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는 나찌 독일이 여성을 생물적인 역할에만 억압하기 위해 내세운 어린애, 부엌, 그리고 기도 Kinder, Kuche, Kirche’라는 슬로건을 연상했다. (옮긴이는 Kirche기도라고 번역했지만, ‘교회라는 번역도 가능할 것 같다.) 그러나 여기는 나찌 독일이 아니다. 여기는 여성들에게 모든 활동 영역이 열려 있는 미국이다. 그러면 왜 미국의 이상적인 여성상은 가정 밖의 세계를 거부하는가? 왜 여성을 하나의 노력, 하나의 역할, 하나의직업으로만 억압하는가? 얼마 전만 해도 여성들은 이 세계 속에서 남녀평등과 인간의 위상을 확보하려는 꿈을 가지고 투쟁했다. 그런데 도대체 여성들의 꿈은 어떻게 변했으며, 어떻게 이 세계를 외면하고 가정 속으로 되돌아갔을까? (여성의 신비, 90)

 

여성을 가정에, 부엌에, 아이들 양육에 가두어 두려는 시도는 21세기에 조금 다른 양상으로 바뀐다. 이제 가정은 아이를 입히고 먹이고 씻기는 장소일 뿐 아니라, 학교, 학원과 함께 교육의 장이 되어 버렸다. 모든 경쟁이 칭송 받는 시대, 경쟁의 승자만이 박수 받는 시대에 최고 승자는 최고 지점에 도착한 사람이고, 사람들은 그 판단의 근거로 학교 이름을 사용한다. 아이가 어느 대학에 들어갔는가에 따라 엄마의 역량이 평가되는 시대. 그런 시대가 왔다.


엄마는 교육 매니저다. 요즘 엄마들은 우리 애가 영어를 못 해요,라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 애는 문법에는 강한데, 작문에 약해요,라고 말한다. 요즘 엄마들은 우리 애가 수학을 어려워해요,라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 애는 연산은 빠른데, 도형에서 헤매요,라고 말한다. 엄마는 교육 매니저다. 아이의 성적이 곧 엄마의 능력이다. 3년 전인가, 임원아이들 엄마 모임에 나갔다. 순서에 따라 엄마들은 영어 학원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한 엄마가 아들이 다니는 영어 학원 이름과 레벨을 말했다. ㅊㄷ학원 bridge예요. 함께 있던 엄마들은 저도 모르게 탄성을 쏟아낸다. ~ bridge예요? 영어 잘 하는구나. , bridge예요. 이제는 대학 이름도 아니고, 영어 학원 레벨에 따라 엄마 레벨이 결정되는구나. 강남 8학군도, 목동도 아닌 조용하고 평범한 서울 구석에서도.

 

여성의 지위는 평가하기 어려운 지표이다. 경제력과 교육수준이 높다고 해서 가정 폭력과 성폭력에서 자유로운 것도 아니고, 한국의 여성 지위가 특히 제3세계와 다른 점은 교육 수준(최상층)과 노동 시장 진출(최하위)이 극도로 반비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고학력 여성들은 비혼을 택하거나 노동 시장에 진출하는 대신 중산층 가정의 신화를 현실로 만드는데서 자아를 실현하려고 한다. 여성들은 가족 내 성 역할에 충실함으로써, 특히 자녀 교육을 인생의 목표로 삼으면서, 한국 사회 특유의 가족주의를 만들어낸다. 학벌, 계급, 부동산 문제 등 사회 부정의를 양산하고, 여성에 대한 혐오를 가중시킨다.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52)

 

누구든 물어봐 주었으면 좋겠다. 엄마들은 왜 아이의 영어 성적에, 학원 레벨에 집착하는가. 왜 사교육 확장의 주범이 되어 가는가. 왜 입시위주 교육의 확장에 적극적인가. 왜 그러한가.


사회가 그 역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점수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고, 학점과 스펙으로 가공된 인재만이 대기업의 높은 벽을 뛰어넘을 수 있다. 지방대, 인문대, 여학생들은 가공할만한 그 벽에 가까이 가볼 용기마저 잃어버렸다. 서울의 유수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취업의 문이, 정규직의 문이 바늘귀처럼 좁아진 채로 10년 이상이다. 점프의 시작점은 대학 이름이다. 대학 이름에서부터 시작이다. 실력은 오직 점수로만 평가된다. 결국, 대학 입시가, 대학 이름이 평생을 좌지우지하는 세상에서, 엄마들은 교육 전쟁에 뛰어들 수 밖에 없다. 압력은 외부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다. 내부에서 들려오는 압박 또한 만만치 않다. 당신은 (집에서 놀면서) 애들 공부 안 챙기고 뭐해?


불합리한 사회를 한 번에 바꾸는 일은 요원하다. 어떤 식으로든 사람들은 사회에 적응하고, 적응하려 노력한다. 엄마들은 두 팔을 걷어부치고, 학교와 학원 입시설명회를 쫓아다닌다. 초등학교 6학년에 고등학교 수학을 다 떼었다(떼었다,는 정확한 표현이다. 배웠다 혹은 익혔다,가 아니다. ‘떼었다유의어는돌렸다’)는 대치동 그 아이는 한 명이 아닐 것이다. 선행 학습과 바로 이어지는 선행 학습. 선행 학습 인생.


나치 독일은 어린애, 부엌, 그리고 기도를 여성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여성이 가정 이외의 영역에 들어서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 The Feminine Mystique이 쓰여질 당시, 미국 주부들은 마루바닥을 윤이 나게 닦으면서 넘쳐나는 기쁨에 오르가즘을 느낀다고 고백하고는 했다. 쿠키, 케이크 홈베이킹, 일주일에 한 번씩 세탁하고 다림질하는 커튼. 깨끗하고 안락한 가정, 영양학적으로 완벽한 식사,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이들. 여성을 하나의 역할, 하나의 직업으로만 규정하며, 그것만이 여성의 이며 소명이며 기쁨이라고 반복해서 말하는 사회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역할과 임무에 충실할 수 밖에 없다. 현재는 그에 더하여 교육’, 정확히는 자녀의 명문대 입학이라는 특별 사명까지 주어졌다.

 

 

남자와 마찬가지로 한 사람으로서의 자신을 알고, 자아를 발견하는 유일한 길은 여성 스스로의 창조적인 작업에 있다. 다른 길은 없다. 그러나 어떤 직업이든 다 해답이 되는 건 아니다. 직업이 여성에게 올가미를 벗어날 수 있게 하는 방편이 되려면, 일생의 설계로서 진지하게 자리매김 되어야 하며 사회의 일부분으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성의 신비>, 561)

 

 

결혼 후에 접촉하는 사회와 세계는 아무래도 아이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땡땡땡엄마가 아니라, ‘땡땡땡으로 살려고 하면 무엇하겠는가. 그녀/그들의 핸드폰에, 나는 땡땡땡 엄마인 것을.

 

땡땡땡 엄마와는 가깝지 않을 게 분명한, 자아 발견과 창조적인 작업에 대해 생각한다. 일생의 설계와 사회의 일부분으로 성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땡땡땡 엄마 아닌 나, 땡땡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