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꽃 기생
가와무라 미나토 지음, 유재순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사서 책장에 꽂아만 두었다. 그렇게 10년 넘게 묵혀두다 최근에서야 일게 되었다. 표지 보는 것만으로 만족해하는 좋지 못한 습관 탓이다. ㅎㅎ그런 사이에 기생 관련 책은 4권으로 늘었고 최근에서야 서서히 읽기 시작하고 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 책은 주인의 눈길을 받지 못했으리라.

<말하는 꽃, 기생>은 해어화(解語花)는 저자의 새로운 해석이다. 단어 그대로 풀이하면 말을 알아듣는 꽃으로 당나라 양귀비(楊貴妃)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이를 후대에는 미인을 비유하는 말로 썼고 한반도에서는 기생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했다. 이 기생이 일제시대 이후에는 매춘의 대명사로 불리게 되었다.

저자(가와무라 미나토)는 조선의 기생을 연구하여 한국 연구자에 앞서 개론서 겸 대중서로써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일본의 문예평론가이기도 한 그는 한국인들이 접근하기 힘든 자료(특히 알려지지 않은 문학 자료들)를 구해 나름의 해석을 추가하였다. 지금에서야 적은 수의 연구자들이기는 하지만 기생 관련 저술들이 나오고 있지만 2000년대 초반에는 몇 편의 논문 외에는 전무했다. 특히 역사 전공자들은 거들떠 보지도 않던 주제였다. 이런 점에서 저자의 시도와 도전은 존경 받을만 하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면 무언가 속에서 훅!하고 올라오는 것이 있다. 그것은 한국사의 부끄런 속내를 저저가 드러냈기 때문이 아니다. 그는 전문연구자로서 자신의 본분 또는 역할을 망각한 채(?) 이글을 쓴 듯하다. 책을 끝까지 다 읽고나서 나는 저자의 전문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먼저 그는 기생을 매춘부로 부당 전제하고 글을 썼다. 책의 군데군데 저자는 기생의 본질을 매춘임을 확정하는 서술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제대로 된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아니 아예  관심도 없어 보인다. 그는 처음부터 그렇게 알고 있는 듯하다. 매춘이 핵심이라면서도 기생학교의 커리큘럼에는 그 부분이 아예 없다. 그저 근대 이후, 즉 일제 강점기 이후 기생들이 그러했기 때문에 조선시대 기생들도 그랬을 것이라 짐작한다. 과연 그랬을까? 물론 틀린 주장은 아니지만 그것만으로 기생의 본질을 설명할 수는 없다. 그녀들은 의녀이도 했고 연예인이고 했고 문인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저자는 매춘만을 강조한다. 

둘째, 저자가 참고한 자료들을 보면 한국측 자료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그가 주로 본 자료들은 일제강점기의 자료들이 많다. 즉 오리엔탈리즘의 시선으로 한국인들을 본 왜곡된 자료들이 많다. 저자는 이를 검증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을 이해한다는 그의 본래 취지와는 관계 없이 그는 제국주의 시선으로 기생을 바라보게 되었다. 그것은 <조선미인보감>의 발행 취지나  ‘기생단속령‘의 시행이 뜻하는 바를 당대 일본의 기록 그대로만 이해한다. 억압과 통제의 내용은 눈치채지 못하는 듯하다. 또한 기생 이해에는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를 지나치게 많이 인용하여 저자의 해석은 무엇인지 의문이 든다. 

셋째, 한국측 자료 이해에도 적지 않은 문제가 드러난다.  특히 90쪽의 황진이 시조 소개는 가관이다. ‘송도회고의 노래‘라지만 이것은 웬만한 한국인들이면 다 아는 야은 길재의 시조다. 게다가 마지막 절은 아예 없다. 더 큰 문제는 이 책을 번역한 한국인 역자의 무책임함이다. 어찌 이를 모르고 지나갈 수 있을까? ‘기생열전‘이라 쓴 2장은 황진이와 논개만 소개하고 나머지는 기생들의 시만 소개하고 있다. 둘 뿐인데 무슨 열전인지??? 

