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절반, ‘6·25 터진 해’ 몰라





 
本紙·한국갤럽 조사… 30代는 37%가 몰라

20대의 절반 이상(53.2%)은 6·25전쟁이 몇 년도에 일어났는지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와 한국갤럽이 6·25전쟁 57주년을 맞아 전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전후(戰後)세대(20~40대)에게 ‘6·25전쟁이 언제 발발했는지 알고 있는가’란 질문을 던진 결과, ‘1950년’이란 정확한 응답은 61.8%였고 38.2%는 ‘모른다’고 대답했거나 연도를 잘못 답했다.

‘6·25전쟁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는 ‘북한의 불법 남침’이라는 대답이 52.3%로 가장 많았다. 이는 2002년 갤럽조사(31.2%)보다 무려 21.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대학생들의 경우 2002년 조사에서는 17.7%가 6·25를 북한의 남침이라고 대답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41.7%로 2배 이상 상승했다.

북한의 전쟁 도발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2002년에는 ‘있다’는 응답이 32.8%에 그쳤으나 이번 조사에서 51.2%로 높아졌고, ‘없다’는 응답은 2002년 57.9%에서 이번에 45%로 줄어들어 한반도 내 전쟁 발발 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외국에 있을 때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다면 귀국하겠는가’란 질문에는 ‘귀국하겠다’(48.7%)와 ‘귀국하지 않겠다’(45%)는 응답률이 비슷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대(對)북한 정책에 대해선 ‘잘해왔다’(17.8%)에 비해 ‘잘해오지 못했다’(54.7%)가 훨씬 높았고 ‘보통이다’ 18.7%, ‘모름·무응답’ 8.8% 등이었다.

지난 23일 전화로 실시한 이 조사의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최원석 기자 yuwhan29@chosun.com]




[홍영림 기자 ylhong@chosun.com]
 
 
 
* 한국전쟁이 아니라 '6.25'라는 것 자체가 그 급작스러움 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근데 정말 역사에 대해 무지하게 만듬, 또는 역사에 무지해진다는 것은, 위험한 일 같아요..
우리 학문하는 목적 중 하나는 결국, '역사'를 재구하고 그 기억을 유통시키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호인 2007-06-25 1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곧 회갑을 맞을 나이가 되어 가는군요, 우리 세대까지만 알지 않을 까 해요.

파란여우 2007-06-25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지가 부끄러운것이 아니라 무지에 안주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지요.
위험함은 무지를 무지로 인식하지 못한다는데서 비롯되는 듯.^^

기인 2007-06-25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호인님/ 네.. 왜 역사가 중요한지, 친구들과 소통해야 할텐데요...
파란여우님/ 넵 :)
 

“seminar network 새움” 기획 강연 1




 하종강, 노동운동의 희망을 이야기 하다.




 한국 사회에서 노동자들이 어떤 처지에 있으며, 이러한 처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왜 노동운동이 되어야만 하는지에 공감하고, 자연스럽게 적대적으로 변해가는 일반인들의 노동운동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가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강사 소개 : 한울노동문제연구소장, 한겨레 객원 논설위원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철들지 않는다는 것> 의 저자

일시 : 7월 5일 (목) 오후 7시

장소 : 2호선 신촌역 1번 출구 새움 세미나실

        (신촌역 1번출구->KFC에서 우회전->신보건약국 골목->이박사 칼국수 건물 3층)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가비는 없습니다.


주최 : seminar network 새움 http://club.cyworld.com/seumnet

문의: 011-9270-6751


댓글(0) 먼댓글(19)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Blaupunkt radio security code software
    from Blaupunkt radio phone 2007-06-24 23:39 
    Blaupunkt radio phone
  2. Nylon feet forums
    from Nylon feet free galleries 2007-06-25 00:35 
    Nylon fabric butterfly
  3. Business decision memorandum
    from Business decision processes and strategic planning 2007-06-25 02:27 
    Business data communications
  4. Buy gold jesus piece earrings
    from Buy gold silver coins 2007-06-25 09:30 
    Buy gold diamond jewelry
  5. Smart parts paintball videos
    from Smart parts sp8 paintball marker review 2007-06-25 09:42 
    Smart parts paintball logos
  6. The firm exercise reviews
    from The firm videos 2007-06-25 10:06 
    The firm entertainment
  7. Bloom hotel temple bar dublin
    from Bloom in ocean 2007-06-25 12:06 
    Bloom harold
  8. Blue spotted salamanders weight in grams
    from Blue spotted salamanders weight in grams 2007-06-25 13:08 
    Blue sports netting
  9. Sonic bloom soybeans
    from Sonic chao land 2007-06-25 13:25 
    Sonic bloom soybeans
  10. Canon zr500 mini
    from Canon zr600 digital camcorder batteries 2007-06-25 15:42 
    Canon zr500 coupons
  11. Capital region otb
    from Capital reefs 2007-06-25 18:08 
    Capital records movie soundtracks
  12. Anthony robinson suny
    from Anthony roberson florida 2007-06-25 22:18 
    Anthony roberson florida
  13. Suicide astral body kundalini
    from Suicide blonde video inxs 2007-06-25 23:17 
    Suicide antifreeze
  14. Anuska celulite
    from Anusol hydrocortisone anti itch ointment 2007-06-25 23:26 
    Anuska celulite
  15. Supercharger for harley davidson
    from Supercharger for harley davidson 2007-06-26 00:17 
    Supercharged pro street cars
  16. Can i find a map of georgia
    from Can i find a list of hispanic surnames 2007-06-26 06:16 
    papers in arkansas
  17. Boca rattan furniture dealers
    from Boca raton restaurants crabby jacks 2007-06-26 08:43 
    Boca raton condos new construction
  18. Boiler roof installation
    from Boiler room brew pub restaurant maine 2007-06-26 09:55 
    Boiler plate in judicial decisions
  19. Briana riley video
    from Briana needs 2007-08-21 12:54 
 
