받는 사람들이 모두 각각 무시겁 업보 업장을 해탈 탈겁하여 모든 재앙은 소멸하고 소원을 성취해서 부처님 잘 모시기 발원"하고 축원하시기도 하였다.

 

  금강경은 3000년 전에 영산회상에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1250인의 제자들을 앞에 놓고 수보리 존자와 대화하신 것을 적어 놓은 것이니 그것을 읽을 때에는 자기 자신이 영산법회에 그들 1250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기분으로 공경하는 마음을 내어 읽으면 된다고 하셨다. 뜻을 애써 알려고 하지 말고 꾸준히 읽으면 그 뜻을 자연히 터득하게 된다는 말씀도 하셨다. 또 금강경을 잘 읽고 싶으면 "모든 중생들이 금강경 잘 읽어서 부처님 잘 모시길 발원" 또는 "모든 중생들이 신심 발심해서 부처님 전에 복 많이 짓기 발원"하면 손쉽게 읽을 수가 있다고 하셨다.

 

  아침 처녁으로 금강경을 읽고 평상시에는 부딪치는 사물, 떠오르는 모든 생각에다 대고 '미륵존여래불'하라, 이 두 가지 공부가 결국 바치는 공부에 귀착되는 것이다. 바치는 공부는 마음 속에 넣어두었던 모든 것을 꺼내어 부처님께 드리는 것이니 불공으로서는 이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매화 가지 위에 달이 걸렸는데 매화를 보고 나니 달은 이미 간 곳 없네.." 현재심을 이렇게 표현하시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백성욱 선생님께서 자신의 생활신조로 삼아오신 말씀을 올린다.

이 세상을 대할 적에 보수 없는 일을 연습하라

제 마음 가운데 미안을 머물러 두지 말라

이 세상을 모두 성인으로 보아야 한다

부지런히 실행할수록 몸과 마음이 안정되는 것이다

마음이 안정되어 슬기가 생기니 이것이 곧 지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