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자, 이야기를 계속해봐. 잠이 들지 않도록. 이젠 지쳤어. 모르겠어. 여기가 어디인지, 내가 누구인지도. 이렇게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하면서 버티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의미… 글쎄, 최소한 지루하다는 느낌은 가질 수 있잖아. 그리고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하고 있는 건 아니야. 매번 변하고 있어. 조금씩 조금씩, 쌓여가면서. - P11

지난 토요일 저녁, 우리 여섯 명은 산장에 모였어. 하지만 정작 우리를 초대한 악마는 오지 않았지. 모두 초면인지라 선웃음을 지어가며 어색하게 인사를 나누었어. - P12

연쇄살인범은 다만 자신의 환상을 현실로 옮긴 자들입니다. 무기력한 몽상가가 아닌 과감한 행동가들이라고 할 수 있죠. - P17

모두들 무엇엔가 마음을 빼앗기고 싶어 하잖아. 그래야 자기 마음을 물끄러미 오래 들여다볼 필요가 없으니까. - P20

악마는 투명했어. 그가 올린 수많은 글을 살펴봐도 그에 대해 유추할 만한 단서는 전혀 없었지. 연령대, 성별, 직업은 물론이거니와 성향이나 생각조차도 알기 힘들었어. 역사와 심리에 해박하며 지적이고 논리적인 언어를 구사한다는 사실밖에는. - P23

"그러고 보니, 방이 꼭 여섯 개네요."
연우가 무심코 던진 말이 그들의 가슴 밑바닥에 끈적하게 눌어붙었다. 모임의 주최자인 악마까지 왔다면 인원은 총 일곱 명인데.... 혹시 이미 와 있는 게 아닐까? 모두가 똑같은 의혹을 품었지만 아무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 P30

이번 주말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시는 회원 몇 분만 제 별장에 초청하여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마련할까 합니다. 홈페이지에 차마 올리지 못한 희귀 자료도 공개하고, 재미있는 게임도 준비되어 있으니 꼭 참석해주시기 바랍니다. - P35

지금까지의 행태로 봤을 때 악마라는 놈은 철저한 조직적 연쇄살인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직적 연쇄살인범은 일정한 기준과 목적을 먼저 세우고 거기에 맞춰 희생자를 선택하는 게 특징이죠. - P41

악마가 제안한 대로 우리는 친목을 다지고 있었어. 그것도 매우 빠른 속도로, 반나절 만에 몇 년을 가까이 지낸 지인들보다 서로에 대해 더 많은 걸 알게 되었지. 마치 예정된 죽음을 목전에 두고 시간을 압축해서 친해지려는 사형수들처럼. - P44

오후 내내 묻는 말에만 마지못해 답하던 연우가 불쑥 입을 열었다. 여섯 개의 눈동자가 그녀에게 몰렸다.
"우리 모두 연쇄살인범에 미쳤잖아요. 그래서 여기 모이게 된 거 아닌가요?" - P47

민규는 맞은편 벽에 기대앉은 연우에게서 눈을 떼지 않았다. 간신히 목을 가누고 있는 그녀의 모습이 지저분한 창문을 통해 바라보는 것처럼 흐리마리했다. 몸이 구름에 감싸여 둥둥 떠다니는 기분이었다.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며칠째 굶은 것인지, 어떻게 탈출할 것인지, 아무것도 떠올릴 수가 없었다. 그의 머릿속에 남은 생각은 오직 하나뿐이었다. 저 여자가 잠들면, 내가 죽는다. - P67

지난 금요일 저녁, 우리 일곱 명은 산장에 모였어. 하지만 정작 우리를 초대한 악마는 오지 않았지.…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계 지적 생명체가 어떤 존재인지 추측을 할 때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할 수 있다. - P25

훌륭한 SF 소설이 많지만 그들 모두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와 플롯이 필요한 스토리텔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인간 중심의 내러티브를 SETI에 적용할 때, 우리는 왜곡된 거울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누구나 추한 것을 미워하지. 그러니 어떤 생명체보다도 추한 내가 얼마나 혐오스러울까! 그대, 나의 창조자여, 하물며 당신까지도 자신의 피조물인 나를 혐오하고 멸시하고 있소. 그래도 그대와 나는 둘 중 하나가 죽어야만 풀릴 끈으로 묶여 있소. - P233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라 쉽지는 않았지만, 빅터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행적과 그의 괴물이 저질렀다는 세 건의 끔찍한 살인이 실제로 발생했던 비극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P234