 
 


범민련 시각, KKK단과 무엇이 다른가

"우리는 오래전부터 이주노동자, 동성애자와 함께 살아왔다"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이하 ‘범민련’) 조직위원회는 자신들의 기관지 <민족의 진로>에 「실용주의의 해악에 대하여」라는 글을 게재했다. 그런데 그 글에 좀 이상한 게 있다.


“이남사회에는 갈수록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외국인노동자 문제, 국제결혼, 영어만능적 사고의 팽배, 동성애와 트랜스젠더, 유학과 이민자의 급증, 극단적 이기주의의 만연, 종교의 포화상태, 외래자본의 예속성 심화, 서구문화의 침투 등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들은 유심히 살펴보면 90년대를 기점으로 우리사회에 신자유주의 개방화, 세계의 일체화와 구호가 밀고 들어오던 시점부터 이러한 문제들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유형은 달라도 결국은 이남사회가 민족성을 견지하지 못하고 민족문화전통을 홀대하며, 자주적이고 민주적이지 못한 상태에서 외래적으로 침습해오고 그것이 또한 확대재생산되는 구조 속에서 이 문제들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위 글에서 범민련은 세 가지를 말하고 있다. 첫째, 외국인노동자나 동성애의 증가는 ‘극단적 이기주의의 만연’이나 ‘외래자본에 대한 예속성 심화(범민련 인용문에 한글맞춤법에 맞지 않는 비문이 많아 뜻이 통하게 고친다)’와 같은 범주로 묶을 수 있는 부정적 현상이다. 둘째, 이런 현상은 신자유주의가 본격화된 1990년대부터 나타났다. 셋째, 이 현상의 원인과 본질은 민족성과 민족문화 전통을 홀대한 것이다.


그렇다면 신자유주의가 들어오기 전의 우리 민족 문화에는 외국인노동자(이주민)나 동성애가 없었을까?


삼국을 통일한 신라 문무왕 능비(陵碑)는 그의 조상이 흉노라고 적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네 번째 큰 성씨인 경주 김씨는 한반도 원주민이 아니라, 남하한 이주 정복민의 후예이고, 그들의 먼 친척은 중국 감숙성이나 헝가리에 살고 있는 셈이다.


현재의 한반도 국가와 비슷한 면모를 보이기 시작한 고려의 『고려사』에는 한족(漢族), 여진족, 몽골인, 일본인 등 238,225명의 귀화인이 기록돼 있다(박옥걸, 「고려시대 귀화인 연구」, 1996). 사서에 기록되지 않은 귀화인이 훨씬 많았을 것이라는 점과 당시의 인구가 200만~300만이었음을 감안하면 고려의 다민족성은 현재보다 컸으면 컸지 작지는 않다.


정복민이든 귀화인이든 우리 역사에는 이주민의 유입이 끊인 적이 없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성씨의 46%가 귀화 성씨이고(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2007), 범민련 10기 의장단 이름만 살펴보아도 중국계 귀화 성씨가 눈에 띈다.


북한 학계가 주장하는 대동강 5대 문명설이나 한반도 독자 인류 발생 진화설을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할지라도, 역사 기록은 다양한 이주 혈통과 문화가 ‘한민족’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범민련의 외국인노동자 질시는 북미에 조금 먼저 들어갔다는 명분으로 흑인을 몰아내려 하는 KKK단의 관점과 비슷하다.


우리 역사는 신라 혜공왕, 고려 목종과 공민왕, 조선 세종의 며느리가 동성애자였다고 전한다. 화랑이 동성애를 했다 하여 부끄러이 여긴 것은 『성호사설』 같은 조선 후기 유교에 이르러서였는데, 지배계급이 동성애를 배타시하는 상황에서도 사당패와 같은 민초들 사이에서는 그러한 풍속이 계속 유지되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조선시대에조차도 유럽 기독교 문화에서와 같이 극악한 동성애 탄압은 없었다는 점이다.


