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의 종말 -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
토드 로즈 지음, 정미나 옮김, 이우일 감수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산업혁명 이후 생산성과 효율을 엄청나게 올렸던 표준화, 기준 등에 따라 이루어진 인류문명 (특히 교육에 대해) 에 대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테일러가 표준화라는 개념을 제시한 이 후, 인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효율성을 위해서 평균적인 사람이라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모든 문물이나 설계를 해왔지만, 실상은 그 평균치에 꼭 맞는 사람이 없다는 아이러니를 제시하며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미국여성의 평균적인 신체 치수를 바탕으로 만든 조각상 노르마와 같은 신체를 가진 여성이 없다는 이야기 등은 믿기 어렵지만 이 책의 주장이 얼마나 중요하며 그간 사용되었던 표준이란 개념의 얼마나 취약한 것인 지 알 수 있다.

 인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통계학의 개념의 하나인 에르고딕으로 가정하여, 각 개인에 대한 정보를 평균하여 그 개인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는 대신 여러사람의 정보를 평균하여 표준을 구한 것이 현재까지 인류가 사용한 표준화 방법인데,이러한 가정은 옳지않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테일러의 표준화 개념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므로 무조건 부정할 것만 것이 아닌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든 예와 같이 전투기의 조종석 설계 같은 복잡하고 한계에 접하는 분야에서는 평균 신체에 맞춘 설계를 하는 것보다 각자의 신체에 맞출 수 있는 설계를 하는 것이 복잡하고 한계적인 상황에서 훨씬 유리할 것이다.

이 책에서 평균의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분야의 예를 든 것이 바로 교육이다. 교육은 위에서 언급한 전투기 조정보다 더 복잡한 프로세스이지만 아직까지 평균, 표준에 맞춰져 있고 각 개인의 소질이나 적성에 대한 배려가 많지 않다. 이 책의 저자인 토드 로즈 역시 평균에 맞춰 설계된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여 지진아 취급을 받았지만 스스로 자신에 맞는 학습을 하면서 능력을 발휘하여 하버드 대학교수의 위치까지 올랐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균에 맞춘 교육 대신 각 개인에 맞춘 교육 방법을 주장하고 있다.

앞서 기존 교육이나 문물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책이라 했지만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자면 동양철학의 노자의 생각이 이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고, 각 개인을 존중하고 배려한다는 의미에서 진보(보수와 비교되는)라고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