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떠나는 여행 46회]

아이들의 감정을 받아 주세요

 

 

애착관계가 잘 형성되지 못한 사람들은 대개 폭력적 성격이거나 우울증, 대인개피증이 강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부적절감은 열등감이라는 낮은 자존감으로 귀결된다. 자신보다 약하고 열등한 이들에게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아래 동생에는 과도하게 싫어하면서도 옆집 동생에게는 무한정 친절한 큰 아들의 모습이 바로 이런 모습이다. 늘 주변 사람들과 비교 대상이 되고, 자신을 학대하는 한편, 타인을 공격하는 이중적 성격을 띤다. 사랑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랑 받지 못하면 사랑할 수 없고, 사랑하지 못하면 다시 사랑 받을 수 없게 된다. 반드시 치유해야할 질병이다. 중병은 아니고 감기 정도. 하여튼 치유 방법은 여러 가지다. 먼저 왜 문제가 되었는지 몇 가지만 살펴보자.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의 형성

 

2차 대전 직후 수많은 부랑아와 고아들이 생겼다. 전쟁으로 인해 부모가 죽거나 버려지고, 헤어져 고아간 된 아이들이다. 이들이 자라나면서 많은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UN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을 꾸렸다. 심리분석가이자 심리치료사인 존 보울비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보도록 했다. 보울비는 그들을 연구하면서 그만의 애착이론을 만들어 냈고, 매리 애인스워스나 제임스 로버트슨 등이 더욱 발전시켰다.

 














애착이론의 원리는 이렇다. 영아들은 자신에게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성인과 6개월에서 2년 정도를 지내면 애착관계가 형성된다. 이 단계는 아이들이 기어 다니며 걷기 시작하는 시기에 부모의 곁을 떠나가는 단계이다. 아이들은 부모를 떠나 다시 돌아오고, 다시 떠나고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부모가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향후 그들의 성격이나 정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존적 존재에서 독립적 존재로 성장해 가는 과정의 가장 근저가 바로 애착단계이다. 애착은 아이와 엄마와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난다. 부적절한 엄마의 반응은 아이로 하여금 올바른 애착을 방해하고 오히려 성격장애나 폭력성을 내면에 쌓게 한다.

 

아이들은 대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가치 있는 사람인지, 감정적인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배웁니다. 문제가 있는 아이의 행동 패턴을 살펴보면 부모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 것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존 카트맨 외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중에서)

 

결국 엄마가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아이는 애착형성을 이루기도하고 애착장애로 이어진다. 아이의 품을 떠난 아이가 아장아장 걸음마를 시작한다. 대부분의 엄마는 이 때 아이의 손을 잡고 함께 걸어간다.

 

아장 아장 우리 아가.” 

하며 함께 입방아도 찧는다. 그러면서

아이구 우리 아기 잘한다.” 

칭찬도 아끼지 않는다. 아이는 엄마의 칭찬과 즐거운 반응을 듣고 더 열심히 하려고 한다. 때론 넘어 지기도하고, 실수하지만 이럴 때도 엄마는 

괜찮다. 괜찮아!”

라고 말해주면서,

 “다시 해 볼까?” 

하며 응원한다. 아이는 이러한 엄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가 걷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더 잘 걷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잘 걸으면 엄마가 즐거워하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아이는 더욱 좋은 감정을 품게 된다.

 

잘못했다고 야단을 치면 어떻게 될까요? 

아이는 의기소침해지고, 잘하려고 노력하지 않게 됩니다. 뭔가를 시도하다 실수하면 야단을 맞는다는 생각을 먼저 하기 때문이죠. 다시 존 카트맨의 감정코칭으로 돌아가 봅시다.

 

감정을 알아주기는커녕 야단만 맞은 아이는 의기소침해집니다. 감정을 이해 받지 못한 아이가 느끼는 충격은 큽니다. ... 감정을 거부당하거나 무시당하는 일이 많은 수록 아이는 자존감이 떨어집니다. 결국 자신과 남을 신뢰하거나 존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함부로 행동하며, 지나치게 소심하거나 또는 충동적인 언행을 하다가 더욱더 큰 꾸지람을 듣게 됩니다. 이런 생태로 주의력결핍증 과잉장애행동장애아라는 레벨을 부여 받기도 합니다.”

 

그러니 야단치 말아야 한다

그럼 잘못한 경우 어떻게 할까요

감정은 받아 주되 한계를 정해 주어야 한다. 즉 바른 것과 잘못된 것을 구분시켜 주고, 가르쳐 주어야 한다. 존 카트맨은 한계를 정해준다고 표현한다. 한계를 독립된 한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할 일을 정해주는 것이다. 문제는 엄마와 가족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과정이 애착형성과정이다. 올바른 애착형성이 이루어지면 아이는 엄마의 품을 떠나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로 자라게 되고, 커서도 책임감과 사회성이 뛰어난 지도자가 될 자격을 갖추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4-12-04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하는 능력>이라는 책을 읽다가 애착 이론이 잠깐 언급되어 있어서 자세히 알고 싶었는데 낭만님이 쓰신 글 덕분에 이론의 의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낭만인생 2014-12-04 16:32   좋아요 1 | URL
<공감하는 능력>이란 책도 읽고 싶어 지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