문화의 변천에 따라 동성애가 늘거나 줄기도 하지만, 어떠한 인류 사회에서든 유전적 남성의 4%, 유전적 여성의 2%는 완전한 동성애자로 태어난다. 인간 노동력에 의존하는 유목사회나 농경사회가 동성애를 달가워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만한 규모의 인간 집단을 배격하거나 격리하지 않았던 것도 분명하다. 동성애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는 기독교나 파시즘 같은 획일주의에 의해 나타났다.


동성애나 양성애를 인정한다는 것은 그런 지향을 가졌다거나 그걸 권장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빨간색이나 파란색을 좋아한다고 남들에게 같은 색을 좋아하도록 강요하거나 다른 색 좋아하는 사람들을 못살게 굴지 않는 것과 같은 말일 뿐이다.


이렇게 살펴보다 보니 범민련이야말로 우리 민족사를 너무도 모르는 것 같다. 범민련 조직위원회 글의 필자는 “우리는 반만년 한민족”이라는 초등학교 교과서나 “외래사상에 물들지 않은 민족전사”라는 문구는 달달 외웠지만, 우리 민족이 실제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별로 공부하지 않은 것 같다. 일탈이나 특이라는 뜻에서 보자면 외국인노동자와 동성애를 이상하게 여기는 범민련의 견해야 말로 민족사적 변태다.


▲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당은 ‘열등민족’과 사회주의자와 장애인과 동성애자를 박멸하려 했다.


댓글(0) 먼댓글(19)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Roll back car hauling trailers
    from Roll back car hauling trailers 2007-06-24 23:51 
    Roling stones lyrics
  2. Online quiz career assessments
    from Online quiz by former jeopardy winner 2007-06-25 04:11 
    Online pulmonary artery catheter
  3. Smart parts paintball logos
    from Smart parts paintball logos 2007-06-25 09:42 
    Smart parts paintball logos
  4. Buy nokia 3220 phone only
    from Buy nokia 7610 uk 2007-06-25 10:42 
    Buy no prescription condylox
  5. Smartdisk corporation
    from Smartdisk 40 gb flashtrax 2007-06-25 11:02 
    Smartbridge total
  6. Sofia map
    from Sofia map download 2007-06-25 12:16 
    Sofia coppola pregnant
  7. Timex watches with extra long watchband
    from Timex t309t alarm clock radio with nature sounds 2007-06-25 12:40 
    Timex social club mp3
  8. Tom lehman college team
    from Tom lennon 2007-06-25 13:48 
    Tom lehman college team
  9. Toronto laser hair removal prices
    from Toronto kijiji 2007-06-25 15:07 
    Toronto international home show
  10. Spells to control fertility
    from Spells for luck 2007-06-25 15:52 
    Spells for luck
  11. Treatment for cirrhosis
    from Treatment for cholesterol 2007-06-25 17:27 
    Treatment for chin splints
  12. Trudeau stainless steel pepper mill and salt shaker
    from Trudeau milk frother instructions 2007-06-25 18:44 
    Trudeau electric fondue
  13. Brick movie atlanta show times levitt
    from Brick masonry tuck pointing how to 2007-06-25 19:14 
    Brick mason schools in seattle wa
  14. Ann sack tile and stone
    from Ann sacks nottingham tile 2007-06-25 21:14 
    Ann sack tile and stone
  15. Car crash trailer
    from Car crashes ford crown victoria 2007-06-25 21:45 
    Car crash test results safety airbags
  16. British world cup soccor
    from British words expressions 2007-06-25 22:50 
    British wool blend carpets
  17. The best free wallpapers
    from The best free underground people search 2007-06-26 08:11 
    The best free stock
  18. Assisted suicide photos
    from Assisted suicide information 2007-06-26 09:13 
    Assisted suicide information
  19. Brianhead epic 2006
    from Brianhead epic 2006 2007-08-21 12:54 
 
 
 

변정필 기자 bipana@jinbo.net
우리에게 중국은 무엇인가? 중국의 노동자들은 우리에게 누구일까?

사실, 이 문제는 답하기 쉽지 않다. 특히, 자본이 고용을 무기로 공장이전 협박을 하면서, 노동자들에게 ‘중국 노동자의 존재’는 고용을 앗아가는 위협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래서 중국의 노동자들을 연대의 대상보다는 경쟁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팽배해 보인다.

지난 몇 년간 중국의 노동문제에 집중해왔던 마틴 하트 랜스버그 경제학 교수는 민중언론 참세상과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중국 자본 축적과정을 살펴본 결과, 중국 경제성장은 초국적 자본의 동북아 생산 시스템 및 자본축적의 변화로 인한 것이며, 그 결과 중국을 정점으로 동아시아 각 국의 경제가 더욱 미국 의존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또, 중국의 엄청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늘어난 것은 비정규직 일자리일 뿐이며, 제조업 정규직의 일자리 증가는 지난 15년간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

더욱 중요하게 마틴 하트 랜스버그 교수가 주목하는 점은 중국 경제가 수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초국적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 이 과정에서 노동에 대한 통제력을 중국정부가 상실했다는 점이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이다.

