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과 비정상의 과학 - 비정상의 시각으로 본 정상의 다른 얼굴
조던 스몰러 지음, 오공훈 옮김 / 시공사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단연 추천할 만한 책이다. 과학의 대중서로서 손색이 없으면서도 그 관점과 통찰력이 남다르다. 게다가 쉽고 재미있기까지 하다.

 

정신 질환을 유용하게 정의 내리는 작업은,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단일하고 '진실한' 경계를 찾고 확인하는 데 달려 있는 것이 아니다. 비록 이 같은 경계선이 사실 어느 수준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더라도, 항상 유용하고 '현실적인' 구별을 만들어내기 위해 경계선으로 구분 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 p71

 

우리가 얘기하는 정상이란 무엇인가. 고혈압이라고 정의되는 140/90을 기준으로 볼 때 정상 범주인 139/90과 비정상 범주인 141/90의 차이는 무엇인가. 그러니까 '정상'을 규정하는 이유는 관리를 위해서가 아닌가. 어느 시점에서 뭔가를 하기 위한 기준 같은 것 말이다.

 

정상과 비정상은 낮과 밤의 관계와 비슷하다. 즉 양쪽 모두, 누구나 서로 다르다고 인지하는 두 가지 상태를 의미심장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상태 사이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분하기란 불가능하다. 정확히 낮은 언제 밤이 되는가? 물론 일몰 때로 하자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몰은 낮과 밤을 구조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시간대이며,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순간이다. 하지만 이는 분명 어느 정도 임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모두는 낮과 밤을 뚜렷이 구분하는 게 의미 있고 현실적이라고 동의한다. - p72

 

그래서, 임의로 나누어 놓기는 했지만 그 경계선의 모호함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고 그걸 어떻다라고 판단하는 것은 어쩌면 판단자의 마음일 수도 있다. 아울러 정상과 비정상에는 나름의 스펙트럼이 있다는 것, 그래서 애매한 부분은 그렇게 딱 잘라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다. 말하자면, 우리가 정상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 가질 수 있는 편견들, 왜곡들, 불편한 시선들은 어쩌면 이러한 모호한 경계와 스펙트럼을 무시한, 매우 무지한 일이 아닐까 싶다.

 

저자는 이 두꺼운 책을 통해서 그런 걸 설명하고자 한다. 생물학과 뇌과학과 심리학 등의 무서운 발전은, 인간이 인간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이제 불확실한 것이 확실해진 사실들이 많아졌고 그래서 어쩌면 그런 것들을 토대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무엇보다 인간이 인간을 제대로 알아봄으로써 좀더 따뜻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토대가 될 수도 있다.

 

수많은 지식과 사례들이 이 책에서 제시되고 있고 다들, 주옥같다. 하나하나 아 이런 발견들이 이루어지고 있구나 무릎을 치게 만든다. 그리고 저자는 마지막에 이렇게 결론을 맺는다.

 

가능한 한 가장 사려깊고 윤리적이며, 개념상으로 일관성 있는 방식으로 카테고리의 타당성을 향상시키려는 게 이 같은 도전의 목적이다. 이는 우리가 긋는 경계선이란 잠정적이며, 향후 새로운 증거를 축적하고 실질적인 우선 사항이 진화하면 얼마든지 경계선을 변경할 수 있다는 열린 자세를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힌다. - p519

 

그러므로 지금의 비정상이 내일의 정상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비정상이라 말하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심리학적으로 뇌과학적으로 치유될 가능성이 크게 열리고 있음도 마찬가지로 받아들여야 하고.

 

정상의 생물학을 이해하기 쉽도록 조망하는 작업은, 우리가 지닌 한계뿐만 아니라 우리가 지닌 재능도 이해하는 시각, 아울러 우리가 지닌 취약성뿐만 아니라 우리가 보유한 회복 탄력성도 이해하는 시각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국 인간의 마음과 뇌가 삶에 어떻게 적응하는 지에 대해 광범위한 내용을 파악한다면, 우리는 자신은 물론 타인에 대해서도 연민과 경이를 품고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 p525

 

내가 이 책을 좋은 책이다, 라고 추천하는 이유가 이 결론에 있다. 사람이 사람을 이해하고 연민으로 바라볼 수 있기 위한 과학의 재발견..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기준에 얽매여서 비정상이라고 생각되는 것들, 혹은 비정상으로 보여지는 것들에 대해 혐오감까지도 가진다. 타인의 고통과 무력함을 이해하려 하기보다, 이것은 이것이고 저것은 저것이다 라는 흑백논리에 의해 타인을 비난하기도 한다... 그런 것들은, 이렇게 세상이 발전해나가는 이 마당에 상당히 바보같은 자세가 아닐까. 치료를 위해,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기준으로 사람을 어느 틀에 꽉 매여놓는다는 자체가 넌센스라고 생각한다.

 

저자인 조던 스몰러의 말처럼, 과학의 발전과 새로운 발견들은 그저 치료와 조치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인간 마음의 너그러운 확장까지도 유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운원 2018-01-12 2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제가 사회복지사2급 시험 과제물 제출을 위하여 자료를 수집 하고 있습니다. 책 내용을 염치 불구 하고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비연 2018-01-12 21:28   좋아요 0 | URL
아.. 과제물에 어떤 형식으로 쓰실 건지 궁금한데요. 그대로 옮기는 게 아니라 그냥 책 내용에 근거하여 참조로 쓰시겠다면 괜챦습니다.

환인 2018-01-12 2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내용만을 사용 하려고 합니다. 고맙습니다. 출처도 사용 좀 하겠습니다. ^^

비연 2018-01-12 22:37   좋아요 0 | URL
아. 위의 분과 같은 분이신가요? 출처까지 넣어주시면 더 좋을 것 같네요.
좋은 보고서 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