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심리학을 읽다


생물 심리학을 읽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간에 대한 오해가 일어날  소지가 많다. 어쩌면 인간은 단지 화학반응으로만 살아가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때론 세포 하나하나 분석해 들어가면 인간이란 뭔가 의구심이 일어난다. 먹고 싶은 건 단지 에너지를 채우기 위한 뇌가 내린 호르몬 작용에 불과할까. 


올초에 재미있게 일었던 뇌과학에 관련된 책들은 뇌를 적당하게 훈련시키고, 길들이면 천재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였다. 습관도 뉴런의 작용이고, 시냅스가 활성화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복적인 습관에 뇌는 길들여져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반응하게 한다. 예를들어보자. 아침에 일어나 곧바로 책상에 앉아 책을 읽는 습관을 들여보자.


첫날은 일어나는 것도 힘들고 책상을 찾아 가는 것도 쉽지 않다.

이튿날 역시 첫날과 다르지 않다. 삼일째는 조금 더 쉬워진다. 대개 3일 고비라고 하는데, 3일만 잘 넘기면 탄력이 붙는다. 일주일 이주일 삼주가 흐르면 거의 고착화 된다. 그러나 대개 66일 정도가 되어야 체화되어 완전한 습관이 된다. 그러면 일어나 책상에 앉는 것이 더 쉬워 진다. 


몸의 반응은 뉴런이 한 곳-일어난 책상에 앉는 것에 익숙해져 쉽게 반응한다. 길이 나지 않는 곳을 걸을 때 걷기 힘들다. 그러나 사람들이 자주 그곳을 다니면 길이 난다. 도로가 잘 구비되어 있다면 다니기 쉽고 빠르게 갈 수 있다. 뉴런도 동일하다. 사람은 익숙해지면 재미가 없어지만 다른 것을 추구하고자하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익숙함은 재미의 반감도 일어 나지만 탁월함을 의미하기도 하다. 이것이 타인의 존경과 부러움을 사게 되면 일 자체의 즐거움보다 타인에게서 받는 관심 때문에 더 열정적으로 반응한다.


음악도 모르는 음악는 재미가 없지만 익숙한 음악은 즐길 수 있다. 7080가요 인기가 식지 않는 이유는 그 음악을 즐기며 기억한 이들이 많다는 증거다. 그 때의 아련했던 기억이 함께 떠오르면서 음악은 추억이 되고, 추억은 삶의 활력소가 되어 되돌아 온다. 추억은 과거가 아닌 지금 여기의 의미 찾기인 셈이다. 


여기까지 오고보니 생물심학은 기계적 메카니즘만은 아닌 것 같다. 존재 의미를 밝혀주는 또 하나의 희미한 빛이 된다. 더 빛나기 위해 생물학자들의 수고와 철학자들의 의미 부여가 필요할 터이지만 나름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