 
그 동안 중국 문제에 대해서 집중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 중국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문제는 무엇인가?

내가 중국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세 가지 이다.

하나는 중국이 너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세계에 끼치는 영향이 대단히 커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진보 세력사이에서 중국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등장하면서 혼란해 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시장사회주의인가, 새로운 모델인가, 중국이 베네수엘라나 쿠바를 돕고 있고, 미국은 중국을 공격하고 있는데 우리는 중국을 지지해야 하는가’ 등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는 미국에 있는 노동자들이 중국의 노동자들을 위협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일자리를 가져간다는 것이다. 아마 한국의 노동자들도 비슷한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 이런 것들이 내가 중국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들이다.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중국과의 거래로 미국 의존도가 낮아진다는 건 오산
"동아시아 경제는 미국에 더 의존적이 돼"

나의 결론은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가 아닌 자본주의 국가라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국을 자본주의 국가로 보고 있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런 것 같지는 않다.

더 중요하게는 중국의 경제 다국적 기업 투자가들에 의해서 변화를 겪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건 중국만이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일환이다.

모든 동아시아 국가들은 더욱 국제화되고 있고, 수출과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수출입의 증가는 주로 부속품 거래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이 부속품들은 다국적 기업의 생산 영역 안에서 다국적 기업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점점 더 많은 부품들을 거래하고 있지만, 중국만이 수출 완제품을 엄청나게 생산하고 있다.

한국, 대만,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은 서로 간에 그리고 중국과의 무역거래를 점점 더 늘려가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전체 동아시아 지역이 중국으로 정점으로 함께 묶이게 된다.

내가 알고 있는 일부 한국의 학자들도 ‘이제 한국이 미국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았다. 그들은 중국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중국에 많이 수출하게 되면 한국 경제가 더 안정적이고 독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건 잘못된 생각이다.

대부분 중국에 팔려나가는 것들은 부속품들이고, 이것들은 완제품으로 만들어져 미국으로 수출되기 때문이다. 통계를 보면, 지역 전체적으로 지역 내로 수출되는 완제품이 예전에는 70퍼센트였지만, 현재는 30퍼센트 밖에 되지 않는다. 70퍼센트가 지역 밖으로 수출된다는 이야기다. 즉, 이 지역이 미국 시장과 더 관계가 깊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미국 시장이 성장하지 않게 되면 이 지역 또한 더 불안정해질 것이다.

두 번째 흥미로운 점은 동아시아 생산이 부속품과 부품에 집중되고, 중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서, 다른 국가들이 초국적 기업을 계속 유치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노동조건에 맞추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15년간 일자리증가 겨우 170만개
늘어난 일자리는 대부분 ‘비정규직'

한국 기업들이 나는 중국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위협한다. 비슷한 일이 일본과 말레이시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경제성장이 급격히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중국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ILO와 IMF가 노동시장 연구조사를 했는데, 중국에서 지난 15년간 정규직 일자리 증가는 170만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건 중국 제조업 노동자들의 절대다수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 도시 일자리 증가 대부분이 비정규직 일자리다. 즉, 중국 국영 기업의 일자리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건 6천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의미이다. 3천만 개의 일자리가 민간 기업에서 발생했고, 중소 규모의 기업들에서 3천만 개가 증가했다. 증가한 8천만 개의 비정규직 일자리를 빼면 일자리 증가가 0이라고 보고 있다. 동일한 문제, 즉 제조업 일자리의 감소가 필리핀, 한국, 인도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중국 연구를 통해서 알게 된 것은 자본 축적이 진행되고 있는 중국에서 조차 일자리 증가가 없으며, 비정규직이 늘어나고, 노동시장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구적 자본주의 축적 시스템이 초국적 미국 기업, 초국적 일본 기업 , 초국적 한국 기업에게는 이익이 되지만, 노동자들에게는 똑 같이 고통을 주고 있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중국대 미국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 자본운동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한 국가의 문제, 또는 한 국가의 경쟁력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자본주의가 노동자들의 편이 아니고, 자유무역, 사유화, 비정규직 모든 문제가 엮여 있다는 사실을 노동자들이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 중국에서 노동자들의 투쟁이 꽤 격렬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중국 노동운동에 어떤 변화들이 있는가?

"중국정부는 노동자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노조지도부도 등장

 
그렇다. 중국에서는 이미 많은 곳에서 노동조합 건설 등 노동자들의 투쟁이 진행되고 있다. 중국의 경제는 이미 수출지향적인 모델이다. 정부가 다국적 기업들이 떠나지 않도록 하면서, 오히려 노동자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중국에서 흥미로운 것은 중국 정부 노동자들이 지방에서 이주해온 이주노동자들의 관계도 좋지 않다는 것이다.서로 일자리를 놓고 갈등이 있다.

