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다른 이름들 민음의 시 224
조용미 지음 / 민음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세상에 두 부류의 시인이 있다고 해보자. 첫째 부류는 머리를 써서 몸 속에 있는 시를 몸 밖으로 끄집어 내는 시인인데, 이들에게 있어 시는 건져 올려지는 것과 다름 없다.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자리라면 더 없이 좋다. 정갈하게 자리에 앉아 어떤 것에 대해 시를 써보겠다고 하며 고요한 시간 속에 손 끝과 머리 끝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마음 속 깊이 숨어 있던 심상을 하나 둘씩 두레박으로 끌어 올린다. 가지런히 끌어올려진 단어와 문장은 몇 번의 교열 끝에 하나의 시가 된다. 두 번째 부류는 시인 몸 속에 차곡차곡 쌓여진 감각들이 어느 순간 차오름을 이기지 못하고 손 끝, 머리 끝을 통해 밀어 올려져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경우다. 이들에게 시를 짓는 일이란 반복되는 일상이라기 보다는 예고 없이 찾아오는 몸의 각성과 같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부류 중 시인의 본질에 가까운 것은 없다. 프리모 레비도 <휴전>을 쓸 때 한 달에 한 챕터씩 규칙적으로 글을 썼다고 했으니, 의식적으로 글을 쓰는 행위를 통해 감각을 끄집어내는 것도 감응(感應)의 한 방편이다.

그러나, 조용미 시인의 <나의 다른 이름들>을 읽다 보면 시인은 꽤나 규칙적인 삶을 추구할 것 같은 위인이면서도 그가 시를 짓는 방식은 꽤나 규칙적이지 않은, 몸 속 깊은 곳으로부터 밀어 올려진 단어와 문장을 직조하는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시인이 보여 주는 불교 교리, 폐사지, 매화, 축축한 감촉, 어두운 색깔, 영산홍의 세계는 시인이 꽤나 단정하고 규칙적이며 일과의 규율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을 주면서도, 동시에 단어와 문장에 숨길 수 없이 배어 나오는 영(靈)적이면서도 선(仙)한 기운은 도무지 이 감각이 머리로 의식하여 끄집어낸 것이라고 생각할 수 없게 만든다. 그건 참으로 이율배반적인 감정이었다. 일상의 규칙과 영적인 불규칙이 만들어내는, 자신 안으로 침전하는 무한한 심연의 깊이가 시집을 쉽게 놓지 못하게 만들었다. 작가의 시집을 네 권 정도 읽고 나서야 비로소 나의 마음을 알았다. 시인은 내가 사랑하는 몇 명의 작가들. 서경식, 신준형, 김혜리, 은유 이러한 사람들과 같은 자리에 있다.

몇 명의 작가를 사랑한다고 했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건 무슨 말일까. 나와 시인, 시인과 세계는 두 겹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시인이 보여주는 영적인 세계와 고요한 침묵의 언어를 나는 동경하고 그것들에 감응한다. 내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과 인식한 것을 표현하는 언어가 시인과 결을 같이 하기 때문에 나와 닮은꼴이 있다며 안도하게 한다. 그러나 시인은 나를 마주보지 않고 있기에 나는 시인의 등을 바라보며 그를 동경한다. 시인은 무엇을 보고 있을까. 그녀는 우주를 바라보고 있다. 지구에서 6천 광년 떨어진 곳에 이는 성운을, 벽 속으로 스며든 푸른 틈 사이로 보이는 깊은 푸른 세계를, 방 곳곳을 어지럽게 만드는 천리향의 미열을 차분히 앉아 눈을 감고 보고 있다. 그것들 역시 시인이 가 닿으려 하지만 결코 닿을 수 없기 때문에 시인 역시 우주를 동경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끊임없이 상대를 감각하는 동시에, 각자 다른 존재의 등을 보며 당신을 동경하고 있는 셈이다.

사랑한다는 말의 의미를 알았다. 사랑은 얼굴을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 당신의 등을 바라보며 계속 움직이는 것을 말했다. 나는 시인에게, 시인은 우주에게 쉽사리 닿아 안착할 수 없음을 알기에 우리는 이 무한대의 움직임에 안도하며 기꺼이 당신을 사랑하게 된다. 가끔은 저마다의 속도가 달라 당신에게 가까이 다가설 때가 있다. 그렇게 가까이 다가가면 향기로 숨이 가빠 온다. 천리향의 향기보다 사람의 향기가 더 지독했다. 겨울임에도 봄을 꿈꾸게 했다. ▨

https://blog.naver.com/marill00/2214604623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