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 1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말한대로 이루어진다


말한대로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다. 말이 씨된다는 속담도 있다. 말이란 무엇이길래.. 정말 말한 대로 이루어지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10명의 사람이 '나는 대통령이 될 것이다'고 말하면 10명 모두 대통령이 될까? 그렇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말한대로 이루어진다는 말은 어떤 말일까?


링컨의 영부인이었던 여사는 링컨과 결혼하기 전부터 자신은 대통령과 결혼할 것이며 영부인이 되어 부와 권세를 누릴 것이라고 큰소리 치며 말했다. 과연 그렇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게까지 부자는 되지 못했다. 링컨의 그림자에 가려져 그녀의 일화는 숨겨져 있지만 그녀의 말은 상당히 중요하다.



정말 말한대로 이루어진 일이 있는가? 역사를 뒤져보면 심심치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래서인지 말한대로 이루어진다는 꿈을 더욱 가지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현대의 심리학자들과 자기계발자들은 말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자기의 꿈을 말로 발설하기를 권장한다. 그러면 꿈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질문을 하나 더 해 보자. 그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말한대로 이루어졌는가?이다. 답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즉 말한사람마다 다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이다. 이루어진 사람도 있고, 이루어지지않은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만약 말한대로 다 이루어진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 것인지 자명하다. 앞서서 말한바와 같이 열명이 동시에 대통령이 된다고하면 대통령은 한명인데 나머지 아홉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여기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리적으로도 불가능한 결론에 이른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왜 합리적이지 못한 주장을 계속하여 고집하고 믿으려하는 것일까? 학자들은 언어의 힘을 연구하면서 놀라운 몇 가지 사실을 발견한다. 그것은 사람은 자신이 한 말에 대해 책임을 지려하는 본능이 잠재되어 있다. 즉 '나는 착하다'고 말하면 착은 일을 시도하고, '나는 나쁘다'고 말하면 나쁜 행동을 자연스럽게 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곳에서 언어의 창조적 능력을 엿보게 된다. 이러한 공식을 대입하면 '나는 대통령이 될 것이다'고 말하면 대통령이 되록 시도하고 최소한의 노력을 해본다는 것이다. 물론 그것이 이루어지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노력을 일단 시작한다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작심삼일에 그치는 사람은 그 꿈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한 번 시도한 것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이어가면 그 사람은 꿈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뇌도 자기체면에 잘 걸린다고 한다. 자신에게 '나는 호텔사장이야'라고 말하면 뇌가 착각을 하고 정말 호텔 사장처럼 행동하도록 유도한다고 한다.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꿈과 현실의 벽을 메꾸기 위해 호텔에 대한 공부도하고 사장이 되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도 하게 된다. 그러다 정말 호텔 경영자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말한대로 이루어진다는 말은 거짓도 참도 아니다. 노력하고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경주하는 이에게는 참이 될 것이다.


말에 대한 이야기를 더 알고 싶다면 아래의 책을 참조해 보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운의여왕 2014-08-17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낭만인생님
말의 영향력 자료 잘봤습니다
감사해요
 

이렇게 하면 글쓰기 달인된다.




글쓰기에서 질도 좋지만 양도 중요하다. 종종 느끼는 것이지만, 질과 양은 전혀 다른 어떤 것이 아니다. 말콤 글래드 웰의 일만시간의 법칙에 의하면 질은 양과 비례한다는 것이다. 많은 양의 연습이 좋은 실력으로 이끈다. 모든 것을 일반화 시킬 수는 없지만 글쓰기에는 통하는 법칙이다. 아무 렇게나 쓰면 안되지만 쓰는 만큼 실력도 느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니 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써야한다.


글은 생각을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글을 씀으로 생각이 논리적으로 바뀌고 체계화 된다. 생각을 정리한 다음 글을 쓰려하지 말고 일단 글을 많이 쓰면 생각이 깊어지고 논리적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것이 양이 곧 질이라는 말이다. 그러니 지금 당장 써라.


