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왕, 여기 잠들다
필립 리브 지음, 오정아 옮김 / 부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역사적으로 인류사를 장식해 온 인물들 특히나 전설속 영웅적 인물들을 만나는 일은 언제나 재밌고 흥미로운 일이다. 그것도 가까운 시대가 아닌 천 년 이상이나 되는 아주 먼 옛날의 이야기라면 더욱 더 그렇다. 직관적인 사료도 정확히 남아있지 않고, 사람들의 입을 통해서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 온 그 신화와 전설들.. 그 속에서 때론 우리는 또 다른 이야기를 접하게 될지도 모르는 이상 야릇한 신비감에 쌓이게 된다. 그중에서 강호가 소싯적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접했던 원탁의 기사와 엑스칼리버로 유명한 '아더 왕'의 전설, 아니 여기서는 '아서'로 불리니 '아서'로 해야겠다. 이 '아서왕의 전설'을 책으로 만나게 된 순간, 그 이야기속으로 빠져든 '필립 리브'의 신간 <아서왕, 여기 잠들다>이다.

사실, 이 책은 '견인 도시 연대기' 시리즈 나온 SF모험 소설 첫 번째 이야기 <모털 엔진>을 예전에 미리 접하고 나서, 그가 그려낸 무한의 상상과 재미에 빠진 기분에 이렇게 신작이 나와서 읽게 된 소설이다. 그런데, 제목에 아서왕이 들어가 있다보니.. 얼추 아니 바로 '역사소설' 같은 느낌이 든다. 하지만 여기 작가 '필립 리브'는 역사소설이 아닌 '실제 아서왕'을 그릴 생각으로 작품을 쓰기 시작한 것도 아니요, 오로지 아서를 둘러싼 수많은 이야기들의 바다에 조그만 이야기를 하나를 보태고 싶었을 뿐이였다는 그의 바램처럼, 이것은 지극히 이야기에 중심을 둔 소설이다. 더군다나 이 이야기에서 아서왕은 절대로 주인공이 아니다. 그는 조연일뿐 아니 거들었을뿐, 이야기의 주인공은 따로 있었으니.. 그 이야기 속으로 잠시 떠나보자.

먼저, 시대 배경은 5, 6세기경 브리튼(Britain : 아일랜드(Ireland)를 제외한 잉글랜드(England), 웨일스(Wales), 스코틀랜드(Scotland)를 통틀어 이르는 말) 지역을 무대로 전개된다. 이 지역에서 '색슨족'과 매번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브리튼 지역을 지배했던 수많은 군주중에서 '아서'라는 군주.. 그는 사실 우리가 상상해온 젠틀하고 용맹하며 기사도 정신의 선봉장인 이미지와는 정반대?의 인물로 여기서는 그려진다. 거침없고, 포악한 곰같은 인물로 어찌보면 가장 인간적인 느낌이랄까.. 그 곰같은 사내가 오늘도 부하들을 이끌고 어느 지역을 습격하고 약탈해 쑥대밭을 만든다. 그리고 그곳에서 유일하게 도망친 어린 소녀 '그위나'.. 그렇다. 바로 여기 10대의 어린 소녀 '그위나'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자 화자다.

즉, 그녀의 눈으로 바라보는 아서왕의 이야기다. 아니 아서왕을 그렇게 많이 바라보지도 않는다. 자신의 목숨을 거두어주고 아서왕의 홍위병을 자처하며 그의 전장에서 전승(戰勝)을 설파하기 바빴던 마법사 '마르딘'(후기 이야기에 등장하는 멀린의 원형이며, 실제로 존재한 인물이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과의 여행담?이 주를 이룬다. 그리고, 사실 여기 마르딘은 마법사라 하지만 사람들의 눈속임과 거짓말을 밥먹듯이 해대는 이야기꾼일 뿐이다. 그래서 그의 지상최대의 목표는 오로지 '아서의, 아서에 의한, 아서를 위한' 이야기 만들기에만 주력할 뿐이다. 하프 하나 챙기고 시종으로 데리고 다니는 '그위나'와 함께 말이다. 딱 그림이 그려진다. ㅎ

그러다가 아서의 전장에서 활약을 좀더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해서 '그위나'를 남장시켜 '그윈'이라는 이름으로 소년병으로 자원입대?까지 시킨다. 그위나는 깜놀하지만 주인님의 명령이라면 어쩔 수 없다. 그때부터 소년으로 살며 전장을 누빈다. 그렇다고 그 전장이 멋지고 그런 모습은 아니다. 그러면서 그 속에서 아서의 조카이자 괜찮은 핸섬보이 '베드위르'와 그의 형 '메드로우트'를 알게되고, 그러다 어느 지역에서는 자신도 모른 채 여장하면서 살아온 '페레디르'(웨일스 신화와 전설 모음집 『마비노기온』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영웅이다. 이후 중세 로망스 문학에서 아서의 기사 중 가장 인상적인 인물이자 성배를 찾는 퍼시발로 면모한다. 하지만 여기서 페레디르는 소위 '찌질남'이다.ㅎ)를 만나며 우정을 싹띄운다.

