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떠보니 50 - 절대 오지 않을 것 같지만
김혜민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야말로 책 제목대로 <눈 떠보니 50>이다. 어렸을 때에는 얼른 서른이 되고 싶었다. 공부 하고 진로 선택하고 부모님의 싸움 같은 모든 고민하는 중간 과정을 뛰어넘어 가장 행복하고 안정되어 있는 상태가 서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막상 서른이 되고 보니 가정을 이루어 겉으로는 안정된 상태였을지 모르겠으나 이제 막 태어난 아이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남편에 대한 고민으로 또다시 다른 나이를 꿈꾸었다. 십 년 후면 괜찮아질까. 이십 년 후면 괜찮아질까. 항상 십 년 후를 꿈꾸는 것 같다. 그때가 되면 좀 나은 삶을 살고 있지 않을까... 하고. 50이라는 나이는 또 다르다. 반백 년이라는 말이 있듯이 훌쩍 삶의 반을 넘어버려 뭔가 조바심이 날 것 같은 나이. 게다가 인생의 후반부이므로 좀 더 높은 위치에 서야 할 것 같은 나이. 이제 그런 나이가 머지 않았지만 나만 혼자 제자리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닌가 보다. 


<눈 떠보니 50>은 라디오 PD인 저자 김혜민이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 만의 방식으로 단단한 삶을 살고 있는 인사들을 만나 인터뷰를 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주제는 역시 그들이 바라보는 50에 대하여, 3040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을 담고 있다. 책은 크게 5개로 나뉘어 있는데 50이라는 나이가 아직 전성기가 될 수 있다는 점, 젊게 생각하며 활발하게 청년처럼 살아갈 나이라는 점, 가족 간의 관계를 재정비할 나이라는 점, 다시 "시작"하기 좋은 나이라는 점, 사회와 함께 할 나이라는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터뷰이들이 무척 흥미를 끈다. 광고계의 전설인 박웅현에서부터 정신분석학자 정혜신, 최근 시나리오까지 자신의 활동 범위를 넓힌 문유석 판사, 홍세화 작가나 사회학자 송호근 등 한 번쯤 들어봤음직한 유명인사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50이 지난 선배들의 이야기가 하나같이 소중하다. 꼰대로 남지 않기 위해, 아이들이 다 성장하고 떠난 후의 빈 둥지 중후군을 이겨내기 위해, 평생 직장일 것 같던 곳에서 밀려난 후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해체될 것 같은 가족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만들기 위해 미리 준비할 수 있는 것들을 조언해 준다. 


"제게 50대가 어떤 나이냐고 묻는다면 사소함을 주목해야 하는 나이라고 대답할 거예요."...22p 박웅현의 말 중

"나이가 들수록 정말로 원하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하며,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 위해 내면의 자신과 이야기를 나눠야 한다."...96p 권대욱의 말 중


40대는 앞만 보고 달려갈 수밖에 없는 나이이다. 주위를 둘러볼 여유가 없다. 한창 공부하는 나이인 아이들 뒷바라지에 일도 한창 집중해야 하는 나이이다. 조금만 한눈을 팔아도 뭔가 잘못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조바심이 난다. 그런데 선배들의 말을 들어보니 바로 지금 앞이 아닌 나 자신, 지금의 자리, 내 가족, 무엇보다 나 자신을 돌아보라 한다. 조바심을 내기 보다 아주 사소한 것에 만족하고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라 한다. 그야말로 "나"에게 집중해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