중화전국총공회(ACFTU) 밖에서 투쟁하고 있는 노동자들이 있다. 이 노조들은 민주적으로 지도부를 선출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중화전국총공회에 그리 익숙한 상황은 아니다. 이런 노조들이 민주적으로 지도부를 선출해 노총에 가입을 하려고 하면서 많은 혼란이 있다.

중요한 것은 중국 밖에 있는 사람들이 자본주의의 비판적 상을 제시하고 중국에 있는 사람들이 공동의 전망을 밝히도록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무엇을 위해서 싸워야 하는가? 사유화, 중국 국가, 사회주의는 뭔지 등에 대해서 중국 노동자들이 전망을 가질 수 있도록 관계를 맺고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 비교를 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하지만, 최근 남미에서 대안으로 추진되고 있는 ALBA(미주대륙 볼리바르 대안)에서 동아시아 지역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ALBA는 자유무역이 아닌 협력
“동아시아 지역도 교훈 얻을 수 있을 것”

 
ALBA는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연구하고 있다. ALBA는 상호보완적 협약이지 자유무역이 아니다. 각각의 국가는 국가적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강점을 유지해주면서 공동의 힘을 모으는 것이다. 베네수엘라는 에너지 기술이 있고, 쿠바는 의료가 있고, 서로 협력하는 것이다.

생각은 매우 훌륭하다. 문제가 되는 것은 메커니즘이다.

최근 남미은행 논의가 있다. 세계은행의 외채를 갚고, 세계은행의 돈을 빌리고 사유화를 하고 예산 삭감할 필요 없이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지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건설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지역마다 특수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남미에서 일어나는 실험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대단히 좋다고 생각한다.

 
남미와 동남아시아의 상황이 다르지 않는가?

"한국 민중운동에는 국가 경제를 통제할 수 있는 힘 있어"
"한국의 역사적 경험, 민중의 역사로 재 주장해야"

 
한국은 매우 빨리 성장했다. 한국 경제가 성장한 것은 자유로운 시장경제 때문이 아니라 국가의 통제 때문이었다.

군사 독재를 옹호하자는 것은 아니다. 그 당시 노동자들이 얼마나 많은 고통을 받았는지는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 경험을 통해 ‘박정희식’ 또는 ‘신자유주의’가 아닌 민중들이 경제활동을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생각한다. 민중의 이익을 위한 국가 경제 통제를 주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운동은 이런 역사를 엘리트들이 왜곡시키는 것이 아니라, 민중의 역사로 재 주장해 내면서, 민중의 이익을 위해 국내 투자를 규제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 내 노동운동으로 이야기를 돌려보자. 최근 미국 내 거대노총인 AFL-CIO에서 ‘변화를 위한 혁신(Change to Win)’이 갈라져 나오는 등 변화가 있는 것 같다. 한국에서는 변화를 위한 혁신 쪽이 더 급진적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미국 노동자들은 수세적”
이주, 자유무역 문제에 대해 미국 노동자들도 혼란

 
미국의 노동자들은 매우 수세적이다.

큰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그러나 미국의 노동운동의 변화는 그리 극적이진 않다. 다만 노동조합이 조직화에 예전보다 훨씬 더 열을 올리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이주민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5월 1일 노동절을 통해 이주민들은 스스로를 노동자로 선택했다. AF-CIO도 각 지역지부에 노동자 센터를 만들고 이주노동자들을 조직하고 있다. 미국의 노동운동이 이주노동자들과 에너지를 나누고, 이주 노동자들을 시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투쟁을 함께 하기 시작한 점은 높이 평가하고 있다.

‘변화를 위한 혁신’에 참가하고 있는 서비스 노조(SEIU)는 최근 매우 안타깝게도 게스트 워크 프로그램을 지지했다. 그러나 이주민들은 이 정책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 이주민들을 조직하고자 하는 것은 긍정적 신호지만, 안타까운 점도 있다.

이주 노동뿐만 아니라 무역 이슈에 대해서도 미국 노동자들은 매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많은 미국 노동자들은 중국 노동자들을 위협적인 존재하고 생각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실험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의 노동자들은 서서히 멕시코 노동자들이 경쟁자가 아닌 연대의 대상으로 인식을 바꾸어 가고 있다. 멕시코 노동조합이 와서 멕시코 이주민들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하고, 미국 노조들은 멕시코 노동조합의 재정을 지원하는 등의 활동하고 있다. 양국간 노동자들의 연대도 강화되고 있다.

 
최근 한미FTA 투쟁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미FTA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한미FTA 뿐만 아니라 일본과 EU를 반대하는 목소리 나와야"
“노동자들이 국가주의에 물드는 것은 위험”

 
나는 한미FTA를 반대한다. 그러나 한국의 운동을 보면 대부분 FTA반대 투쟁들이 단지 미국에 대한 비판으로 집중되어 있다. 일본, EU 등과의 자유무역을 비판하는 목소리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본주의 시스템 아래서 FTA를 이해하는 것이다. 한국 기업이 중국으로 가는 것, 사유화, 비정규직화 등과 함께 자유무역은 자본주의 축적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자본 운동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한미FTA 비판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내 자본이던 외국 자본이던 자본은 이 협정으로 이익을 얻을 것이고, 미국의 노동자들과 한국의 노동자들은 모두 잃게 된다. 노동자들이 국가주의에 물드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두 국가 노동자들의 연대가 필요하다.

