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을 코앞에 남겨둔 지금 다른 어느 때보다 나이 듦을 실감한다. 20대를 거쳐 30대의 마지막을 보내는 지금까지도 내가 마흔이 되었을 때를 한 번도 상상해본 적이 없다. 그래서일까. 여전히 마흔이라는 단어가 낯설고 멀게만 느껴진다. 물리적으로 내가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 안의 자아는 영화 박하사탕의 주인공처럼 부르짖는다. 소용없는 짓이라는 걸 뻔이 알면서도 매분 매초를.


몇 해 전이었던 것 같다. <나이 듦의 즐거움>이라는 책을 통해 처음으로 나이 듦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다. 나이를 먹는다는 건 인간이라면 당연한 것이고 거스를 수 없는 불가항력의 법칙과 같은 것이기에 아무런 생각이 없었다. 아니 무감각하다는 것이 더 맞는 표현일 듯하다. 어쩔 수 없는 것이니까. 그런데 그 당연한 것에 대해 달리 생각하고 계신 분이 있었던 거다. 그것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에 반해 긍정적으로 더욱이 즐겁다고 표현까지 해가면서. 궁금했다. 과연 나이 듦에 어떤 즐거움이 있는 것인지.


이 책을 선뜻 읽고자 했던 이유는 단번에 알 수 있듯이 책 제목 덕분이었다. 마치 마흔이 다가오는 나에게 무슨 말을 해주려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기분이 어떠냐 묻는다면 한마디로 이렇게 말하고 싶다. '위로받았다.' 나보다 먼저 마흔이라는 인생을 살아봤고 예기치 않게 찾아온 죽을 고비를 넘겨온 선배로서의 따뜻한 조언에 불안한 마음이 조금은 진정되었다고 해야 될까. 많은 사람들을 카운슬링해온 저자의 능력이 고스란히 발휘된 듯하다.


마흔을 넘어 쉰 그리고.... 우리가 바라는 건 나이 듦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지금보다 나이 들었을 때 어떤 삶을 살고 있을지 불투명한 미래가 불안할 뿐이다. 유복하지는 않더라도 행복하게 살게 될지 궁금할 뿐이다. 적어도 이 책에서 그에 대한 힌트를 찾을 수는 있을 듯하다. 이 한 문장으로 말이다. 


바꿀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눈앞에 있는 바꿀 수 있는 것을 직시한다.

우리가 인생을 불행하게 사는 이유가 딱 여기에 있지 않을까. 집착, 욕심. 그때그때에 맞는 유유자적한 삶이 어쩌면 인간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삶의 모습이 아닐까. 그 이유는 삶의 마지막에 이르게 된 순간 모두 부질없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이렇게 말했다. "죽음은 수만은 악 가운데 가장 두려운 것으로 꼽히지만 사실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살아 있는 한 죽음은 존재하지 않고 죽음이 존재할 때는 이미 우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죽음조차 유한한 인생에 있어 그 의미가 중요하지 않을진대 생전에 누리고자 했던 모든 것들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우리 모두는 각자의 삶의 위치에서 하루를 열심히 살아간다. 그 자체로 위대하다. 비록 그것이 가난한 삶이든, 부유한 삶이든, 빛나는 젊음의 삶이든, 오랜 삶의 경험이 쌓인 나이 듦의 삶이든 말이다. '시작하기에 너무 늦은 때란 없다'라는 말이 그래서 있는 게 아닌가 싶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 후기의 마지막 문장을 나 자신을 위해 주문처럼 외우고자 한다. "나 자신에게 이르노니, 타인이 해낸 것은 나도 반드시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