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정한 친구이며 굳건한 동지인 다락방님은 필립 로스 『휴먼 스테인』 리뷰에서 린디 웨스트의 말을 인용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페미니즘은 우리가 사랑하던 것들이 우리를 미워한다는 사실을 천천히 깨달아가는 기나긴 과정에 불과하다고 있다.’ 동의한다. 천천히 깨닫는 과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좋아하는 작가와 이별하는 시간은 슬프고도 아쉽다. 


<남자들은 자꾸 내게 『롤리타』를 가르치려 든다>에서 레베카 솔닛은 소설을 읽으며 감정이입하게 되었을 , 독자는 소설 인물과 동일시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독자가 스스로를 길가메시와 동일시하거나 심지어 엘리자베스 베넷과 동일시했을 때는 아무 문제가 없다. 문제는 독자가 스스로를, 롤리타에게 동일시할 일어난다.(246) 저자는 여자의 이야기를 여자로부터 빼앗은 작품으로서, 독자가 남자의 이야기만을 듣게 된다는 관점에서 『롤리타』에 대해 언급했는데, 남자들은 그녀에게 가르침을 주겠다고 나타나서는, “당신이 완전 잘못 이해하고 있다”, “ 책은 사실 알레고리다”, “당신은 예술의 기본적 진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그녀를 비난한다. (252)



사진, 에세이, 소설, 그밖의 것들은 우리 삶을 바꿀 있다. 그것들은 위험하다. 예술은 세상을 만든다. 나는 한권의 책이 인생의 목표를 정해줬다거나 삶을 구해줬다고 말하는 사람을 많이 안다. 내게는 그렇게 삶을 구해준 한권의 책이랄 만한 없지만, 그것은 그저 수백 혹은 수천권의 책들이 나를 구해주었기 때문이다. (249) 



나를 구해준 수백권(수천권은 아닌 같다) 중에 여자가 읽지 말아야 책이 다수 포진해 있음을 확인한 글은 <여자가 읽지 말아야 80>이다.

 


작가 에밀리 굴드Emily Gould 벨로, 필립 로스, 업다이크, 노먼 메일러는 “20세기 중반 여성혐오자들이라고 명명했는데, 『에스콰이어』 목록에 올랐고 목록에도 오를 남자 작가를 지칭하기에 알맞고 편리한 별명이 아닐 없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도 독서 금지 영역에 포함된다. ... 노먼 메일러와 윌리엄 버로스는 독서 금시 목록에서 상위에 오를 것이다. 아내를 칼로 찌르거나 총으로 쏘지 않은 작가들 중에서도 읽을 작가는 너무 많으니까 ... 내가 사랑해 마지 않는 『모비 딕』마저도 여자가 명도 나오는 책은 모든 인간에 대한 책이라고 일컬어지는데 비해 여자가 부각된 책은 여자들을 위한 책이라고 일컬어진다는 사실을 새삼 떠올리게 되지만 말이다. 그리고 목록(『에스콰이어』 추천남자가 읽어야 최고의 80’) 좇는 독자는 제임스 M. 케인과 필립 로스에게서 여자를 배울 텐데, 그들은 여자를 배우고 싶을 찾아가야 전문가라고는 절대로 말할 없는 남자들이다.(234-6) 



내가 애정해 마지않는 필립 로스의 이름이 번이나 언급됐다. 『유령 퇴장』을 읽을 어떠했나. 나는 누구에게 감정 이입했나. 나는 누구였나. 내가 동일시했던 사람은 누구였나. 



나는 만찬회 같은 데도 참석하지 않고 영화 구경도 가지 않고 텔레비전도 보지 않는다. 휴대전화나 VCR DVD플레이어나 컴퓨터도 가지고 있지 않다. 나는 계속 타자기의 시대를 살고 있고, 월드와이드웹이 뭔지도 모른다. 선거 같은 것도 더는 신경쓰지 않는다. 나는 하루의 대부분을, 대개 밤늦게까지 글을 쓰며 보낸다. 독서도 하는데, 주로 학생 처음 접했던 책들을 읽는다. ... 나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일주일 내내 글을 쓴다. 외에는 침묵한다. (15) 



말할 것도 없다. 나는 스스로를 네이션 주커먼에게 감정이입했고, 소설 속의 주커먼이라고 말할 , 그를 자신으로 여겼다. 나는 주커먼을 사랑한다. 그를 동경하는 나는, 불편하지 않았다. 나는 주커먼이었고 주커먼이어야 했으므로. 나는 주커먼이 되기를 원했으니까. 



레베카가 말한다. 