마틴 하트 랜스버그는 미국 루이스 앤 클락 대학 경제학 교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수빈 기자 
“참세상 조수빈입니다. 그간 블로그에 쓰신 ‘육아일기’로 책 내신다해서요. 인터뷰를 했으면 합니다. 이번 주 안이면 좋겠는데...”
“음..... 제가 한 시간 있다가 다시 연락드려도 되겠어요?”
“예, 그러시죠”

하필 점심시간도 가까워오고 해서 “2시쯤 내가(기자가) 다시 연락하겠다” 하고 끊고 났더니, 강상구에게서 약속한 시간에 못 미친 1시쯤 연락이 왔다. 이야기즉슨 “오늘 저녁 6시에 자기 집에서 인터뷰를 하자”는 것. 준비치 못한 채 온 연락인데다 당장 인터뷰를 잡자는 요청까지 겹쳤지만 외마디 ‘윽’ 소리도 못하고서 전화를 끊었더니 가슴에 응어리가 남은 듯 한참 후에야 ‘집에서?’, ‘오늘?’ 이라는 억울함(?)이 몰려왔다 이후 생각해보니 그 요청에 당연한 듯 담담하게 대답하고 끊은 것이 얼마나 다행이었던지, 인터뷰를 끝내고 돌아가는 길에 한참 가슴을 쓸어내렸던 기억이 풋풋하다.

다시 돌아와서, 사실 ‘당장 보자’는 것보다 걱정스러운 것은 ‘집에서 보자’는 것이었다. 그 심심한 걱정이라는 것은 기자로서 라기 보다 인간적인 면모(?)에서 드러나는 것 이었다. 갑작스런 초여름 날씨 축축한 땀이 싫어 신고 나온 슬리퍼형 신발 속에 꼭꼭 매어진 ‘맨발’이 문제였다. ‘윽 맨발이라니...’ 내려다본 맨발이 그날따라 어찌나 꼬질꼬질해 보이던지, 센스 있게 매니큐어라도 칠할 걸 하는 뒤늦은 후회를 뒤로 하며 가기 전에 ‘발이라도 닦고 가야겠다’는 마음을 먹었더랬다.

집에 들어서자마자 강상구와 미루 사진이 보인다.

사적 공동체를 자신의 배경으로 삼는 남성에 대한 낯설음이..

대방역 공군회관 앞, 강상구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 시간이 5시20분, 6시에서 약속시간을 30분 당겼던 터 이른 시간은 아니었다. 도보로 15분 거리의 아파트라고 안내한 강상구는 “걸어오는 길이 생각보다 기니 산책한다 생각하고 천천히 걸어오란”다. 습관적으로 적당한 시간을 벌기 위한 멘트라고 생각했다.

전화를 끊고 나서 남모르는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걷는 길이 강상구 말대로 생각보다 괜찮기도 했지만, 사적 공간으로의 진입이 수월치 않은 공적 관계를 맺어온 경험으로 봤을 때, ‘남성’이 자신의 사적영역을 공적영역으로 끌어들이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기 때문이다. 적어도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2년의 사회경험으로 봤을 때, 가부장제를 비판하던 그들이 집 안으로 들어가서는 잔존된 가부장성을 드러내거나(가정 자체의 가부장성은 차치하고라도) 회의석상에서의 소통을 전부로 아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보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적감정(오히려 더 정치적인)을 은폐하기 바쁘거나, 사적영역에 대한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물론 공사분리를 부정하지 않지만.

그러나 이 남자, 겁도 없이(?) 너무도 선뜻 사적 공동체를 자신의 배경으로 삼겠다고 나선 것이다. 갑자기 ‘맨발’을 보여주기 싫었던 심리도 습관적으로 몸에 밴 사적영역에 대한 일종의 거부반응은 아니었을까 하는 쓸데없는 생각이 겹쳤다.

강상구는 할 이야기가 아주 많아 보였다!

‘J아파트 1402호’, 버스를 갈아타면서 정신없이 들었던 주소를 더듬어 기억에 가장 근접한 호수를 떠올렸지만 확신이 서지 않았다. 그러나 14층 엘리베이터를 내려서 안도에 웃음이 번졌다. ‘아기가 자고 있어요. 벨을 누르지 마시고 꼭 문을 두드려주세요’라고 문 앞에 붙여진 종이가 가장 먼저 기자를 반겼던 것. ‘문을’과 ‘두드려주세요’ 사이에 첨부표시로 붙여진 ‘살짝’이라는 단어가 다소 부담스러웠지만 문 안쪽으로 인기척은 충분히 전달되면서 아이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조절에 공을 들였다.

