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록

 

1. 제인 오스틴 연애수업

그다지 고전을 즐기기 않는 사람까지

고전을 읽고 싶게 만드는 매력적인 연애론.

제법 재밌었다.

 

 

 

 

2. 이기는 심리학

말이 되는 내용과 내키지 않는 내용이 뒤죽박죽 섞여 있고

사람의 유형에 대한 분석만 가득하다.

은근 흑백논리에 왜 전쟁에 나간 장군을 분석하는 걸까.

기대했던 내용도 아니었고 이 책을 읽고 말싸움에서 이기긴 힘들 것 같다.

 

 

 

3. 상상력 공학 101

판타지 소설가 지망생에게 참고가 될 법한 책이다.

제법 유익한 편이다. 단지 지루한 부분도 꽤 있다.

 

 

 

 

 

 


 

 

탐나는 책

 

1. 더 쿠키

한나 스웬슨 시리즈 이후에 어쩐지 쿠키 요리책이 나오면 가지고 싶어졌다.

수제 쿠키 전문점의 프리미엄 레시피 99가지라니 더욱 솔깃하다~

 

 

 

 

2. 식사는 하셨어요?

영화로도 나온 '테르마이 로마이' 작가가 그린 먹방 만화란다.

읽고 나면 배고플 것 같은 책이다.

 

 

 

 

 

 3. 도덕적 인간은 왜 나쁜 사회를 만드는가

딸이 던진 '인간이 원래 착하다는 증거가 어디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는 책이다.

모두가 착하다면 왜 사회는 착한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느냐는 거다.

자신이 평균 이상이라는 착각이나 깊이없는 도덕 관념이라는 부분에서 뜨끔해진다.

그래서 자기 마음도 모르면서 심리학 책을 계속 읽게 되는 걸까.

 

 

4. 포크를 생각하다

무엇을 먹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읽는 역사라니 발상이 신선하다.

채소를 삶아 먹는다는 게 인류의 큰 진화였다는 부분에 있어서

살짝 의아했는데 치아가 없어진 다음에도

굶어죽지 않게 되었다는 부분에선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다.

기술이 진보해서 그렇지 예전에는 충치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었겠구나.

 

 

5. 나는 쓰레기 없이 산다

언젠가는 청소가 필요없는 집에 대한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정확하게는 알아서 청소가 되는 집. 친환경적이고 가사노동의 부담이 줄어드니까

자연스레 혹했는데 이번에는 쓰레기없이 사는 인생이라니.

정확하게는 쓰레기가 적게 나오는 삶이다.

꼭 필요한 것만 쓰고 재활용하고, 그래도 기어이 발생하는 쓰레기는 퇴비로 만든다고 한다.

현대인들의 만족이 곧 소비인 것처럼 계속해서 낭비를 부추기는 사회에서 놀랍기도 하고 공감이 되기도 한 삶의 방식이다 싶다.

 

 

6. 치매 노인은 무엇을 보고 있는가

어떻게 살고 싶은가를 떠올리다보면 어둑한 그림자처럼 따라붙는 질문이

어떻게 죽고 싶은가다. 그 수많은 경우 중에서 치매라고 하면 일단 겁부터 덜컥 난다.

소중했던 기억을 잃어버린 껍데기만 남아서 그게 자신이라는 인식조차 사라질까봐 두려운 것이다.

그런데 치매 노인이 세계와의 '연결'을 잃어버렸다는 관점에서 서술된 책이라고 한다.

장르는 전혀 다른데도 이 책을 넘길 때엔 공포소설을 읽는 것처럼 두려워질 것 같다.

책장 마지막을 덮을 때엔 약간의 안도가 따라오기를. 결국 무지만큼 두려움을 자극하는 것도 없으니까.

 

 

7. 심리를 조작하는 사람들

제목을 보자마자 떠오른 책은 <인간조종법>이었다. 아무래도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보니 비슷한 느낌이 없지 않다. 해서 더 기대가 되기도 하는 책이다.

그런데 이런 책을 읽다보면 떨름한 기분이 쉬이 사라지질 않는다.

모르는 사이에 교묘하게 휘둘렸다는 걸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다 읽고나서 이제 휘둘리지 말아야지 다짐해도 어느새 잊게 되는 부분조차 있다.

그나저나 '파블로프의 개' 법칙을 깨버린 파블로프의 미공개 실험은 대체 뭐일지 궁금하다.

 

 

그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