몸의 각 부분이 무덤이나 도살장 출신인 프랑켄슈타인은 우직하다 싶을 정도로 고정된 이미지로만 등장한다. - P239

소설에서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을 만든 박사의 이름일 뿐 괴물에게는 이름이 없다. 박사는 괴물이 깨어나는 것을 보자마자 냅다 줄행랑을 쳤기 때문에 이름을 지어줄 틈도 없었다. 그러나 후대인들은 박사의 이름을 괴물에게 물려주어, 지금 글에서도 그렇듯이, 박사와 괴물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 P241

"아마 그들은 내 모습을 보고는 혐오스러움을 느끼겠지만, 부드러운 태도와 친절한 말들로 그들의 호의를 사게되면 결국엔 나를 사랑하게 될 것이라고 상상했소. 이런 생각에 고무되어 나는 새로운 열정을 가지고 언어의 기술을 터득하는 데 전념했소." - P245

퍼즐을 맞추듯 여기저기서 조각들을 찾아 모았죠. 그런데 이상하죠. 조각을 하나하나 끼워갈수록 편지 내용과는 다른 그림이 나타나더군요. - P259

빅터 형은 신이 부여한 정체성 이외의 또 다른 자아를 품고 있었던 거예요. 본인도 괴로웠겠죠. - P259

각자 위치로, 서둘러, 누군가 책장을 연다! -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리아라는 별명을 가진 그녀를 한 번도 만나본 적은 없다. 사실, 그녀의 이름도 모른다. 수연이가 한두 번 언급했겠지만 아마 흘려들었을 것이다. - P197

자주 만나다 보니 사소한 문제가 하나 생겼다.
.
.
바로 할 말이 없다는 것. - P206

그때 혜성처럼 등장한 구원투수가 있었으니, 그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 저기, 우리 학원에 저랑 동갑인 선생님이 있는데요… 마르지 않는 가십의 유전, 입방아의 순교자, 마리아의 탄생 설화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 P207

집에 돌아와 동아리 소식통을 자처하는 후배에게 전화를 걸었다. 재작년인가, 녀석이 방송국으로 찾아와 함께 술을 마신 적이 있었다. 만나자마자 브리핑하듯 사람들 소식을 일일이 전해주었는데, 그중 여자 후배의 스캔들 하나가 끼어 있었다. 내 기억이 맞다면 그게 수연이였다. - P215

마리아 한 번 만나보고 싶다. 멍하니 하늘을 올려다보다가 무심코 나온 말이었다. 수연이가 두 손을 입에 붙인 채 눈을 똥그렇게 뜨고 나를 쳐다보았다. 오빠가 왜요? 왜는, 하도 얘기를 많이 들었더니 궁금해서 그러지. 오빠가 걔를 왜 만나요? 따지듯이 들이미는 목소리에 가시가 돋쳐 있었다. - P222

파혼. 어감으로는 ‘이혼’보다 더 파탄에 가까운 느낌을 준다. 물론 심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서류상으로나, 이혼이 훨씬 세다. 이혼이 파혼의 등을 두드려주며 말한다. 용기를 내. 너도 할 수 있어. - P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이 이제 휴대폰을 포괄해야 한다면 우리는 본질적으로 생물과 기술이 부분적으로 결합된 사이보그라고 할 수 있다. - P15

뇌의 기능을 대신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스마트폰에 담긴 데이터는 우리 머리 안에 있는 정보와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법이 정신적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목표로 한다면 우리 뇌와 같이 사이보그 해부학에도 동일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법의 경계를 넓혀야 한다. - P16

아인슈타인의 신은 무한히 우월하지만 비인격적이고, 무형적이고 미묘하지만 악의적이지 않다. 또한 아인슈타인은 확고한 결정론자였다. 그는 신의 ‘법칙적 조화‘가 인과관계의 물리적 원리를 엄격하게 고수하면서 우주 전체에 확립된다고 봤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의 철학에는 자유 의지가 들어갈 여지가 없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