“들어오세요” 문 안쪽에서 들려온 것은 맞는데, 강상구가 아니었기에 다시 한번 문을 두들겼는데 또 그 목소리, 문을 열고 들어가니 주현숙이다.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강상구 역시 “어서오세요”라고 반긴다. 그는 목욕탕에서 17개월 된 아들, 미루와 씨름 중이었다. 등만 보인 채 강상구는 “누가 왔어? 왜 궁금해?”라며 미루와의 대화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처음 보았을 때 강상구는 미루를 씻기느라 욕실에 있었다. 미루는 낯선 사람의 등장에 관심을 보였다.

그 이후로도 강상구는 사실상 인터뷰를 하지 못했다. 그리고 기자 또한 제대로 질문을 던지지 못했다. 강상구는 주어진 1시간 동안 미루 옷을 입히고, 잠시 놀아주고, 밥 먹이는 데 소요했고, 기자는 처음 보는 노트북을 거칠게 만지려는 미루의 손을 조심히 밀어내느라 애를 먹어야 했지만, 대체로 강상구는 할 이야기가 아주 많아 보였다. 심지어 강상구는 저녁밥이 부족해 햇반을 사온다면서도 주현숙를 대타로 세워놓는 치밀함도 보였다.

“여성이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것은 인권침해”

강상구는 질문을 던지지 않아도 알아서 말을 이어갔는데, 그의 말은 호소력이 짙고 하소연(?)에 가까웠다. 그는 최근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며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자신의 상황을 설명했다. 그런 그에게 “편집위원 중에 자고 일어나면 아이가 죽어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육아 스트레스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고 이해한다는 제스처를 보였더니 그는 사회가 모성을 강요하며 책임지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강상구가 “극단적인 생각하다가 (여성이 자신의 아이를) 한 달에 한 명 꼴로 진짜 죽인다는고 한다. 인터넷 검색하다보면 애가 너무 많이 울어서 버렸다, 던졌다, 목을 졸랐다는 등의 사례 본다. 나 역시 애기 던져버리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사회가 방치하는 것”이라고 말하자 주현숙이 “아이를 보는 시간이 늑대의 시간에 가깝다”고 거든다.

“애 키우는 게 이렇게 힘든지 몰랐어요. 세상에서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며 힘든 것이 은폐되어 있는 일이죠. 애 이쁘니깐 뭐 이런 감정에 넘어가서 또 낳는데, 절대 둘째는 없어요. 절대 안 낳을거예요. 다른 사람들은 힘들게 키웠던 것 잊고 애 커가는 거 보면서 이뻐서 또 낳는다고 하는데, 저희는 블로그 글 써놓은 것도 있고 글 보면서 둘째는 절대 낳지 않을 겁니다”

강상구는 미루 밥 먹이는 일을 육아의 어려운 3가지 중 한 가지로 꼽았다. 보기에도 만만치 않아 보였다.

강상구는 육아노동에 대해 끊임없이 몸으로 말로 설명했다. 맘 먹고 오해할라 치면 6월 출간하게 될 강상구의 육아일기는 ‘절대 애를 낳지 마시오’라는 이야기로 오인 받기 적당해보였다. 그러나 사실 그의 책은 사적영역으로 몰아져 여성에게만 전가된 ‘육아’의 사회화를 고민하는 내용에 더 가깝다.

강상구는 “여자 혼자 키우는 것은 인권침해”라며 “전국의 가정집에 갇혀서 신음하고 있는 엄마들이 자기애들을 다 맡길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되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육아 전에는 머리로 이해하던 것을 이제는 가슴으로 흥분한다”

육아를 경험한 남성에게서 기대되는 것은 여성주의에 대한 고민이다. 강상구에게서도 그러한 고민이 엿보인다. 사온 햇반을 기자의 얼굴에 들이밀며 “엄마의 정성으로 만든”이라는 광고가 맘에 들지 않는다고 투덜대거나 어떻게 기회를 만든 “외식자리에서 다른 테이블에 한 여성이 혼자 밥도 못 먹고 아이 밥 먹이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화가 치민다”는 그의 말에서 그 흔적을 읽을 수 있다. 강상구는 일상에서 은폐되어 있는 폭력을 하나씩 발견하고 있는 중이었다.

“여성문제에 있어서 전투적이 되었다. 노골적이다. 앞으로 당에 가서는 싸울 것이다. 어떤 남자가 나보다 더 많이 알겠는가. 저에게는 블로그는 기록과 기억의 의미가 동시에 있다. 사람들과 싸울 계기를 만들어주는 것과 함께 그 시간을 기억을 할 수 있다. 눈이 날카로워졌다”

이런 강상구에 대해 주현숙은 “(여성문제에 있어)육아 전에는 머리로 이해하던 것을 이제는 가슴으로 흥분한다”고 말했다.

