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의 유토피아 -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꿈꾼 세계 키워드 한국문화 5
서신혜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대나 사회든 역사 속의 사람들은 그들 나름의 이상향을 꿈꿨다. 그 이상향이 머리 속에서 끝나기도 하고, 그런 곳을 직접 만들기 위해 실천을 했던 이도 있다. 왜 사람들은 가기 힘든(정확히 말해 갈 수 없는) 이상향을 상상했을까? 의외로 그 이유는 간단하다. 현실의 고단함이 지금을 벗어나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그런 곳을 그리게 했다. 안락하고 편안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 변화를 거부하는 것처럼. 권력에서 밀려난 양반이나 극심한 수탈을 당하던 하층민들은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그런 증거를 저자는 각종 ‘야담집‘에서 찾았다. 야담집에서는 정부의 공식 문서에는 실릴 수 없는 민간의 구전 이야기 거리가 잘 녹아 있어 소외된 이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우리 선조들이 꿈꾸던 유토피아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 준다.

한편 가장 고개를 갸웃하게 만드는 것은 과연 중국에서 넘어온 ‘무릉도원‘과 같은 이상향을 우리 선조들의 그것과 동일시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안평대군의 꿈을 그렸다는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양반이 아닌 평민들의 이상향까지 대변할 수 있을지 나는 의문이 든다. 중국의 것을 절대시한 조선의 양반들이기에 이상향 역시도 배웠겠지만, 평민들은 그와 달리 당장의 현실을 벗어난 자신들만의 이상세계를 꿈꾸지 않았을까?

또한 조선인들이 추구하던 이상세계의 으뜸은 <정감록>세계일 것 같은데, 여기에 대한 언급이 없다. 책이 대부분 <몽유도원도>와 야담집들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정감록>을 읽고 실천했던 이들의 노력을 그냥 넘어간 점은 아쉽다. 어쩌면 문고본이라는 지면의 한계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마지막으로 ‘이이‘의 해주향약을 ‘이익‘의 해주향약으로 오타를 낸 점은 좀 결정적이다. 한 끝 차이지만 두 사람이 조선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상당히 다른 데 저자가좀 더 면밀히 살폈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재미로 읽기에 좋다. 몇 해 전에 읽은 <처녀귀신>처럼 얇은 지면에 작은 주제로 재밌게 한국문화를 살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학동네 출판사의 이런 시도를 적극 지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