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워지지 않는 기억,의 실체.

 
'기억의 감각'이라고 이름 붙이고 싶은 단편집이다. '앤드루 포터', 그의 이름을 외워두려 한다. 어느 곳에서건 그의 책을 발견하게 되면 이제 그냥 지나치지 못할 듯하다.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그의 단편 소설집이다. 서로 다른 열 가지 이야기가 하나로 연결된 듯 읽히는 점이 흥미롭다. 그것은 그의 단편 소설에 나타나는 몇 가지 공통점 때문인 듯 한데, 가장 두드러지는 공통점은 "작품마다 일인칭 화자를 꼭 등장시켜 이야기를 이끌어나간다"는 것과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은 "기억"을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책의 끝에 붙어 있는 '옮긴이의 말'을 들어보면, 읽으면서는 미처 눈치 채지 못한 것들인데 서로의 이야기가 훨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드러나는' 의미는 없는 교차이기도 하면서, 기억처럼 서로 스치며 살아가는 우리의 일상을 '모형'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이해된다. 앤드루 포터는 이 작품으로 최고의 화제를 모으며 무명의 작가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예 작가로 떠올랐다고 한다. 

기억을 '이야기'하는 이 소설은 감각적이다. 몸 구석구석에 숨어 있던 기억을 깨운다. 분명 기억과 이야기에 집중하는데 감각이 건드려진다. 지난 시간의 기억, 그것은 강렬하지만 격정적이지는 않다. 격정의 시간을 지나왔으므로. 열 편의 이야기들이 떠올리는 기억들은 지극히 '일상적'인 것들이다. 잔디 쓰레기 봉지를 구멍 속에 빠뜨린 친구가 그것을 건지기 위해 구멍 아래로 내려간 후, 영영 다시 올라오지 않은 끔찍한 기억도 일상 한 가운데서 벌어진 일이다(구명). 시간은 끊임없이 흘러가고, 더불어 우리의 삶도 흘러가고, 시간 따라 많은 것이 잊혀지지만, 몇몇 장면들은 기억의 조각으로 남겨진다. 그러나 불행히도 앤드루 포터가 들려주는 열 가지 이야기 중 행복한 기억은 없다. 그 서늘한 기억의 조각들. '그때' 우리가 다른 선택을 했다면 기억이 달라졌겠지만, 기억이 후회를 부르지는 않는다. 그때는 몰랐지만 지금은 알게 된 의미가 있을지라도 그것은 그저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기억'일 뿐이다.

열 편의 이야기 중에서 가장 짧으면서도(3페이지) 가장 강렬한 이야기는 <피부>이다. 현재에서 과거를 보는 다른 이야기들과는 달리, <피부>는 '4월이고 때아니게 따뜻해서 창문들은 열어두었고 선풍기가 돌아가고 있는'(252) '오늘'이 기억으로 남을 '미래'를 본다. 갓 결혼을 한 이 남자는 스무세 살 동갑인 아내와 아이스티를 마시며 조그만 스튜디오 아파트 바닥에 벌거벗고 누워, 그리 멀지 않은 어느 날 '우리가 막 서명하여 포기한 아이에게 지어줄 수 있었던 이름들을 떠올리며, 어두운 방 안에 홀로 앉아 있을'(254) 미래를 본다. 이것이 앞으로 일어날 일이고, '우리는 잔인한 짓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는 안개 속의 꿈을 믿으면서' 잠들었던 오늘은 기억이 되어 남을 것이다. 기억은 그렇게 나의 어제이고, 나의 내일이기도 하면서, 그 자체로 나의 '오늘'이 된다.

치매나 기억상실증과 같이 '내 머릿속의 지우개'를 다룬 작품들은 기억이 지워질 때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준다.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우리에게 남아 있는 '지워지지 않는 기억'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기억의 실체를 느끼게 해줄 뿐이지 해석은 없다. 상실로, 혼란으로, 고통으로, 의문으로, 아픔으로 남아 있는 기억,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갖는 그 무엇으로 말이다.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열 편의 이야기가 닮아있지만, 전혀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전체를 감싸는 그 분위기가 짙은 안개 속으로 우리를 몰아넣듯 하나의 감각 안으로 우리를 들여보낸다. 이 책은 해석하기 보다 느껴야 할 것 같다. 다른 사람의 기억 속을 걸으며 자신의 기억을 더듬더듬 더듬거리게 만드는 책. 열 편의 이야기 중 자신의 기억과 일치하는 모양과 색깔이 있을지도 모른다. 공포일수도 있고, 후회일수도 있고, 그리움일수도 있고, 의문일 수도 있고, 아쉬움일수도 있고, 고통일 수도 있는 기억들. 이 안에 내 것과 일치하는 기억이 있다면, 우리는 어쩌면 신비한 치유를 경험할지도 모른다. 혼란하고 고통스럽던 기억이 튀어나올 때, 비로소 우리는 그것을 객관적인 눈으로 바라볼 수 있고, 그러면 기억을 기억인 채로 내버려 둘 수 있게 될테니 말이다.

잊고 싶다고 쉽게 잊혀지지도 않고, 고쳐 쓰고 싶다고 다시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기억, 어쩌면 그것 때문에 우리가 오늘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05-24 1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런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