“이 문제에 관한 한 운동권을 신뢰하지 않는다”라는 고백

육아는 휴직 여부와 관계없지만, 6월 1일부터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귀하는 강상구는 육아를 운동으로 확대하는 중이다. 책출판도 그런 의미이지만, 육아휴직 전에 자신이 일하고 있던 민주노동당 안에서도 논란이 많았던 만큼 이후 가사분담을 위한 6시간 칼퇴근 쟁취투쟁과 함께 여성주의에 대한 고민도 가져갈 각오를 보였다.

인터뷰 내내 미루는 노트북에 관심을 보였다. 강상구는 미루의 시선을 노래가 나오는 장난감으로 끌기 위해 애썼다.

“민주노동당이라면 진보적 성향이 강하다고 하는데, 똑같다. 이 문제(여성주의)에 관한 한 운동권을 신뢰하지 않는다. 좌파와 민족주의자 모두 똑같다. 민족주의자는 원래 무개념이고, 이들은 심지어 애기엄마 만나서 설득하겠다고도 했다. 좌파도 똑같다. 당외부라고 다르지 않다. 당 밖에 사회단체에도 운영위원으로 있는데 그 단체에서도 일 많이 할 수 있겠다는 반응이었다. 제도적으로 할 수 있고 막지는 못할 뿐이었다.

육아휴직한다고 했을 때, 0.1초내에 참 잘했다고 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브르주아적 반응이 곧바로 나왔다. 육아문제를 포함한 여성주의적 내면화 말뿐이다. 육아휴직 전에 사무실(당) 사람 100명 중 98명은 하지마라였다. 가봐야 할 일 없다, 남자가 있어봐야 도움이 안된다, 육아휴직 이후 뭐 할거냐, 바쁠 때 해야겠냐 라는 질문 많이 받았다. 그러나 밀어붙였다. 토론의 문제가 아니었고, 진지하게 얘기하지 않았다. 토론하기 너무 힘들었다”

강상구는 육아휴직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육아휴직의 계기를 묻는 기자에게 강상구는 “다음부터 육아휴직을 하지 않는 남성에게 왜 육아휴직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물으라”고 반응했다. 앞서도 육아를 여성이 혼자 하는 것은 인권침해라고 주장했으니, 사회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면 육아는 부모가 동등한 책임을 갖고 참여해야 한다는 말이다. 강상구는 “자신의 운동성에 따라 생활도 조직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집에 가서 남편이랑 싸웠으면 좋겠다”

“육아휴직 동안 블로그에 매일 하루에 한 개씩 글을 쓰려고 했는데, 끝날 무렵 보니 300개 정도 썼더라. 이번 책에는 그 중에서 100개를 뽑아 담았다. 블로그에 쓸 때, 몇 가지 방향이 있었는데, 미루 커가는 모습과 커가는 과정에서의 아기의 변화과정, 미루를 키우면서 힘들고 어려운 점들 등이었다. 또 애 키우는 것과 별도로 가사노동을 분담하면서 예전에 몰랐던 변화, 정체성의 변화들을 담았다. 또 애를 키우면서 느끼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 사회에 나갔을 때 불편한 점, 얘를 키우는데 사회적 불편하다고 느끼는 점을 중심으로 썼다. 이번 책은 그 중에 미루 커가는 모습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글을 골랐다. 그 내용에는 육아의 어려움이나, 가사를 분담하게 된 경험들이 들어가 있다”

강상구는 이번 책을 남성들도 볼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았다. 대신 여성들이 집에 가서 부부싸움하고 사회를 향해 싸워 쟁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어떤 것이라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진 않았지만 모성이데올로기에서의 자유와 일상의 폭력에 대한 저항을 의미할 것이라고 짐작했다. 그리하여 불온한 상구씨, 이 책이 부부싸움의 원인이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제도가 갖춰줘야 하지만 그렇다고 다 되는 일이 아닌 이데올로기가 바뀌지 않으면 안되는” 육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싸움의 하나라는 것이다.

강상구, 주현숙에게 마지막으로 육아에 대한 철학을 물었다. 부모의 자녀교육관 중 부정적 표현으로 쓰이는 ‘치맛바람’이 모성이데올로기로 부터 기인한 자연스런(?)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까닭에 계몽적인(?) 대답을 기대하고 던져본 질문이었다. 역시 이들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아기는 소유물이 아니다. 쉽게 소유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길게 왔다가는 손님이라고 생각한다. 갈 때까는 잘 보살피는 거다. 나중에는 우리가 독립해야 한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컸음 좋겠다. 어떻게 널 힘들게 키웠는데 이런 말 하지 말자고 서로를 다독인다. 애들은 절대 모르고 알아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미루가 너무 움직여 여러번 사진을 찍어야 했지만, 물론 수전증도 문제이지만, 결국 깨끗한 사진을 얻기는 실패.

길게 왔다간다지만 손님 치고 두 사람에게 육아의 무게는 퍽 무거워 보였다. 물론 미루는 기자가 보기에도 이쁜 아기였지만. 6월 7일 발간을 앞둔 그의 책이 육아의 사회화를 요구하는 여성, 활동가들의 목소리에 힘을 보태는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