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




여기에서 본질보다 실존이 앞선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사람은 먼저 이 세계에 존재하고 이 세계에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가 정의되는 것은 그 다음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존주의자가 상상하는 인간이란 정의될 수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처음에는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는 나중에야 비로소 무엇이 되며, 스스로 만들어내는 그 무엇이 될 것입니다.(...)
이처럼 실존주의의 첫걸음은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그의 존재의 임자가 되게 하고, 그에게 그의 존재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돌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우리가 말할 때, 그것은 사람이 자신의 엄격한 개성에 대해 책임이 있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은 오히려 모든 타인에 대해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17쪽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본문 인용





사르트르는 실제로 이렇게 설명한다.
˝인간이 실존한다˝라는 것의 의미는 정확히
˝인간존재는 그 자신을 미래를 향해 기투하고, 또한 이 행위를 스스로 의식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라고 말할 때 사르트르가 의도한 바는, ˝인간존재는 우선 미래적 존재고, 또한 인간존재는 결코 과거에 그가 했던 것이나 그가 존재했던 바에 의해 정의될 수 없다˝라는 것이다.
이것은 정확히 ˝본질은 과거에 그것이 있었던 것이다˝라고 말했던 헤겔이 의도했던 바와 같은 것이기도 하다.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르트르는 ˝현존재의 본질은 실존이다˝라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다시 쓰고 있다. -123쪽



사르트르의 <구토>만큼이나 이 책<How to read 사르트르>도 쉽지 않다.
사르트르가 말년에 자신의 저작을 해석하며 자신의 철학을 다지는 데 힘을 기울인 게 아니라 죽을때까지 다작하며 새로운 글을 쓰려고 했는 만큼 그의 철학은 변화무쌍하다. 그 변화만큼이나 해석 또한 다양하다.
때론 실수투성이인 작품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고, 때론 정치적 입장을 강하게 띤 작품으로 마르크스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지나친 경사로 우리 사회에서 환영받을 수 없었다.
하지만 참여문학론은 우리 사회에서 문학의 사회적 기능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었고, ‘문학은 혁명적이다‘라는 기치를 높이 내걸고 문학의 정치성과 사회성을 강조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소수문학론‘으로 부분 소생한다.
사르트르의 철학과 문학에 전통적으로 부여되었던 의미가 과연 현재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에서 지금도 유효한가? 라는 질문을 던졌을때 이 책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가 왜 중요한지 알 것이다.
그가 강조한 타자와 신체, 욕망의 사회성, 증여 등에 관련된 논의 자체는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푸코, 라캉 등의 사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처럼, 그의 사유는 현재 진행형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책은 사르트르의 저작에서 핵심되는 주제나 용어를 다룬다. 작품은 아래와 같다.

1. 나 역시 잉여존재다 <구토>
2. 외부에, 세계 속에, 타인들 틈에 <지향성>
3. 타인은 나의 지옥이다 <닫힌 방>
4. 그는 카페의 종업원을 연기한다 <존재와 무>
5. 전쟁에서 무고한 희생자는 없다
6. 나는 타인들의 자유를 원하지 않을 수 없다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7. 진정한 유대인은 자신을 유대인으로 만든다.
<유대인 문제에 관한 성찰>
8. 가장 혜택을 못 받은 자들의 시선
<공산주의자들과 평화>
9. 봉쇄된 미래 <방법의 문제>
10. 이간은 폭력적이다 <변증법적 이성 비판>


읽은 책
<말>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계약결혼>



읽고 있는 책
<구토>
<How to read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닫힌 방, 악마와 선한 신>
<장폴사르트르, 시선과 타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19-04-25 22: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보기엔 마르크스에 대한 경사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 현실을 제대로 잘 표현한 의미라고 생각됩니다. ^^

북프리쿠키 2019-04-25 22:36   좋아요 0 | URL
1980년대 중반 이후 다른 프랑스 20세기 철학자들의 수용과 비교해 볼 때 국내에서 그 열기가 줄어들었다는 이유에서 지나친 경사가 아닐까요..^^;
그의 마르크스주의는 가장 혜택을 못 받은 자들의 시선으로 제3세계에 탈식민의 이론화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북다이제스터님의 의견에도 공감합니다.^^;

카알벨루치 2019-04-26 0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르트르....아쿠 머리야!!! 👍

북프리쿠키 2019-04-26 11:06   좋아요 1 | URL
ㅋㅋㅋ 머리를 비우고 몽롱하게 읽었습니다.
이건 글자고, 이건 여백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