물론, 아서의 다른 지역 약탈과 습격은 계속 된다. 예의 영토와 보물을 얻기 위해서 말이다. 그러다 후처로 명문가 아우렐리아누스 가문의 딸인 '그웬휘바르'를 얻는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이제는 '그위나'가 아니 남장의 '그윈'이 다시 본연의 여자 '그위나'로 돌아와 그웬희바르의 시녀가 된 것이다. 물론, 마르딘이 시킨 것이다. 이때부터 이야기는 중반으로 치닫는다. 바로 그위나는 아서의 후처를 밀착 보필하며 여자로서의 삶을 다시 살아간다. 자신은 원하지 않았지만서도.. 그러다 남장시절 알게된 간지소년 아니 이제는 어엿한 전사인 '베드위르'가 전장에서 다치자 그가 그웬휘바르의 경호를 맡게된다. 그런데, 마님과 돌쇠처럼 둘이 삐리리해서 사랑에 빠진다. 이를 알게 된 아서..  



아니 그위나가 사실 마르딘에게 이 사실을 고하며 상담을 요청했는데, 마르딘이 아서에게 발고한 것이다. 아서는 전장에서 지는 것 만큼이나 자신을 난처하게 또 바보로 만들면 가차없이 사람을 죽이는 그런 성정의 군주였다. 적어도 이 이야기의 아서는 말이다. 결국, 아서의 조카 '베드위르'는 목이 달아나고 그위나가 마님과 함께 탈출한다. 그리고 자신의 동생이 아서에게 죽었다는 소식을 알게된 베드위르의 형 메드로우트는 반기를 들고 다른 지역과 세를 합세해 우선 손아귀를 벗어난다. 또한 아서의 이복형인 '카이' 또한 동생의 명령때문에 아일랜드인과 합세해 색슨족을 치러 떠난다.

그리고 이 '카이'의 군대에 그위나가 또 합세한다. 물론 그위나가 아닌 남장의 '그윈'으로.. 이때는 마르딘이 시킨 것이 아니고 자진해서다.-(이때 마르딘은 이미 한물간 늙은 이교도 마법사로 전락한지 오래여서 퇴물 취급당해 시름시름 앓으며 집에 칩거중인 상태다.)- 예의 남장시절 만났던 '페레디르'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얼마후 이 카이의 군대는 기습공격을 받아 몰살당하고 그윈과 페레디르만 살아남는다. 아마도 아서의 일파가 모종의 계략으로 쳤을지도 모른다. 과연, 살아남은 그윈 아니 그위나와 페레디르는 마지막에 어떻게 됐을까.. 또 무대뽀 기질에 포악하기 그지없는 아서는 어떻게 됐을까.. 마지막 결말임에 여지를 남겨둔다.

이렇게 이 이야기는 아서왕의 전설을 다룬 이야기다. 그런데, 아서왕이 주인공이 아니다. 주인공은 바로 남자로 변신했다 여자로 다시 왔다 다시 남자로 변했다가 다시 여자로 변한 어찌보면 중성적인 '그위나'가 바라본 아서왕의 이야기다. 그렇다고 아서왕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바로 자기를 거두어 준 마법사 마르딘과 여행하며 아서의 전승(戰勝)을 증폭시켜 사람들에게 뷰티풀하게 전승(傳承)시킨 주범?들이다. 하지만 '그위나'는 아서를 직관적으로 바라보며 그를 좋게 평가하지 않는다. 뭐.. 옆에서 보필한 것도 아니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위나를 통해서 당시 여자로서의 삶이 얼마나 하찮고 무모한지에 대한 개탄은 물론, 남장을 하면서 소위 남자들에게 가려진 여인네들의 삶에 대한 회한같은 것이.. 때로는 위트속에서 10대 소녀 '그위나'를 통해서 투영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여기서 그위나는 당찬 10대 소녀의 이미지 마치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울지 않는다는 '캔디'모드로 활약을 한다. 그것은 마치 전작 <모털 엔진>에서 10대 소녀 여주인공 '헤스터'를 보듯 느껴진다. 아무튼, 결국에 여기서 그리고자 했던 이런 이야기들은 아서왕의 어떤 영웅적인 면모가 아닌, 만들어진 아서, 마법사 마르딘의 아서, 이야기속에서 재창출된 아서로서 그리고 있다. 즉, 아서왕의 전설은 아마도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나름의 전승적 차원의 이야기인 것이다. 그래서 아서왕의 전설이 어느 누구보다도 현명하고 어느 누구보다도 공정하고 위대한 군주로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사실 이 소설은 당차고 얼척없는 소설일 수도 있다. 더군다나 제목 <아서왕, 여기 잠들다>처럼 어떤 영웅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며 마지막 장렬히 숨은 거두는 모습을 상상한다면 말이다.

하지만 다 읽고나면 알게 되듯이.. 여기서 '잠들다'는 것은 바로 이 문구가 빠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서왕, (이야기속) 여기 잠들다>가 된다. 즉 이야기 속에서만 존재하는, 이야기가 만들어 낸, 또 이야기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선사된 영웅의 모습, 그래서 어찌보면 허무하고 공허해 버리는 이야기일지라도.. 그것을 바라보는 화자를 통해서 우리는 또 색다른 영웅을 만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여기 '마르딘'과 '그위나'처럼 말이다. 그래서 그위나가 바라본 그 영웅은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우리들에게 계속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여기 소설이 말한 메시지다. 즉, 영웅의 전설은 결국 이야기로써 만들어 진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