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관은 1년에 한번 운영위원회를 연다. 지역의 저명(?) 인사를 위촉해 도서관의 주요업무와 현안 사업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 형식적인 행사로 치우칠까봐 나름 도서관에 실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분으로 위촉했다. 교육청에서 도서관 및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장학사, 군청의 도서관, 평생교육 담당 팀장, 인근 초등학교, 중학교 교장선생님, 신문 기자, 지역청소년지원센터장, 문인협회 지부장, 어린이집 원장 등이 위원이다.

 

이번 회의의 주요 안건은 '영유아실 설치 및 현관 리모델링'과 '향토자료코너 설치'이다. 우리도서관은 안타깝게도 영유아실이 없다. 유모차에 태워 온 아기들이 편하게 앉아서 책 읽을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것이다. 어린이실에 작은 의자가 있기는 하지만 5분도 앉아 있기 어려운 아이들에게는 불편한 대상이다. 군수님과 교육장님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만족할 만한 예산을 받아 올해 8,9월에는 공사가 시작된다. 어제 운영위원들은 장기적인 비전으로 규모를 크게 할 것을 주문했다. 전면 통유리로 할 예정이라는 제안에 통유리는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우니 잘 생각하라는 조언과 선진 도서관 견학을 통해 알찬 도서관으로 거듭나길 바란다는 주문도 했다.

 

향토자료코너 설치는 작년 건국대 글로컬캠퍼스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 토론자로 참석하면서 관심을 가졌다. '향토문화콘텐츠와 도서관'이라는 주제로 열렸는데 우리나라 도서관의 향토문화콘텐츠를 살펴보고는 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 콘텐츠는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2013년 일본 나가사키 도서관에 갔을때 사서가 자랑스럽게 보여주던 서고의 보존자료를 보고 깜짝 놀랐다. 수백년전 자료가 비치되어 있고 행사 리플렛, 도서관 안내지까지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는 모습이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 나라의 과거를 보려면 박물관에 가고 현재를 보려면 시장에 가며 미래를 보려면 도서관에 가라'는 말이 있지만, 도서관은 과거, 현재, 미래를 알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

 

나는 도서관내 향토자료코너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공간이 협소해 소량만 비치 가능함을 안타까워 했다. 위원들은 문화의집이나 군청보다는 도서관에서 향토자료를 볼 수 있는게 바람직하다면서 전적으로 나의 의견에 동조했다. 공간 부족은 많은 자료를 비치하기보다는 꼭 필요한 자료를 구비하면 된다는 위로의 말도 한다. 군지, 각 읍.면지, 지역의 향토축제 관련 백서를 비치하라고 제안한다. 기증도서를 받는 방법부터, 자신들의 집에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고마운 분도 있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이 와 닿는다. 혼자의 힘보다는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가 모일때 큰 힘을 발휘한다. 나 혼자만의 생각이 함께 나누면서 실현 가능한 결과로 다가온다. 나비 효과속 나비의 날개짓처럼 작은 움직임이 큰 변화를 가져온다. 어제는 사서라서 행복한, 의미있는 하루였다. 이제 잠시 쉬면서 다음 일을 생각하자. 나는 직장에서는 일할때 비로소 행복해진다.

 

알라딘 박스를 받는 순간부터 설레임은 시작된다!

 

 

 

 

**

 

네이버를 검색하다 읽은 박웅현의 서재에서,

 

인문이란 삶을 대하는 촉수

 

삶을 대하는 촉수라고 생각해요. 저는. 지금 제가 얘기하는 인문은. 그러니까 '평범하기 짝이 없는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속에서 가슴의 울림판의 울림을 가져올 수 있는 사람. 이런 사람들이 인문적인 훈련이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예요. 저는. 그러니까 그런 면에서는 어떤 일을 하건 우리가 살아나가는 데서 인문적인 훈련은 되게 중요하다라는 거죠. 그 인문적인 훈련을 아까 말씀 드린 것처럼 촉수를 만드는 거라고 생각을 하는 거죠. 카잔차키스입니다.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나는 온몸이 촉수인 동물이 되고 싶다'라는 얘기를 했어요. 그러니까 그러면서 하는 말이 단순히 그 시각만이 아니라, 시각, 청각, 후각 다 포함해서 똑같은 멜론을 만져도 이 멜론을 만지는 이 손이 더 민감하고. 뭐 똑같은 와인을 마셔도 그 와인을 소믈리에처럼 더 예민하게 볼 수 있고. 똑같은 바람을 맞아도 이 바람이 축복인지를 알 수 있고. 똑같은 계절의 변화를 겪으면서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는 사람. 이런 사람들이 인문적인 촉수가 있는 사람들이거든요. 그게 생활의 인문적인 태도 같고요.

 

그런 면에서 저는 인문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고 그렇게 본다면 자명하죠. 인문이 왜 중요하냐?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니까 중요한 거죠. 그래서 이게 더 제일 쉬운 예 같은데, 어느 라디오 방송에서 '인문학을 하면 밥이 나옵니까?'라는 짓궂은 질문을 물으셨습니다.' 하며 물었어요. 그래서 제가 했던 답이 뭐냐하면 "인문학을 해서 밥이 나오는 직업도 있고 그렇지 않은 직업도 있다. 근데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인문학을 하면 밥이 맛있어진다."라고 그랬습니다. 그러니까 인문적인 촉수가 생긴 사람들은 똑같은 24시간을 더 풍요롭게 산다는 얘기거든요. 그게 '이 인문의 의미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15-03-27 0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도 정갈하고 잘 정리된 세실의 글을 아침부터 만나니 바쁘게 우왕좌왕 했던 마음이 차분 해지는 듯~~~.땡큐^^
그나저나 인형이 제법 크네??? 보림이 주면 좋아하겠네??(자기를 위해 산 것일 거란 생각을 부정하며;;;;ㅋㅎㅎㅎㅎㅎ)

세실 2015-03-27 09:48   좋아요 0 | URL
늘 힘을 주는 아롬님이 참 좋아요.
어제 늦은 밤 투썸 플레이스에서 `하루 10분 독서의 힘`을 몰입해 읽으며 제 미래를 설계했다요^^
기대하세용^^
저 인형은? 울 도서관 예쁜 이용자 주려고 뒀는데 보림이 줄까요?ㅎㅎ
절 위해 산건? 아 그 생각 못했다. 전 이제 저보다 아이들을 생각하는 나이가 되었어요. ㅜ

페크pek0501 2015-03-27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통유리, 말인데요. 제가 아파트 살아서 아는데 여름에 더운 건 맞지만 (그런데 맞바람 때문에 괜찮아요.)
겨울엔 (남향일 경우) 따뜻하답니다.
저도 유리가 추울 줄 알았는데 겨울에 찜질방처럼 덥더라고요. 햇볕 열이겠지요. 난방 효과 있어요. 참고하시길...

인문학을 하면 밥이 맛있어지는 것, 그걸 저도 잘 아는 1인이어요. 랄라~~ ^^

세실 2015-03-27 16:51   좋아요 0 | URL
여름에 자외선이 좀 걱정되더라구요. 유아들 햇빛에 과도하게 노출될까 하는 우려가 있어요. 두꺼운 암막을 달아야 하나 고민도 해봅니다. 겨울에 찜질방처럼 더운 아파트에 살고 싶어라~~~~ 전 아침, 저녁으로 집에 들어가니 좀 추워요. ㅜ

밥이 맛있어지고, 감성도 살아난다는거~~~~~우리는 잘 알지요^^ 랄라 룰루~~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