나는 점에서만은 진지했다.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이 물건처럼 이용되고 버려지거나, 쓰레기처럼 그려지거나, 침묵하거나, 아예 나오거나, 무가치하게 그려지는 책을 많이 읽으면, 경험은 분명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예술은 세상을 만드니까. 예술은 중요하니까. 예술은 우리를 만드니까. 혹은 망가뜨리니까. (255) 



이별을 준비하는 작가가 있기는 하다. 『남한산성』을 사랑하지만 다시는 『칼의 노래』를 읽고 싶지 않았던 나를, 나의 감각을, 느낌을 이젠 조금 믿어보려고 한다.   


아직 필립 로스는 아니라고 말하고 싶지만, 내가 사랑하는 것들이 나를 미워한다는 자각할 때의 슬픔은, 아직 필립 로스는 아니라고 말하는 나의 몫이다. 머리에 삶의 목적이 오로지 섹스인 인간, 섹스에만 특화된 존재로 그려진 종이, 바로 나와 같음을, 나와 같았음을 기억할 때의 절망 또한 나만의 것이다. 


불안을 떨쳐내기 위해 다시 필립 로스를 읽어야 할까. 『유령 퇴장』을, 『휴먼 스테인』을, 『울분』을,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를, 『포트노이의 불평』을, 『미국의 목가』를, 『굿바이, 콜럼버스』를, 『전락』을, 『네메시스』를, 『죽어가는 짐승』을, 사랑하고 동경하는 마음에서가 아니라 바로 보기 위해서, 직시하기 위해서 읽어야 할까. 아니면 흐린 기억 속에 그를 묻어, 조금이라도 그를 소유해야 할까.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7-09-25 14:4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제가 휴먼 스테인 읽으면서 얼마나 슬펐던지요. 글을 너무 잘썼는데, 그 잘 쓴 글로 페미니스트를 까는 거예요. 너무 잘써서 설득력이 있는거죠. 그 책으로 여자를 배우면, 페미니스트는 극도의 신경질적인, 젊고 예쁜 여자를 질투하며 자기 모순에 빠지는, 그런 존재인 거예요. 너무 슬펐어요. 그런데 이미 다른 사람은 필립 로스를 읽지 말아야 할 작가에 포함시켰었군요.

단발머리님, 그 감을 저도 믿으라고 권해드리고 싶어요.
제가 사람들이 다 좋다는 칼의 노래를 읽고, 정체를 뭔지 모르겠는 불편함에 시달리며, ‘김훈을 읽지 않아도 되겠다‘고 했을 때, 남들이 다 좋다 그래도 좋지 않았을 때, 그때 저에게 있었던 감을 저는 이제는 믿어야 하는거라고 생각해요. 그런 감이 괜히 생기는 게 아닌 것 같아요.

저는 그래서 지금 분노의 포도가 슬퍼요. 여기에 대해 글을 적고 싶지만, 제가 오늘 일이 많아요. 흙.

제가 사랑하는 것들이 저를 미워하는 걸 깨달으며 슬퍼요. 페미니스트를 잘못 이해하고 비난하는 사람들중에 이미 아주 많이 글을 잘 쓰며 유명한 사람들이 있다는 게 슬퍼요. 그래서 스티븐 킹이 더 좋아요, 단발머리님. 스티븐 킹이 세상에 얼마나 강간범이 많은지, 피해자에게 사람들이 얼마나 죄를 뒤집어 씌우는지를 말해줘서 너무 소중해요. 흙흙.

단발머리 2017-09-25 11:47   좋아요 3 | URL
그러게요.
전, 휴먼 스테인을 읽을 때, 흑/백의 구도에 아주 집중하고 있어서, 솔직히 말씀하신 부분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어요.
사실... 지금도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기도 하구요. 아마 작품을 읽는 그 순간은, 저는 스스로를 흑인임을 속이고 싶어하는 백인.
그것도 백인 남자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크고요. ㅠㅠ

필립 로스는, 자기가 생각하는 페미니스트의 인상을 작품에 옮겨 놓았을 테고 그 글은 너무 근사해서... 그래서 설득력이 있고.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이겠죠. 그래, 페미니스트는 이래. 아... 슬프네요.

제게 아주 오랫동안 불편했던 작가가 김훈이거든요. 전, 말을 못 하겠더라구요. 사람들이 다 좋다고 하고.
일면 저도 그 비장한 문장을, 문체를 좋아하는 건 사실이니까요.
최근에 문학계에서도 김훈의 시선에 대해 평론가가 비판하는 글을 썼다고도 하던데.
아무튼 이제 한 발짝 나아가야 할 시점이기는 해요.