넷째, 자료 해석의 문제는 심각하다. 저자의 무지거나 역사왜곡의 정도가 지나치다. 조선의 기생을 로마의 집시족 후예로 본다. 가능한 일 해석일까? 또한 그는 기생이 고려시대 양수척의 후예로 본 <성호사설>을 근거로 들었지만 엉뚱하게도 그들을 고대 백제계 도래인으로 상정하여 일본 유녀들의 선조가 되었다고 주장한다(42~44쪽). 이쯤 되면 이것은 해석이 아니라 억측이 될 수밖에 없다. 

다섯째, 신윤복 그림 속 기생을 소개하면서도 잘못된 해석은 이어진다. <단오풍정> 울 소개하며 ‘여자들이 대범하게 살을 드러내 놓고도, 그것을 훔쳐보는 젊은 남자의 눈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있다(138쪽)‘고 썼다. 이곳은 깊은 산속이고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곳이다. 다만 산에 사는 동자승들은 예외지만. 단오날의 풍경을 저자는 너무 음란하게만 본다. <연소답청>에서는 그림 속 기생을 40대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미 기생을 1~20대라고 스스로 밝혔다. 기생은 30대가 되면 퇴물이고 은퇴한다. 40대 기생은 없다고 봐야한다. 저자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했다. <이부탐춘>에서는 등장하는 여자 둘을 기생으로 봤으나 이는 완전한 착각이다. ‘이부‘라는 단어의 뜻이 ‘과부‘다. 그리고 그 옆에는 계집종이고. 이쯤 되면 저자는 한자 이해력이 부족하다거나 자료 연구에 게을렀다고 볼 수밖에 없다. 저자의 착각은 계속 이어진다. 

여섯째, 한국 사료를 통한 기생 복원에는 문제가 많은 데 비해 일본의 문학 자료는 비교적 상세한 소개와 설명이 이어진다. 그런데 이 일본 문학 자료들 역시 당대 일본인들의 편향된 시각 일색이다. 갈보, 영락한 말로, 욕정 등으로 상대화 되기도 하고 풍경의 일부로 드러날 뿐이다. 즉 기생은 단지 노래의 소재이거나 그 대상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이 책이 일본인들을 위해 쓰여졌다고는 하나 이는 기생의 온전한 복원이라기보다 평향된 시선의 재생산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이것이 이 책이 지니는 문제점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을 이해하려는 저자의 노력에 의심이 든다. 163쪽을 보면 이런 글을 인용하고 있다. ‘홍의 설명에 따르면 조선 양반들은 음식을 먹을 때도 단지 입만 벌리면 되는데, 술을 마실 때마다 부인이 옆에 앉아 이렇게 입에 넣어  준다는 것이었다.‘ 과연 이 글이 사실에 부합되는 것일까? 저자는 문학 작품에서 인용했다고 강변하겠지만 이는 명백히 조선의 현실을 곡해하는 행동으로 오리엔탈적 시선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또한 ˝낡은 옷장과 경대, 그리고 안중근 사진. 교시가 노기 소담의 방에서 본 바로 이것들은, 어쩌면 한일합병 후 조선인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는 풍경이었을지도 모른다.‘ 정말 노기를 통해 조선인의 마음을 추측하는 것이 가능할까? 과잉해석이거나 저자의 오버 아닐까 싶다.  

  <말하는 꽃 기생>은 조선의 기생을 일본 성문화의 잣대로 보고 한국인이 알지 못하는 새로운 기생을 탄생시켰다.  그리하여 저자의 제자가 번역하고 ‘10여 년 이상을 꾸준히 연구하여 내놓은 옥고(322쪽)‘인 이 책은 읽어서는 안되는 위험한 과일과 다를 바 없다. 여기에 이문열은 ‘기생들의 역사가 한 이방인의 눈으로 복원되어 본고장인 이 땅으로 돌아왔다‘고 추천사까지 썼다. 그는 이 책을 제대로 읽고 이해한 것일까? 게다가 소담출판사는 일본 관련 전문출판사임에도 이런 오류를 잡아내지 못했다니 안타깝다. 그에 비해  일본나라여자대학의 나카츠카 아키라 교수 같은 이의 저술은 언제나 정확한 고증이 전제되고 있다. 이 둘의 글이 너무 비교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