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노자의 <도덕경>과 한비의 <한비자>를 읽어야겠다고 생각한 건, 고전읽기의 위력에 대해 들었기 때문입니다. 고전을 100권 이상 읽으면 천재적인 두뇌를 가질 수 있다는 믿을 만한(?) 정보를 듣고, 읽으려 하는 고전 목록을 작성하는 중이었습니다. 노자와 한비라면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를 대표한다는 사상가라고 하니 제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도가 사랑의 시조라 일컬어지는 노자와 법가 사상을 집대성한 한비의 사상을 읽어낼 수 있다면, 그 자체로 하나의 도전이요, 의미가 있을 테니까요. 그러나 시간과 문화의 장벽이 가로막고 있는 중국의 고전을, 그것도 대가의 사상을 무조건 읽어내려가기에는 아무래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는 현대인들을 위해 쉽게 풀어쓴 책입니다. <도덕경>과 <한비자>에 담긴 철학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조직경영 또는 자기계발서로 읽어도 무방할 듯합니다. 무엇보다 노자와 한비의 사상을 비교하면서 두 사상의 요점을 짚어주고 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노자와 한비의 사상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독자도, 두 사상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강조점이 어디에 있고, 도가와 법가가 어떻게 사상적 흐름을 달리하는지 그 차이를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노자의 <도덕경>과 한비의 <한비자>를 읽고, 각각의 책으로 들어가는 것도 중국 고전을 읽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움켜쥐기보다는 내려놓음으로써 얻어지는, 걸림없는 자유로운 삶의 지혜, 있는 모습 그대로의 자연스러움, 즉 '무위(無爲)'를 핵심사상으로 하는 노자의 지혜에서는 인생의 길을 배울 수 있고, 정치 철학이라 할 수 있는 한비의 법가 사상에서는 조직 경영의 원리, 다시 말해 리더의 지략을 배워볼 수 있겠습니다. 같은 주제를 놓고도 두 사상가가 전혀 다른, 정반대의 길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예를 들면, 군주를 도를 논하는 부분에서, <한비자>는 군주 한 사람이 나라의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을 모두 장악하는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군주 역시 신하들을 초월하는 위치에서 그들을 통제하므로 군주와 신하는 같지 않다<양권>. 이렇듯 한비는 군주를 신성한 존재로 각인시키며 군주의 '독재'를 강조합니다. 그러나 노자는 정치의 최고목표를 '무위에 의한 통치'(無爲而治), 즉 군주의 인위적인 행동 없이 저절로 다스려지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군주 한 사람의 능력만으로는 나라를 잘 다스 수 없습니다. 무위를 통한 통치를 가능하게 하려면 군주는 우선 신하의 직위를 확정하고 직책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그들 각자가 해야 할 일을 구분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군주와 신하는 위아래에서 각각 맡은 업무를 완수해야 합니다. 각기 능력에 적합한 위치에 신하들을 적절하게 배치해야만 무위를 통한 통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두 대가의 각기 다른 주장은, 오늘날 현대 경영과도 연결됩니다. 카리스마 있는 리더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팀원들 간의 협력을 기본으로 하는 리더십 등으로 응용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노자의 무위 사상과 한비의 법가 사상이 자라난 역사적 배경을 아는 것도 그들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좋은 초석이 됩니다. 예를 들면, 노자가 살던 시대는 전쟁과 사회혼란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던 대격변기의 때라고 합니다. 그렇다 보니 노자는 그 안에서 파괴된 나라들과 고통에 신음하는 백성의 모습과 달리, 방종과 사치를 일삼으며 백성의 피땀을 헛되게 하는 통치자들의 형태를 직접 목격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이 모든 현실이 그의 철학, 즉 인성, 처세, 통치, 전쟁, 양생 들에 대한 철학을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고 해석합니다. 중국 최초로 우주의 근원이 무엇인지 제기하며, 순수한 자연,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라는 노자의 사상이 단순히 철학에만 그치지 않고,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었다는 것도 주목해볼 만한 합니다.

 

(법)제도는 시대의 변화에 부흥하며 시기 적절성, 시대성, 합리성 등을 지녀야 한다고 설파하며 강력한 법에 의한 통치를 주장한 한비의 냉철한 지략과 인생에서 진정으로 행복을 얻고 싶다면 마음의 근심 걱정을 떨쳐 버리고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말하는 무위의 노자는, 그렇게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둥을 놓음으로써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지혜는 시대와 공간과 문화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에 '지혜'라고 부르는가 봅니다. 노자와 한비의 것을 서로 비교하며 읽을 수 있어서 더 흥미로웠던 책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금구 2013-12-29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일홉글을 배워서 한섭글배운사람을 수하로 비서로 두고 봉급을주고 차도캐딜락을
타고 다니는사람은 상상력이 지식과 학벌을 앞서간다고 봐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