우리의 슬픔이 이제 막 시작이라는 사실에 또 슬퍼지네요.
더욱 슬픈건 다락방님이 좋다고 하신, 스티븐 킹이 전 너무 무서워서... 그게 또 슬퍼요.
스티븐 킹을 읽지 않고 스티븐 킹을 좋아할 수도 있긴 하겠지만요.
우린 오늘 슬프네요. 흙흙ㅠㅠ

munsun09 2017-09-25 12:09   좋아요 1 | URL
김훈 작가에 대한 두분의 생각에 전적으로 공감해요. 그 불편함이 싫어서 어느순간부터 읽지 않고 있어요. 필립 로스 작품 읽은지 좀 되는데 그런 의미가 숨어 있었는지 오늘 알았네요.
독서에 있어서도 자기 나름의 고집이 어느정도 필요한 거 같아요. 많고 많은 책 중에 나에게 땅기는 거 읽는 다,가 제 독서론! 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쭉 밀어 붙이고 있어요. 주저리주저리^^

단발머리 2017-09-26 09:37   좋아요 2 | URL
맞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감각을 좀 더 믿어야해요. 저는 번역서를 읽다 어려우면 이해못하는 스스로를 탓하지 번역이 이상하다,라고는 생각지 못하는 사람이었어요. 이제는 우리 나름의 생각, 판단, 고집도 그것대로 인정하고 비판적 독서의 새 장을 열어야겠어요.
(저... 너무 비장해요?!! ㅋㅋㅋ)
아무튼 굿모닝이예요~~
다락방님, munsun09님^^

AgalmA 2017-09-26 14: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보들레르도 여성혐오 대단했다고 하죠ㅎ; 유명한 작가 상당수가 혐의 없는 사람이 없을 정도죠. 그러면서 여성에게 매혹도 되니 미치겠지ㅎㅎ
남성이라는 상징적 본성이 아니라 각자가 그 시대를 살면서 가지게 된 젠더 인식이 반영된 거라 봐야 할 텐데 그 상태에서 작품을 쓰니 벗어나기 쉽지 않죠. 끊임없는 문단 내 성폭력도 그런 우월주의가 깔려 있어서이기도 하고요.
작가와 작품을 분리해서 보란 말은 일종의 면죄부가 되기 쉽죠. 인식이 반영되지 않는 글, 작품이란 게 가능합니까. 입력된 정보로 움직이는 컴도 그건 불가능하던 걸요ㅎ 데이터축적으로 온갖 차별과 비하 발언을 하던 뉴스가 나오기도 했잖아요ㅎㅎ;
존 쿳시 <포> 읽었을 때 남성작가가 여성을 이렇게 깊게 이해할 수도 있구나 놀란 적 있습니다. 존 쿳시가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은 대개 그랬어요. 환경적으로 많이 겪고 보다 보니 쿳시는 온갖 차별에 대한 반감을 작품에도 늘 드러내죠. 노벨상 받을 만 하다는. <포>는 꼭 읽어 보시길^^

단발머리 2017-09-27 10:53   좋아요 0 | URL
여성을 혐오하거나 지나치게 숭상하는 건 하나의 뿌리라는 생각이 요즘에 많이 들어요.
너무 좋으니까 너무 싫은 것 아닌가. ㅎㅎㅎㅎㅎ

존 쿳시의 작품은 <포> 밖에 안 읽어봤는데, 오래전에 읽었을 때는 큰 감동을 못 느꼈어요.
Agalm님이 노벨상 받을만하다 하시니,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AgalmA 2017-09-27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투르니에가 흑인 노예 프라이데이를 더 부각시켜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를 썼듯이 <포>도 남성 로빈슨이 아니라 여성 주인공을 부각했다는 게 첫번째로 중요했고요. 서술의 방식도 남성적 서사 방식-뚜렷한 줄기가 아니라 여성적- 호소, 내밀함을 잘 살려 냈다는 점입니다. 남성적-여성적 발화방식을 가르는 것도 차별적이다라고 말할 수 있겠으니 감정의 섬세함을 더 다루려 했다 정도로 하죠^^

단발머리 2017-09-29 08:44   좋아요 0 | URL
아니.... 우리 선생님은 왜 Agalma님처럼 야무지고 정확한 설명을 해주지 않으셨단 말입니까.
Agalma님은 페이퍼도 페이퍼지만, 댓글마저도 독서를 부르네요.
다시 찾아봐야겠어요. 오늘 아침에 읽은 책에 ‘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글이 있더라구요.
감정의 섬세함, 여성적-호소, 내밀함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기도 하구요.
오늘 아침에는 바람이 쌀쌀하네요~~~ 이제 정말 가을인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