글이란 쓰지 않으면 도무지 써지지 않는다. 생각이 아무리 많이 해도 실제로 써보지 않으면 써지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을 해도 글로 써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유는 글로 생각을 옮겨 적는 훈련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로 옮기지 않기 때문에 생각이 정리가 안되는 것도 있다. 생각도 훈련이 필요하고 글도 훈련이 필요하다. 글과 생각은 같지는 않지만 많은 부분에서 서도 통한다. 그러니 생각을 글로 쓰는 훈련을 통해 생각을 정교화하게 예리하게 한다는 기억하라. 이것이 작가로 가는 지름길이다.


원고지10장쓰는 힘의 저자인 사이토 다키시는 일단 많이 써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다. 심지어 그는 글쓰기는 스포츠라고 정의 한다. 운동을 많이 하면 근육이 생겨 지구력이 늘고 더 멀리 가는 것처럼 글쓰기도 그렇다는 것이다. 글도 자주 쓰면 늘게 되어있고, 잘 쓴다는 말이다. 그러니 지금부터 글쓰는 연습을 시작해 보라.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실력이 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도 좋지만 양도 중요하다.


종종 느끼는 것이지만, 질과 양은 전혀 다른 어떤 것이 아니다.

말콤 글래드 웰의 일만시간의 법칙에 의하면 질은 양과 비례한다는 것이다. 많은 양의 연습이 좋은 실력으로 이끈다.

모든 것을 일반화 시킬 수는 없지만 글쓰기에는 통하는 법칙이다. 아무 렇게나 쓰면 안되지만 쓰는 만큼 실력도 느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니 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쓰련다. 지금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력있는 아이로 키우는 칭찬의 기술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고 한다. 칭찬의 힘이다. 말의 힘이기도 하다. 칭찬은 상대방을 인정한다는 뜻이며 높여주는 것이다. 인간이라며 누구나 칭찬을 듣고 싶어할 것이다. 데일 카네기는 칭찬받고 싶은 것을 인간이 본질로 규정한다. 칭찬을 통해 이룰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칭찬이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칭찬에도 지혜가 필요하고 기술이 요구된다. 현대 교육자들은 칭찬은 결과가 아닌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아들이 학교에서 백점을 맞아 왔다면, '우리 아들 최고네, 역시 그럴 줄 알았어!'라고 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해야 한다. '우리 아들 멋지네, 이번에 열심히 노력하니 좋은 결과를 얻게 되었구나!'라고 해야 한다. 결과가 아닌 과정에 맞추어 칭찬해야 한다.


결과 중심의 칭찬을 하면 어떤 것이 해로울까? 교육자들은 이구동성으로 '결과 중심의 칭찬은 아이들로 하여금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것 같은 모험을 하지 않게 되며, 결국 발전이 없게 된다'고 말한다. 즉 나는 실력이 좋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를 풀어 실력이 안 좋은 아이로 비추어지지 말아야 한다는 걱정이 앞서게 되어 모험을 하지 않게 된다. 지금 자신이 알고 쉬운 것만을 하려한다. 이러한 반복은 점도 높은 단계로 가는 것을 막으며, 실수할 경우 자책감을 가지게 만들어 패배자로 스스로 낙인 찍어 버린다.


반면에 과정 중심의 칭찬은 실수를 해도 열심히 했다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결과에 연연해 하지 않으며, 실패해도 다시 시도한다. 어려움도 힘든 과제가 나와도 기꺼이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아이들도 결과가 아닌 과정, 즉 열심히 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더욱 열심히 하려한다. 결국 이러한 노력들은 좋은 결과를 낳고 점점 더 나은 실력자로 만들어 준다. 이것이 진정한 칭찬의 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승연, 사고 싶은 책


지난 평창동계 올림픽의 대변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던 나승연대표. 마흔 하나라는 적지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활동이 대단히 활발하다. 특별히 그가 낸 <나승연의 프레젠테이션>이란 책은 일방적인 보여줌이 아닌 소통하는 프레젠테이션을 말한다. 


타인에게 '보여주기 전에 프레젠테이터' 자신이 먼저 믿어야 한다'는 주장이 크게 다가왔다. 보여주면서도 믿지 못한다는 것은 기만이다. 자기확신과 주장이 분명한 나승연씨는 영어를 통한 글로벌 소통을 대범하게 주장한다. 그의 강연의 일부를 들어보면 영어를 잘하는 법은 '잘 들어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역시 소통의 대가다운 주장이다. 

















나승연의 북토크 강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 1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