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든예술의 영원한 주제는 사랑이다. 사랑을 말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영화는 독특한 방법으로 사랑을 말한다. 정확히 말하면 사랑 그 자체보다는 사랑을 하는 주체에 대한 이야기다. 사랑을 말할 때 보통 사랑의 대상에 대해 말하기 마련인데 이 영화의 관점은 대상보다는 사랑을 하는 주체에 무게가 실려있다. 사랑은 어떻게 시작하는가? 바로 주체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자신이 갖지 못한 것에 대한 갈망으로 사랑의 씨앗은 싹이 튼다. 이 때 대상의 실체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사랑은 타이밍이란 말이 나왔을 것이다. 사라지기로 결심한 여자, 에이미는 닉을 사랑하기로 결심한다. 누군가를 사랑하기로 결심한 후에 주체는 대상을 새로 창조하는 조물주에 가까운 위치로 상승한다. 닉은 원래 게으르고 둔감하고 낭비벽이 있다. 이런 부정적 캐릭터한테, 에이미는 부지런학고 예민하고 고급스런 취향을 입힌다. 즉 닉을 재료로 닉'를 창조한다. 에이미의 손길을 통해 만들어진 닉'는 사랑받기에 충분한 캐릭터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사랑에는 유통기한이 있다. 에이미의 판타지가 깨지는 것 역시 시간 문제다. 닉은 바람을 피우고 불성실한 실체가 되어 현실로 귀환한다. 이제 에이미의 복수극이 시작된다.

 

2.

영화는 에이미의 복수극에서시작하는 스릴러 장르를 택한다. 에이미는 자신의 존재를 현실에서 부재시키기로 결심한다. 환상이 깨져버린 현실은, 에이미한테는 무의미하다. 현실에서 에이미는 더 이상 조물주가 아니다. 에이미는 자신의 부재를 통해 닉을 조각낸다. 환상 속의 이상형을 꺼내 산산히 부수고 현실에서 아내를 죽인 살인범으로 변모시킨다. 어떻게 아내가 남편을 살인 용의자로 몰아가는지가 관전 포인트이기도 하다. 에이미는 남편을 용의자로 만들기 위해 자해도 서슴지않고 과거도 조작(일기 쓰기를 통해)하고 또 부정하려했던 과거도 이용한다. 사라진 에이미의 행방을 찾는 현재의 이야기 속에 에이미의 과거가 플래시백으로 아주 촘촘하게 들어가있다. 현재와 과거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섞이면서 에이미와 닉의 불화의 실체가 완성된다. 또 에이미의 정신세계 역시 구체화된다.

 

닉과 에이미의 불화를 보다보면 에이미는 남편의 외도에 광분한 단순한 사이코패스일까, 하는 의심을 하게 된다. 사실 남편의 외도는 일부일 뿐이다. 에이미는 자신이 만들어낸 결핍 욕망에 너무 매혹당해서 그 결핍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는 것처럼 보인다. 사랑의 완성은 결혼이 아니라 헤어짐이란 말이 있다. 소유하지 못하게 되면서 결핍 상태가 지속된다. 사랑은 바로 이 결핍에서 출발하기에, 에이미는 그 결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실종을 계획했다. 하지만 닉이 에이미가 꿈꾼 환상 속의 인물로 다시 돌아온 거 같은 시점에서 거짓 실종을 끝내고 현실로 돌아온다. 현실 속에 바로 닉이란 환상이 다시 존재하므로. 즉 현실에서 닉은 다시 부재하는 순간에 에이미는 자신의 실종 해프닝을 끝내기로 결심한다.

 

3.

또 하나 내가 흥미롭게 본 것은, 에이미의 실종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러 가지 상황이다. 수사는 물론 증거 위주다. 에이미는  이 증거주의 수사를 영리하게 이용한다. 미리 예측해서 증거를 섬세하게 배치한다. 닉은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다. 과학적 수사 혹은 논리적 추론이란 얼마나 함정에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또 하나는 TV쇼와 사람들의 반응이다. 카메라는 이미지와 말을 통해 진실이 아닌 것을 진실로 믿게 만드는 힘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눈으로 보고 듣는 것에 절대적 신뢰를 보낸다. 사람은 과연 진실을 사랑하나? 나는 점점 회의적이 되어서, 사람한테 진실을 추구하는 속성이 결코 없다는, 결론에 이르기 직전이다. 사람은 믿고 싶은 것을 믿을 뿐이다. 에이미가 자신의 실종을 성공적으로 연출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사람이 믿고 싶은 것을 믿는 비이성적 행위 덕분이다. 에이미가 지닌 악마성은, 그러니까, 우리 모두한테 있다. 그 악마성의 강도가 다를 뿐이다.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대로 연출하는 능력이 어디 에이미만 가지고 있나. 매일 우리는 우리, 무의식 중에 자신을 편집하고 보여주고 싶은 것을 검열하고 있다. 그래서 이 영화가 단순한 싸이코패스 영화가 아니다.

 

4.

데이빗 핀쳐의 영화는 보는 동안에 정신을 후리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보고 나면 텁텁하다. 나쁜 기운에 쭉 빨려들었다가 나와서 정신차려 보니 이건 뭐지, 하는 황망함이 늘 함께 한다. 사악한 기운이기라기에는 음...매우 미국적이다. 사방이 콘크리트 벽인데 창 밖을 내다봤더니 또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인 갑갑한 느낌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