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레이디 북토크 - 책으로 세상을 읽다 알파레이디 리더십 2
경향신문사 인터랙티브 팀 엮음 / 들녘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이여, 세상을 주도하라.

 

너무 오래 묵혀 두었다. 그래서 다짜고짜 책 속으로 뛰어 들어갔다. 지금까지 묵혀둔 탓에 더 이상 유기될 수 없다는 생각이 지배했다. 첫 강연자인 정혜윤을 읽었다. 숨이 턱 막힌다. 이런 분이었어? 왜 몰랐을까? 정말 멋지다. 이렇게 뜨겁게 사는 분도 있구나 싶다. 

 

정혜윤의 책은 몇 번을 사려다 밀리고 밀려 단 한 번도 사지도 읽지도 않았다. 후회한다. 읽었어야했다. 책과의 운명적 만남을 가장 탁월하게 그려준 존재다. 앞으로 더 많은 분들의 강연이 남아 있지만 이 분 만큼 책 자체를 고상하게 알려준 이도 없었다. 그녀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자.


"책을 읽고 평가하는 것은 독서가 아니에요."

"책을 읽다가 멈추고, 또 멈추고 하면서 나를 보게 됩니다. 책 속에서 우리는 자기 자신을 다시 만나게 됩니다. 마주칩니다."


책은 거울이다. 나를 보는. 정혜윤은 정확하게 짚어 낸다. 일찍 읽어야 할 책이었다. 지금이라도 읽었으니 다행이다.

 

저마다 다른 관점에서 책을 말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다르지 않다. 그들의 경험과 삶의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말할 뿐이다. 생텍쥐페리는 사랑은 같은 곳을 바라보는 것이라 했다. 독서가 그렇다. 같은 곳을 보고 같은 곳을 향한다. 고미숙의 책은 "호모 쿵푸스"를 통해 이미 접했고, 다른 책에서도 간적접으로 접한 터라 낯설지 않았다. 몸에 대한 동양적 사고를 잘 풀어 준다. 

"출산은 몸 전체, 몸의 모든 뼈가 한꺼번에 다 열리는 순간이니까요."

"행복과 평화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몸의 능력입니다."


가장 여운이 남는 부분은 나승연과 홍성태 교수의 소통과 공감 부분이었다. 삶은 치열하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그러나 치열함을 예술로 탁월함으로 승화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왜 일까? 실력이 없어서? 아니다. 소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홍성태 교수의 문장 몇개를 가져와 보자.

"네가 필요해는 20세기식 표현이고, 나는 너를 원해라고 하는 게 21세기식 표현입니다."

"뭔가를 즐긴다는 것은 단순한 재미가 아니나 그 사람과 희로애락을 같이 하는 겁니다."

"공감은 상대의 입장에서 상대방의 세계를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의사소통 상태를 말합니다."

 

김정운, 조영남은 괴짜들이다. 웃기고 재미있다. 사용하는 단어가 기이할 뿐이지 알고 보면 동일하다. 조영남은 재미로 한다고 한다. 그런데 무슨 재미가 죽음까지 갈 뻔했단 말인가. 열심과 최선의 다른 말이다. 속으면 안 된다. 조영남은 언어의 사기꾼이다. 그가 재미로 한다는 삶을 보라. 얼마나 치열하고 박진감 넘치는가.

 

이 책을 그렇게 읽었다. 그리고 좋았다.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