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르보의 버나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산문선... 마음에 담아 두고 싶은 문장들이 가득해



좋구나. 좋아.. 꼭 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뮈.. 여름

결혼. 그리고 겨울


밤이 깊다. 

여름이 온다.

겨울은 밤은 유난히 짧다 

도시라서.
















마당에 모기불을 피웠다.

도란도란

엄마는 일찍 들어가신다.

나와 동생은 와상에 누워 밤하늘을 본다.

별이 초롱초롱


그건 추억이다.


도시의 밤은 가로등이다.

하늘 보지 않는다.

별이 없다. 

참 별 볼일 없이 산다.














번역가다. 

번역은 반역이 아니다. 창조다.

새 창조.

그러니 번역은 마음대로 하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움에서 기마민족 정복설이 출간되었다. 아하.. 이제야 나오는구나. 김진명 전문 출판사?로 알려진 새움에서 말이다. 오래 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읽고 얼마나 놀랬던가. 그 후로 몇 권 더 읽고 김진명의 책은 읽지 않았다. 싫어서가 아니라 그냥 안 읽혀 졌다.

오늘 이 책은 다시 읽고 싶다. 


아직도 학설이지만, 고구려 백제는 한 민족이다. 신라는 어떨지? 어쨌든 고구려는 기마 민족이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전통도 기마 민족이다. 일본이 왜곡시킨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 소설 한 권에 담았다. 신난다... 빨리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디어 나오는군요. 그런데 오래전에 번역되어 나왔네요.. 궁금합니다. 역사적인 이 영화 말입니다. 1992년 서적포라는 출판사에서 번역되어 있네요.. 그런데 출판사가 망했나 요즘 책은 없네요. 그렇게 시간이 흘러간 작품이군요... 


이 영화를 잘 몰라 인터넷을 검색하고, 자료를 찾으니 눈물 나는 이야기다. 삶이 어찌 이리 팍팍할까?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시대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살아가야 하는 법인가 봅니다. 


어제는 82년 김지영을 읽고 이해를 못하겠더군요. 이상했어요. 홀로 자라고, 홀로 크다 시피한 저에게 김지영은 여성이 아닌 저의 삶이 거든요. 그래서 이곳에서 여성에게 잘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면서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왜 그토록 남성들은 여성을 비하하는 것일까요? 왜 동일한 시선으로 보지 못할까요? 여성이 갖는 불가피한 운명인가요? 공평을 따지려면 여자도 군대가라는 어처구니없는 남성들도 보입니다. 여성의 권리는 더욱 신장되어야 합니다. 그게 맞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이곳에 나오는 김지영은 제가 보기에 너무나 행복하고 잘 살고 부유한 여성입니다. 아버지가 공무원이고 엄마가 사업을 할 정도라니... 이상하네요..... 저도 상상도 못 한 으리으리한 집으로 보입니다. 여성 폄하가 아니라 너무나 가난하게 살았던 저희 집의 시각으로 보니 말입니다. 


누님은 공장과 학교를 오가는 실업고를 다녔습니다. 그렇다고 저희에게 보탠 것은 아니고요. 당시에는 많이 그랬습니다. 제 친구 중에도 많아요. 자식들이 하도 많으니 학비 댈 여력이 없는 것이죠. 김지영이 많은 인기를 누리고는 있지만 약간 다른 차원에서 읽힙니다. 김지영이 갑부처럼 보이는 저에게는 말입니다. 상상도 못 할 시골에 살고, 찢어지게 가난하게 살았던 저에게 김지영은 그저 평범한 여성으로 보입니다. 제 친구들이나 누님들처럼이요. 그래도 누님은 많이 힘들었습니다. 부산에 올라와 고무신 공장에 다니고, 전자제품 조립회사에 다니셨죠. 저도 그런 비슷한 생활을 20대에 하였더랍니다.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예고편을 보고, 리뷰를 읽으면서 문득문득 삶이란 무엇인지 자꾸 질문을 합니다. 시대의 언어로 계속하여 번역되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아직 우리가 풀어가야 할 숙제가 참 많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당시 대만이 가진 정체성과 딜레마를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릴 적, 우리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친교 하자 대만은 태극기를 불사르고 그랬죠... 그때는 대만을 중국이라 불렀습니다. 그들은 말했습니다. 친구의 배신이라고. 오로지 이데올로기라는 것 하나로 세상을 재편하던 시절이라 분명 친구이겠죠. 그런데 저는 그것도 이상했습니다. 문득 명과 청 사이에서 갈등한 조선시대가 생각이 나더군요. 그때는 불행히 명을 잡는 바람에 고통을 당했는데, 이제는 새로운 중공의 손을 잡고 중국으로 불렀으니 시대가 많이 변하기는 한 듯합니다. 


이 영화를 통해 시대의 비극을 읽고, 김지영을 통해 시대의 아픔을 읽힌다는 것은 제가 나아가 많이 들었다는 뜻이겠죠. 아직 오십은 아니지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8-01-01 2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령가 살인사건은 예전에 영화로 나왔다는 이야기만 들었는데 책으로도 재간되었군요.한번 읽어봐야 겠네요.낭만인생님 2017 서재의 달인 축하드리며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