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 시턴의 아름답고 슬픈 야생동물 이야기 마음이 자라는 나무 10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 지음, 김세혁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니스트 시턴"이라는 이름이 처음엔 낯설었는데 "동물"이라는 단어와 "시턴"을 연결시키니, 어린 시절 집집마다 있었던 "시턴 동물기"와 연결이 된다. 그래서 우리 집에도 아이 읽으라고 사놓고 한쪽에 고이 전시된(아이는 창작 소설만 좋아하기에) 책을 꺼내 오랜만에 들춰보았다. 전혀 다른 책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1898년에 <어니스트 시턴의 아름답고 슬픈 야생 동물 이야기>를 발표하고 작가로서 첫발을 내딛었다고 하니 아마도 이후 계속해서 야생 동물들을 관찰하고 이야기를 덧붙여 <시턴 동물기>가 되지 않았나 추측해 본다.

 

나는 원래 자연을 좋아하고 자연과 함께하길 바라는 사람이라서 이 책이 제목대로 참 아름답고 슬펐다. 읽으면서는 한 편 한 편 아껴 읽었다. 그만큼 좋았다. 일상에 지치고 힘들 때마다 꺼내서 읽고 싶어질 만큼.

 

책은 모두 일곱 개의 야생 동물 이야기를 담고 있다. 늑대, 까마귀, 숨꼬리토끼, 사냥개, 여우, 야생마, 양치기 개 등 종류도 다양하다. 책을 읽을 땐 당시의 시대 상황이나 문화 같은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제목처럼 야생 동물들은 모두 슬픈 결말을 맺게 되는데 그 결말이 거의 인간에 의해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야생 동물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농장주나 양치기들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자신들의 재산을 위협하는 존재들을 가만히 둘 수는 없었을 것이다. 딱 그 중간의 입장에서 시턴은 청탁을 받고 야생 동물을 관찰하기 시작하지만 그 동물들의 삶에 감동하고 공감한다. 따라서 자칫 혐오감을 느낄 수 있는 상황도 그 두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며 자연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개인적으론 "가슴 저미는 눈물, 어미 여우 빅슨"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어린이 동화 <검은 여우>와 비슷한 이야기였는데 결말은 많이 달랐다. 아마도 동화책 속에서는 적극적으로 아기 여우를 풀어주려는 주인공 아이의 적극적인 행동이 있었던 반면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인간에게 잡혀 굴욕된 삶을 살게 될지도 모르는 자식을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선택한 빅슨의 결정이 얼마나 마음 아팠는지 모른다. 그렇게 결정했던 빅슨은 또 얼마나 마음이 아팠을까. 구차스러운 삶보다는 자유로운 영혼이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어미로서 할 수 있었던 일이다.

 

"야생 동물의 삶은 항상 비극으로 끝난다. ...(중략) ... 동물들도 우리처럼 느낌이나 소망을 가진 생명체들이다. 그만큼 그들에게는 그들 나름의 권리가 분명하게 있는 것이다. "...8p

 

책을 읽다 보면 마치 아이들 동화책을 읽는 느낌이다. 시턴이 동물을 관찰하면서 느낀 점뿐만 아니라 동물들이 직접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대화도 하고 생각을 따라가며 행동하듯 서술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이 이야기들이 거짓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만큼 시턴이 동물들에게 애정을 갖고 무척 자세히 관찰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제 우리 주변에서 야생 동물을 쉽게 볼 수 없다. 혹은 편견으로 무조건 내쫓아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 생태계를 이루는 아주 중요한, 함께 살아가야 할 대상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